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에 해당되는 글 76건

崔承喜(チェ·スンヒ)先生人生りを研究しながら崔承喜憑依されたといういたりもした研究ノートをジャーナルと学術誌発表するきながら崔承喜心情意図推測した内容えたりもしたためだ。 「巫俗という皮肉ではなくても客観的ではないという批判だったのだろう

 

<社会学概論>では社会学つの流派があると要約したりもする経験主義empiricism記録して解釈学hermeneutics記録意味理解しようとし批判criticism記録れた意味そうとする実際その3つは背馳されていない事件総体的理解するためには3つとも渉猟しなければならないためだ

 

それで憑依という巫俗用語社会学解釈批判のための方法論になる心理学自己開発書愛用する感情移入共感もグッドパン憑依言葉日常使立場えるswitching shoes)」きくわらない言葉だからだ

 

 

近藤富男先生憑依みた南益三氏参拝墓発見されたという連絡けたどんなじだったのだろうか

 

2020223近藤先生宝塚市立中学校教員時代同僚だった大黑澄枝先生から電話けた。 「朝鮮人労働者3参拝墓玉瀬満福寺けられており婦女会寺院100年以上祭祀ってきたということだった大黒先生教員時代だった足立有里さんのメッセージを近藤先生えたのだ

 

足立有里さん満福寺5代住職足立泰教氏夫人であり自身足立智教という僧名4代住職歴任したことがある歴代住職じて自分えてきた大黒先生近藤先生えたのだ

 

 

参拝墓玉瀬満福寺にあるというニュースは近藤富男先生にとってくべき衝撃だっただろう鄭鴻永-近藤富男調査チームは1986年秋玉瀬3朝鮮人犠牲者埋葬墓地発見しているいてらの参拝墓すために西谷墓地寺院々まで調査したがつからなかったという

 

これは多少疑問埋葬墓玉瀬にあったとすれば参拝墓もそのくにあるということはしくなく推論できるところでどうして二人玉瀬参拝墓発見できなかったのだろうか満福寺調査かられていたのだろうかあるいは調べたが発見できなかったのだろうか

 

いかなる場合でも残念なことだったおそらく近藤富男先生そのなぜ満福寺をさらにしく調べなかったのかという悔恨ったのだろうその参拝墓発見していたら追悼碑はもっとてられることもできたし鄭鴻永先生いだった追悼碑建立他界しただろう

 

 

他方近藤富男先生ればせながら参拝墓発見されたことをいとえたにいない鄭鴻永先生他界してから20年以上探った参拝墓偶然発見されたことはどれほどしいことだっただろうかしかも追悼碑建立直前だったのでかった5犠牲者名前一度追悼碑むことができたからだ

 

それから2年後近藤富男先生他界したことをえるとこの発見はさらに意味のあることだったこの発見のおかげで鄭鴻永-近藤富男調査チームは自分たちが選択した使命35ぶりにたしこのったことになった

 

 

また近藤先生満福寺足立泰教さんと足立智教さんそして同僚大黒澄愛先生感謝気持ちをったのだろう鄭鴻永先生自分埋葬墓跡らかにするにまったがらのけで参拝墓まで発見することになったのだから感謝せざるをなかっただろう

 

2020223満福寺参拝墓らせをいた近藤富男先生このように悔恨安堵感謝複合的感情まれ感慨無量だったことを推察するのはそれほどしくなかった。 (2022/9/13趙正熙

,

최승희 선생의 삶과 춤을 연구하면서 최승희에 빙의됐다는 말을 듣곤 했다. 연구노트를 쓸 때나, 저널과 학술지에 발표할 글을 쓰면서 최승희의 심정이나 의도를 추측한 내용을 덧붙이곤 했기 때문이다. ‘무속이라는 비아냥은 아니더라도 객관적이지 않다는 비판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
사회학개론>에서는 사회학에 세 유파가 있다고 요약하곤 한다. 경험주의(empiricism)기록을 찾아 읽고, 해석학(hermeneutics)기록의 뜻을 이해하려 하고, 비판(criticism)기록의 숨은 뜻을 드러내려고 한다. 사실 그 셋은 배치되지 않는다. 사건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면 세 가지를 다 섭렵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빙의라는 무속 용어는 사회학에서 해석비판을 위한 방법론이 된다. 심리학과 자기개발서들이 애용하는 감정이입이나 공감도 굿판의 빙의와 비슷한 말이다. 일상에서 쓰는 입장 바꾸기(switching shoes)”와 크게 다르지 않은 말들이기 때문이다.

