910일의 남도 취재를 다녀오자마자 <하얼빈>을 읽었습니다. 오세훈 선생의 권독문을 읽자마자 인터넷으로 주문했고, 당일 책을 찾아왔습니다. 서점 창구 직원께서 선생님이 마지막 권을 사신 것이라고 하시더군요. 이런 책을 많은 분들이 사 읽는 걸 알고 안심이 되었습니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느낀 것은 역시 김훈 선생의 문장력입니다. 단문을 가지고 담백하게 정곡을 찌르며 서사를 전개하는 필력이 놀라웠습니다. 내용도 그랬습니다. 군더더기 한 조각 없이, 하고 싶은 말들을 이렇게 적확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부럽더군요. <칼의 노래>의 감흥도 되살아났습니다.

 

 

<칼의 노래> 같은 작품이 이순신 사후 4백여 년이나 지나서 나오고, <하얼빈> 같은 작품이 안중근 사후 1백여 년이 지나서 나왔다는 것이 사실 이 민족의 슬픔입니다. 이런 작품이 더 일찍 나오지 못하게 만든 조선과 한국 사회가 안타까운 것이지요. 그러나 지금이라도 제대로 된 작품이 나온 것은 다행스런 일이기도 합니다. 이 두 영웅의 이야기를 제대로 전한 사람이 <라면을 끓이며> 살았던 김훈 선생인 것도 어쩌면 필연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얼빈>의 주요 등장인물은 네 부류입니다. (1) 비루한 조선 왕족과 사대부들, (2) 의연한 포수 안중근과 담배팔이 우덕순, 그리고 의병과 독립군으로 싸웠던 숱한 민초들, (3) 이토 히로부미로 대표되는 무도한 일본 제국, 그리고 (4) 관망적이었던 조선 천주교회가 그것입니다.

 

작가가 각 주인공들을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세심한 노력을 기울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하고 싶은 말은 또렷합니다. 그게 뭔지는 책을 읽어보시면 금방 아실 수 있으실 테니까, 제가 주절주절 나열할 필요는 없겠지요.

 

 

다만 이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 느꼈던 두 가지는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그동안 안중근 선생님의 단편적인 에피소드를 많이 접했지만, 안중근 선생이 바로 이런 분이었구나, 하는 전체적인 그림(whole picture)을 그릴 수 있게 된 것은 이 소설 덕분입니다.

 

그것은 저자도 의도했던 바였더군요. 후기에서 토탈 픽쳐(total picture)라는 표현을 쓰셨습니다. “포수, 무직, 담배팔이라는 핵심어로 세계사적 폭탈 속에서 무능한 조선 왕족/사대부들이 싸워보지도 못하고 문서 한 장으로 나라를 팔아먹을 때, 의연히 나서서 일제의 심장을 쏘아 버린 날 것의 청춘들을 드러낸 것이지요. 김훈 선생은 또 이렇게 썼습니다.

 

한국 청년 안중근은 그 시대 전체의 대세를 이루었던 세계사적 규모의 폭력과 야만성에 홀로 맞서 있었다. 그의 대의는 동양 평화였고, 그가 확보한 물리력은 권총 한 자루였다. 실탄 일곱 발이 쟁여진 탄창 한 개, 그리고 강제로 빌린(혹은 빼앗은)’ 여비 백 루블이 전부였다. 그때 그는 서른한 살의 청춘이었다.”

 

제가 깨달은 또 한 가지는 안중근 선생님과 함께 이토 히로부미 처단에 나섰던 우덕순 선생에 대해서도 잘 몰랐다는 점입니다. 한국의 독립운동사에 적지 않은 관심을 가진 축에 끼인다고 자부했던 저는, 그동안 우덕순 선생의 이름조차 낯설었던 것이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하얼빈>을 읽고 나서야 일제가 남긴 우덕순 선생 심문기록과 재판기록을 읽어 보았는데, 안중근 선생 못지않게 훌륭하고 멋진 분입니다. 안중근 선생과 우덕순 선생의 차이점은 결국 누가 이토 히로부미 사살에 성공했는가의 차이뿐입니다. 두 분의 사상과 인성, 의기와 심지는 방향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수준의 차이가 아님을 느꼈습니다.

 

 

하얼빈에 도착한 안중근, 우덕순(과 유동하) 선생이 이발을 하고 나란히 사진을 한 장 찍습니다. 그 사진이 지금까지 전해집니다. 그때 그분들이 나누었던 대화는 저자가 재구성한 것이겠지만, 사람으로 태어나 한 번 사는 동안, 저런 일을 하면서 저런 말로 마음을 주고받을 동지가 있다는 게 얼마나 큰 행복일까, 하고 부러움을 느꼈습니다.

 

역사적인 거사를 앞둔 긴박한 상황 속에서도 동지들과 함께 후세에 전할 사진 한 장을 남길 여유를 챙기셨던 안중근 선생께 감사드립니다. (2022/8/24, 조정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