 

 

나는 콘도 도미오 선생에게 빙의를 시도했다. 그는 남익삼씨의 참배묘가 발견되었다는 연락을 받았을 때 어떤 느낌, 어떤 생각이었을까?

 

2020223일 콘도 선생은 다카라즈카 시립중학교 교원 시절 동료였던 다이꼬꾸 스미애(大黑澄枝) 선생의 전화를 받았다. “조선인 노동자 3명의 참배묘가 타마세의 만푸쿠지(滿福寺)에 마련되어 있고, 부녀회와 사찰이 1백년 넘게 제사를 드려왔다는 것이었다. 다이꼬꾸 선생이 교원 시절의 제자였던 아다치 유리(足立有里)씨의 메시지를 콘도 선생에게 전달한 것이다.

 

아다치 유리씨는 만푸쿠지의 5대 주지 아다치 타이쿄(足立泰敎)씨의 부인이고, 자신도 아다치 치쿄(足立智敎)라는 승명(僧名)으로 4대 주지를 역임한 바 있다. 그는 역대 주지 스님들을 통해 자신에게 전해 내려온 이야기를 다이꼬꾸 선생을 거쳐 콘도 선생에게 전달한 것이다.

 

 

참배묘가 타마세의 만푸쿠지에 있다는 소식은 콘도 도미오 선생에게 놀라운 충격이었을 것이다. 정홍영-콘도 도미오 조사팀은 1986년 가을 타마세에서 세 조선인 희생자의 매장묘터를 발견한 바 있었다. 이어서 이들의 참배묘를 찾기 위해 니시타니의 묘지와 사찰을 샅샅이 조사했으나 찾아내지 못했다고 했다.

 

이것은 다소 의문이다. 매장묘가 타마세에 있었다면, 참배묘도 그 인근에 있으리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추론될 수 있다. 그런데 어째서 두 사람은 타마세에서 참배묘를 발견하지 못했던 것일까? 만푸쿠지가 조사에서 누락되었던 것일까? 혹은 조사했지만 발견하지 못했던 것일까?

 

어떤 경우라도 안타까운 일이었다. 아마도 콘도 도미오 선생은 그때 왜 만푸쿠지를 더 세밀히 조사하지 않았던가하는 회한을 가졌을 법하다. 그때 참배묘를 발견했더라면 추도비는 더 일찍 세워질 수도 있었고, 정홍영 선생도 소원이던 추도비 건립을 본 후 타계하셨을 것이다.

 

 

다른 한편, 콘도 도미오 선생은 뒤늦게나마 참배묘가 발견된 것을 다행으로 여겼음에 틀림없다. 정홍영 선생이 타계하신 뒤로 20년이나 더 찾았던 참배묘가 우연한 기회로나마 발견된 것은 얼마나 반가운 일이었겠는가. 더구나 추도비 건립 직전이어서 때가 좋았다. 다섯 명의 희생자의 이름을 한꺼번에 추도비에 새길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2년 후 콘도 도미오 선생이 타계하신 것을 생각하면 이때의 발견은 더욱 의미 있는 일이었다. 이 발견 덕분에 정홍영-콘도 도미오 조사팀은 자신들이 스스로 선택한 사명을 35년 만에 완수하고 세상을 떠난 셈이 되었다.

 

 

또 콘도 도미오 선생은 만푸쿠지의 아다치 타이쿄와 아다치 치쿄 부처, 그리고 동료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가졌을 것이다. 정홍영 선생과 자신은 매장묘터를 밝히는 데 그쳤지만, 이들의 도움으로 참배묘까지 찾은 것이니 감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2020223일 만푸쿠지의 참배묘 소식을 들은 콘도 도미오 선생이 이렇게 회한안도감사의 복합적인 감정에 휩싸여 감개무량했었을 것임을 짐작하기란 그리 어렵지 않았다. (2022/9/13, 조정희)

,

鄭鴻永-近藤富男研究チームが神戸水道工事朝鮮人殉難者3埋葬墓地発見したのは1986年初秋のことだった1914-1915金炳順(キム·ビョンスン)南益三(ナム·イクサム)張長守(チャン·チャンス)がトンネル落盤事故犠牲になって70ぎただったしかし調査はそこで袋小路にぶつかりこれ以上進められなかった

 

参拝墓用意されたと推定した2地元のお過去帳調べたり墓地をまわつて墓石無縁仏してみたりしたがどうしてもそれらしい場所確認することができないのでたが3参拝墓つからなかった

 

らの参拝墓発見されたのはそれから35ぎた2020223だった1929年福知山線鉄道工事死亡した尹吉文(ユン·ギルムン)吳伊根(·イグン)える追悼碑建立準備大詰めをえた玉瀬仏教寺院満福寺から連絡これについて近藤富男先生、『むくげ通信3002020531)』寄稿した文章以下のようにべた

 

 

今年2020223このにもかかれていない重大なはなしがもたらされた西谷玉瀬にある満福寺のかたからだったおそらく100 年以上にわたって地域婦人会朝鮮慰霊をしているが婦人会高齢化人数なくなってそろそろおしまいにしたいとおもっているついてはこのたちはどういうだったのかりたいというものであった電話であらましをきいてすぐ訪問約束をし26にうかがってくわしくおはなしをきいた

 

毎年824、『無縁さんをつづけてきた住職婦人会会員無縁仏さんと三界萬霊手向盆菓子々お線香めてきたおそらく100ぐらいがれてきているうちにその意味合いがただしくつたわらなくなっていた以前先住職さんは武田尾のトンネル爆破工事くなった朝鮮人っているとおっしゃっていたということであった

 

おはなしのあと現場案内してくださり菓子をそなえておをあげてくださったわたしが今年3 26 追悼する建立しますとつたえるとこれまで自分たちがつづけてきた慰霊気持ちをうけついでいただけると大変よろこんでくださったそしてなんと完成するわたしたちよりもはやく住職夫婦現地法要をおこなってくださった」。

 

 

近藤富男先生満福寺から重大なはなしっただけでがどのような方法連絡してきたのかはべなかったところがこれは大黑澄枝先生じてであったことが最近明らかになった大黑澄枝先生ってくださったカカオトークのメールでこうった

 

20202、教え子満福寺足立有里さんから玉瀬婦人会100年以上期間ったのですがもう中断したいという提案があります相談したらいいですか?」という電話近藤富男先生連絡しました326建設予定だった追悼碑神戸水道工事犠牲になった3えることになりましたとても劇的記念すべきことでした」。

 

大黑澄枝先生近藤富男先生とともに宝塚市立中学校教師満福寺足立有里さんは大黑澄枝先生だった僧侶となった足立有里さんは僧命足立智教めた満福寺4代住職として足立智教さんが婚姻した足立泰教さんが5代住職として在職中

 

 

3朝鮮人参拝墓100年以上維持しながら祭祀してきた満福寺事情しくなると足立智教さんは師匠大黑澄枝先生相談大黑澄枝先生はこのらせを宝塚同僚活動家近藤富男先生らせたのだ

 

1986年秋鄭鴻永先生とともに3朝鮮人埋葬墓跡した近藤富男先生ついに足立智教さんと大黑澄枝先生けでらの参拝墓再発見されたのだ埋葬墓跡発見されて35ぶりの再発見だった。 (2022/9/12趙正熙

 

,

정홍영-콘도 도미오 연구팀이 고베 수도공사의 조선인 순난자 3인의 매장묘터를 찾아낸 것은 1986년 초가을이었다. 1914-1915년 김병순, 남익삼, 장장수씨가 터널 낙반 사고로 희생된 지 약 70년이 지난 후였다. 그러나 조사는 거기서 막다른 골목에 부딪혀 더 진행되지 못했다.

 

참배묘가 따로 마련되었을 것으로 추정한 두 사람은 지역 사찰의 과거 기록을 뒤지고 묘지를 돌아보면서 묘비나 무연고 묘소를 찾아보았지만 세 사람의 참배묘는 찾을 수 없었다.

 

 

이들의 참배묘가 발견된 것은 그로부터 35년이 지난 2020223일이었다. 1929년 후쿠치야마선 철도공사에서 사망한 윤길문, 오이근씨를 기리는 추도비 건립 준비가 막바지에 접어들었을 때, 타마세의 불교사찰 만푸쿠지(満福寺)에서 연락이 왔다. 이에 대해 콘도 도미오 선생은 <무쿠게 통신(300, 2020531)>에 기고한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올해 2020223일 아침, 정홍영 선생의 책에도 서술되지 않은 중대한 소식이 날아들었다. 니시타니의 타마세(玉瀬)에 있는 만푸쿠지(満福寺)에서 온 소식이다. 100년 이상 사찰과 지역 부인회에서 조선인들을 위령하고 있는데, 부인회도 고령화되고 인원수도 줄어들어 이제 그만 마무리를 지으려 한다는 말씀이었다. 다만 이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알고 싶다는 것이었다. 전화로 대략 방문 약속을 하고 26일에 절에 찾아가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만푸쿠지에서는 매년 824일 아침 무연고 참배를 계속해 왔다. 주지 스님과 부녀회원이 무연불(無縁仏)씨와 삼계만령(三界萬霊)에게 꽃과 쟁반 과자를 바치고 각각 향을 피우며 영혼을 위로해 왔다. 아마도 100년 정도 계승되어 오는 동안에 그 의미가 제대로 전해지지 않게 되었던 것 같다. 선대 주지 스님이 옛날 타케다오의 터널 폭파 공사로 사망한 조선인들을 추도하고 있다는 말씀이 계셨다고 한다.

 

그런 이야기를 나눈 후에 (주지 스님이) 현장을 안내해 주시고, 꽃과 과자를 갖추어 불경을 외워 주셨다. 금년 326일에 다카라즈카의 조선인을 추도하는 비를 건립한다고 전하자, 지금까지 자신들이 계속해 온 위령의 마음도 이어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몹시 기뻐해 주셨다. 그리고 놀랍게도 추도비가 완성되는 날 아침 만푸쿠지의 주지 내외분이 우리보다 일찍 현지를 찾아 추도비 앞에서 법요(法要)를 지내 주셨다.”

 

 

콘도 도미오 선생은 만푸쿠지에서 온 중대한 소식이라고 하셨을 뿐, 누가 어떤 방법으로 연락해 왔는지는 서술하지 않았다. 그런데 이는 다이꼬꾸 스미애(大黑澄枝) 선생을 통해서였음이 최근에 밝혀졌다.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은 내게 보내신 카톡 문자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20202월 제 제자인 만푸쿠지의 아다치 유리(足立有里)씨로부터 저에게 타마세 부인회에서 100년이 넘는 기간을 제사했는데 이제 중단그만하고 싶다는 제의가 있습니다. 누구에게 상담하면 좋습니까?’라는 전화가 와서 콘도 도미오 선생님에게 연락했습니다. 326일 건립 예정이었던 추도비에 고베 수도공사에서 희생된 3명의 이름을 더해 새기게 되었습니다. 굉장히 극적이고 기념할만한 일이었습니다.”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은 콘도 도미오 선생과 함께 다카라즈카 시립중학교의 교사로 근무하셨고, 만푸쿠지의 아다치 유리씨는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의 제자였다. 졸업 후 승려가 되신 아다치 유리씨는 승명(僧名)을 아다치 치쿄(足立智教)로 정하셨고, 아다치 다이쿄(足立泰教)와 결혼해 만푸쿠지의 3대 주지부부로 재직 중이셨다.

 

 

세 조선인의 참배묘를 1백년 이상 유지하며 제사해 오던 만푸쿠지의 사정이 어려워지자 아다치 치쿄씨는 스승인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님께 상의해 왔고,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님은 이 소식을 다카라즈카의 동료 활동가 콘도 도미오 선생님에게 알려주셨던 것이다.

 

1986년 가을 정홍영 선생님과 함께 세 조선인의 매장묘터를 찾아내셨던 콘도 도미오 선생은 마침내 아다치 치쿄씨와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님의 도움으로 그들의 참배묘도 재발견하신 것이다. 매장묘터가 발견된 지 35년 만의 재발견이었다. (2022/9/12, 조정희)

 

,

1914-1915年神戸水道工事犠牲になった3朝鮮人労働者する鄭鴻永(チョン·ホンヨン)先生記録玉瀬埋葬墓確認してわった

 

鄭鴻永先生らが間違いなく西谷のどこかにめられているはずであつた確信しながら地元のお過去帳調べたり墓地をまわつて墓石無縁仏してみたりしたがどうしてもそれらしい場所確認することができないのでたが以後朝鮮人労働者行跡つからなかったとした

 

その鄭鴻永-近藤富男先生兵庫県在日朝鮮人歴史再構成するための研究邁進10にわたる研究結果歌劇のもうひとつの歴史:宝塚朝鮮人(1997)という出版された

 

 

宝塚朝鮮人3部構成となっている112研究結果報告書215鄭鴻永先生がインタビューした在日朝鮮人115証言3には調査過程確保した資料年表収録した西谷朝鮮人労働者11収録されたことからこれが鄭鴻永-近藤富男調査研究チームの最初調査研究だったとられる

 

この関西在日朝鮮人史研究者歓迎された力著だが一般にはあまり注目されないままれられ初版発行後絶版となった筆者絶版になったこのむことができたのは幸運だった鄭鴻永先生長男である伊丹居住写真家鄭世和先生自分所蔵本特送郵便ってくれたためだ

 

筆者鄭世和先生ったのは2019年崔承喜(チェ·スンヒ)先生日本公演調査するために関西地域訪問しただったちょうど大阪かれた<在日朝鮮学校中央芸術競演大会>参観したがその会場行事記録担当していた鄭世和先生った

 

すぐしくなったたちはあらゆるわした. 崔承喜先生調査研究をし鄭世和先生朝鮮学校をしてくれた。 「宝塚朝鮮人追悼碑がまもなく建立されるというめていたのもその鄭世和先生からだった

 

 

鄭世和先生紹介真銅敏之先生にも近藤富男先生にもったこの々は鄭世和先生父親鄭鴻永先生とともに兵庫在日朝鮮人調査研究踏査旅行参加した々だった

 

近藤富男先生20001鄭鴻永先生他界した朝鮮関係研究けた韓国有機農学校給食とハングル用例研究した<むくげ通信>長期連載されたりもしたしかしよりも宝塚水道鉄道工事犠牲になった朝鮮人労働者のための追悼碑てたいという鄭鴻永先生遺志れなかった

 

近藤富男先生20にわたり兵庫県大阪府知識人在日同胞活動家たちの努力糾合したついに20203宝塚朝鮮人追悼碑てた神戸水道工事福知山線鉄道工事犠牲になった5朝鮮人労働者のための追悼碑だった<むくげ通信>20205月号寄稿した近藤富男先生追悼碑建立するやいなやその鄭鴻永先生けつけ追悼碑建立報告をしたいた

 

 

本来追悼碑福知山線鉄道工事死亡した2朝鮮人労働者のために建設される予定だったところが追悼碑建立直前20202近藤富男先生宝塚玉瀬仏教寺院滿福寺大京足立住職から電話けた3朝鮮人労働者参拝墓滿福寺境内けられており玉瀬婦女会とともに100年以上彼らに無縁故者として祭祀ってきたというだった

 

これに近藤富男先生追悼碑建立関係者たちと当初2のために建立しようとした追悼碑5人追悼碑変更同年326日追悼碑建立えた鄭鴻永先生他界して20鄭鴻永-近藤富男調査研究チームが神戸水道工事殉難者たちを調査めて35ぶりのことだった。 (2022/9/7趙正熙(チョウ·ジョンヒ)

 

,

1914-1915년 고베수도 공사에서 희생된 3인의 조선인 노동자에 대한 정홍영 선생의 기록은 타마세의 매장묘를 확인하면서 끝났다. 정홍영 선생님은 이들이 틀림없이 니시타니 어딘가에 묻혀 있을 것이라고 확신하면서 이 지역 사찰의 과거 기록을 뒤지고 묘지를 돌아보면서 묘비나 무연고 묘소를 찾아보았지만 이후 조선인 노동자들의 행적은 찾을 수 없었다고 했다.

 

이후 정홍영-콘도 도미오 선생은 효고현의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다른 연구에 매진했고, 10여년에 걸친 연구 결과는 정홍영 선생의 <가극의 거리의 또 다른 역사: 다카라즈카와 조선인(1997)>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다카라즈카와 조선인>3부로 구성되었다. 1부의 12개 장()은 연구 결과 보고서, 2부의 15개 장은 정홍영 선생이 인터뷰한 재일 조선인 115명의 증언이다. 3부에는 조사과정에서 확보한 자료들과 연표를 수록했다. 니시타니의 조선인 노동자 이야기가 11장에 수록된 것으로 보아, 이것이 정홍영-콘도 도미오 조사연구팀의 첫 번째 조사연구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간사이 지역의 재일조선인사 연구자들 사이에서 환영을 받은 역저이지만, 일반에는 큰 주목을 끌지 못한 채 잊혀 졌고, 책도 초판을 발행한 후 절판되었다. 필자가 절판된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었다. 정홍영 선생님의 장남이신 이타미 거주 사진가 정세화 선생이 자신의 소장본을 특송 우편으로 보내 주셨기 때문이다.

 

필자가 정세화 선생을 만난 것은 2019년 최승희 선생의 일본 공연을 조사하기 위해 간사이 지역을 방문했을 때였다. 때마침 오사카에서 열린 <재일조선학교 중앙예술경연대회>를 참관했는데, 그 대회장에서 행사 기록을 담당하셨던 정세화 선생을 만났다.

 

빠르게 친해진 우리는 온갖 이야기를 나누었다. 나는 주로 최승희 선생 조사연구 이야기를 했고 정세화 선생은 조선학교 이야기를 해 주셨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가 곧 건립된다는 이야기를 처음 들었던 것도 그때 정세화 선생님으로부터였다.

 

 

정세화 선생의 소개로 신도 도시유키(真銅敏之) 선생도 만났고 콘도 도미오(近藤富男) 선생님도 알게 되었다. 이분들은 정세화 선생의 부친 정홍영 선생님과 함께 효고현의 재일조선인사 조사연구나 답사여행에 동참하신 분들이었다.

 

콘도 도미오 선생님은 20001월 정홍영 선생님이 타계하신 후에도 조선관계 연구를 계속하셨다. 한국의 유기농 학교 급식과 한글 용례를 연구하신 글은 <무쿠게 통신>에 장기 연재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무엇보다도 다카라즈카의 수도, 철도공사에서 희생된 조선인 노동자들을 위한 추도비를 세우고 싶다는 정홍영 선생님의 유지를 잊지 않으셨다.

 

콘도 도미오 선생은 약 20년에 걸쳐 효고현과 오사카부의 지식인과 재일동포 활동가들의 노력을 규합한 끝에 마침내 20203<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를 세웠다. 고베수도공사와 후쿠치야마선 철도공사에서 희생된 5인의 조선인 노동자를 위한 추도비였다. <무쿠게 통신> 20205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콘도 도미오 선생은, 추도비를 건립하자마자 그길로 정홍영 선생의 묘소로 달려가 추도비 건립을 보고드렸다고 썼다.

 

 

원래 추도비는 후쿠치야마선 철도공사에서 사망한 2인의 조선인 노동자를 위해 건립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추도비 건립 직전인 20202, 콘도 도미오 선생님은 다카라즈카 타마세의 불교 사찰 만푸쿠지(滿福寺)의 주지 타이쿄 아다치 스님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3인의 조선인 노동자의 참배묘가 만푸쿠지 경내에 마련되어 있고, 타마세 부녀회와 함께 1백년이 넘게 이들에게 무연고자 제사를 드려왔다는 말씀이었다.

 

이에 콘도 도미오 선생은 추도비 건립 관계자들과 의논해 당초 2명을 위해 건립하려던 추도비를 5인 추도비로 변경했고, 그해 326일 추도비 건립을 마쳤다. 정홍영 선생님이 타계하신지 20, 정홍영-콘도 도미오 조사연구팀이 고베수도공사 희생자들을 조사하기 시작한지 35년만의 일이었다. (2022/9/7, 조정희)

 

,

鄭弘永チョン·ホンヨン1929-2000985から2年余りの文献調査現地踏査じて南益三(ナム·イクサム)居住していた合宿所位置いていた作業場推論のレベルでも特定することができたしかし南益三氏がどのトンネル工事でどんな事故死亡したのか確認できなかった記録もないからだ

 

鄭鴻永さんは紅葉館女将である松本文美さん當時78からトンネル工事事故する簡単証言ることができただけだった松本彩美さんはトンネルで発破事故負傷者がかなりかったとし被害者たちは全身さって今日3明日5というふうにまみれになって医師ばれるした

 

 

鄭鴻永さんはトンネル事故調査する同時3朝鮮人犠牲者埋葬地調査したらの死亡後についても記録もなかったので西谷地域元老たちをねてみをけた長年調査過程鄭弘永氏のようにべている

 

西谷何度んだのは隧道工事現地調査りのにもう目的があつたそれは埋葬地すことであつた西谷にはから」、「のいわゆる両墓制風習近年までつていてぬとまず土葬しててるのである西谷村役場発行した認許証もまた火葬でなく埋葬である以上間違いなく西谷のどこかにめられているはずであつた地元のお過去帳調べたり墓地をまわつて墓石無縁仏してみたりしたがどうしてもそれらしい場所確認することができないので...

 

このみながら筆者無念にあった朝鮮人労働者埋葬地そのくてしい西谷山間地域った鄭鴻永先生姿がったどれだけ漠然としていただろうか

 

しかしえてみるとめになるもあった鄭鴻永先生はおそらく近藤富男(1950-2022)同行しただろう二人はいつも一緒調査一緒研究していたパートナーだったからだ20001鄭鴻永先生くなった追慕する近藤富男先生金魚になったいたことがあるほどだった

 

 

1986年秋ついに鄭鴻永先生近藤富男先生南益三氏3朝鮮人埋葬した埋葬地発見した西谷大原野んでいた郷土史学者光国光氏けで西谷共同墓地跡つけることができたのだ

 

一九八六年初秋のある光国さんから電話埋葬地がわかつたという連絡けた翌日私光国さんといつしょにらせて埋葬地つた玉瀬墓地かられた小高るとまだ一面えてあつてどうてもめられた埋葬地にはえなかつた

 

光国さんの説明によるとこのから共有地であり農家つていたんだめた馬墓であつためは玉瀬墓地下手にある空地められたがそのうちに場所くなつてこの馬墓々とめられたことが地元古老々とえられているというのである。」

 

 

鄭鴻永先生はついに3朝鮮人労働者まっているところをねたが数十万人神戸市民生命水工事自身げた々の埋葬地とはられないほどみすぼらしいわれたところに風化したがむやみにかれていることからそこがてられてしい墓地だということがかった鄭鴻永先生自分感想をこのようにえた

 

しばらくのそのくすのみであつたもの歳月らはいつたいどんないでこのけているのだろうか遠方から出稼ぎに生命とした人達はるばるつて異郷められた朝鮮人たちの無念気持ちがわるようであつたわせてらの冥福るのみであつた。」 2022/9/6jc

 

,

정홍영(1997)씨는 2년여의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통해 남익삼씨가 거주했던 합숙소의 위치와 그가 일했던 작업장을 추론의 수준에서나마 특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익삼씨가 구체적으로 어느 터널 공사에서 어떤 사고로 사망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아무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정홍영씨는 코요칸(紅葉館)>의 안주인 마츠모토 아야미(松本文美, 78)씨로부터 터널공사 사고에 대한 간략한 증언을 얻을 수 있었을 뿐이었다. 마츠모토 아야미씨는 터널에서 발파 사고로 부상자가 꽤 많았다면서, 피해자들은 온 몸에 돌이 박혀서 오늘은 세 명, 내일은 다섯 명이라는 식으로 피투성이가 되어 의사에게 실려 가곤 했다고 말했다.

 

 

정홍영씨는 터널 사고를 조사하면서 동시에 3명의 조선인 희생자들의 매장지를 찾았다. 이들의 사망 후에 대해서도 아무 기록이 없었으므로 주로 니티타니 지역의 원로들을 찾아 탐문을 계속했다. 오랜 탐문 조사의 과정을 정홍영씨는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내가 니시타니에 몇 번이나 발길을 옮긴 것은, 터널 공사의 현지조사나 증언 청취 말고도 또 하나의 목적이 있었다. 그것은 매장지를 찾는 일이었다. 니시타니에는 예로부터 '참배묘()''매장묘()'의 두 가지 묘제를 유지하는 풍습이 최근까지 남아 있다. 사람이 죽으면 먼저 '매장묘'에 토장을 하고 (참배하는) 묘는 다른 곳에 세우는 것이다.

 

니시타니 사무소에서 발급한 허가증도 화장이 아닌 매장인 이상 틀림없이 니시타니 어딘가에 묻혀 있을 것이었다. 이 지역 사찰의 과거 기록을 뒤지고 묘지를 돌아보면서 묘비나 무연고 묘소를 찾아보기도 했지만 그럴듯한 장소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 글을 읽으면서 필자는 억울한 죽음을 당한 조선인 노동자들의 매장지를 찾아 그 넓고 험한 니시타니 산간지역을 찾아 헤매던 정홍영 선생님의 모습이 떠올랐다. 얼마나 막막하셨을까?

 

 

그러나 생각해 보니 위안되는 점도 있었다. 정홍영 선생님은 아마도 콘도 도미오(近藤富男, 1950-2022) 선생과 동행하셨을 것이다. 두 분은 항상 같이 조사하고 같이 연구하시던 단짝 파트너이셨기 때문이다. 20001월 정홍영 선생이 돌아가신 후 그를 추모하는 글에서 콘도 도미오 선생은 나는 그의 금붕어 똥이 되었다고 쓰신 적이 있을 정도였다.

 

1986년 가을, 마침내 정홍영 선생과 콘도 도미오 선생은 남익삼씨를 포함한 3명의 조선인들이 묻힌 매장지를 찾아냈다. 니시타니(西谷)의 오하라노(大原野)에 거주하던 향토사학자 미쓰쿠니 히카리(光国光) 씨의 도움으로 니시타니의 공동묘지 터를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다.

 

“1986년 초가을의 어느 날, 미쓰쿠니 씨로부터 매장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전화 연락을 받았다. 다음날 나는 미쓰쿠니 씨와 함께 차를 몰아 그 매장지로 향했다. 타마세의 묘지에서 조금 떨어진 나지막한 산속으로 들어가니 아직 어린 밤나무가 가득 심어져 있어 아무리 봐도 사람이 묻힌 매장지로 여겨지지는 않았다.

 

미쓰쿠니 씨의 설명에 따르면 이 산은 옛날부터 마을의 공유지였으며 농가에서 기르던 소나 말이 죽었을 때 묻는 '말 무덤(馬墓)'이었다고 한다. 사람이 죽으면 처음에는 타마세의 묘지 아래쪽 공터에 묻었지만, 장소가 좁아지자 이 말 무덤 옆에 차례차례 묻었던 일이 지역 원로들 사이에 자세히 전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홍영 선생은 마침내 3명의 조선인 노동자들이 묻혀 있는 곳을 찾았으나, 수십 만 명의 고베 시민에게 생명수를 보내는 공사에 자신의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매장지라고 볼 수 없을 만큼 초라했다. 흙이 덮인 곳에 풍화된 돌들이 아무렇게나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그곳이 버려진 지 오래된 묘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홍영 선생은 자신의 소회를 이렇게 덧붙였다.

 

나는 말없이 잠시 그 자리에 서 있었다. 80년의 긴 세월을 그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이 땅에 잠들어 있는 것일까. 돈을 벌려고 먼 곳에서 왔다가 목숨을 잃은 (일본) 사람들과 멀리서 바다를 건너와 타향에서 죽어 소와 말의 무덤에 묻힌 조선인들의 억울한 마음이 가슴 속에 전해지는 듯했다. 나는 그저 마음속으로 손을 모으고 그들의 명복을 빌 뿐이었다.” (2022/9/6, jc)

 

,

南益三氏参加した1次改修工事1914-1921では武庫川上流千刈にダムをいでしい貯水池浄水場発電所導水路建設工事同時われたその危険工事導水管通過させるためのトンネル掘削工事だった

 

千刈から生瀬まで12のトンネルがられたがトンネルは1.8m1.8m馬蹄形でありトンネル工事導水管水圧によって破損したり漏水することをぐためにコンクリートライニングと防水工事同時われた

 

このトンネル工事設計図面工程についてはくの文献資料っているが工事参加した作業員する記録はほとんどなかった。 「神戸市水道70年史にトンネル工事進行するのような記録っているだけだった

 

掘削さともメートルの導坑げをなう普通順序であつたがらかいところは手掘いところは爆薬使用した坑内のズリしはトロッコ二台一組としていトロッコー人夫二名積込手伝二名がつき土捨場整理一名掘方三名配置昼夜三交替とした坑内では当時のこととてもちろんカンテラやカーバイトランプの使用大部分であつたがただ宇塚付近では電力使用できたので電灯照明掘削した

 

この記録から推測してトンネル掘削作業はカンデラやカーバイトのわれ岩壁爆破のためにダイナマイトを使用したため危険常在した鄭鴻永氏のインタビューにじた波豆在住測量技師福本實二さん当時75はこう証言した

 

在職中先輩職員からよく大正時代第一回拡張工事きましたがいていたのはみな遠方から出稼ぎにきていた人達朝鮮人達ばかりでその当時朝鮮人日本人よりかつたそうです事故何人死人たといういたことがありますよ

 

 

しかし死亡者負傷者する記録くないため南益三氏3朝鮮人がどの工事犠牲になったのか把握するのはしかった南益三氏埋葬認許証には日本現地住所記載されておらずがどの地域居住したのかさえ推定できなかった

 

鄭鴻永氏方向えて西谷村役場発行した埋葬認許証全数調査した同氏西谷8地域つである玉瀬死亡者数注目したこの地域死亡者数年平均1-5だったが神戸水道第1次拡張工事があった1914-1916死亡者数年間6-15異例的かった

 

この3年間死亡者本籍地調査した結果現地人死亡者年間2-5例年とほぼじだったが外地人死亡者数3年間20だった死亡者推移1914101915819162減少傾向だったこの20外地人死亡者のうち1418から45までのりの男性でありそのうち朝鮮人3まれていた

 

 

鄭鴻永氏はまた武田尾飲食店兼旅館紅葉館のおかみさんである松本文美さん当時78から労働者合宿所工事事故する証言ることができた

 

子供でしたのでハッキリしたことはかりませんけども朝鮮らしいもいたようにいます。… トンネルエ工事発破事故怪我人がずいぶん沢山でました身体じゅうにさつて今日三人明日五人というぐあいにだらけになつて医者まれるのを何回たことがありますよ」。

 

2にわたる調査鄭鴻永氏朝鮮人労働者居住した合宿所(飯場)住所イズリハ1-45番地でありこの合宿所4トンネルと5トンネルからかったことをらかにしたしたがってイズリア合宿所居住した朝鮮人労働者4トンネル工事(1914/8/18-1916/7/13)5トンネル工事(1914/2/18-1916/1/11)投入されたと推定され南益三氏もこの工事参加して1915220事故にあったと推論された。 (2022/9/4趙正熙

 

,

남익삼씨가 참가한 제1차 개수공사(1914-1921)에서는 무코카와(武庫川)의 상류 센가리(千刈)에 댐을 막아 새 저수지를 만들고, 정수장, 발전소, 도수로 건설 공사가 동시에 진행했다. 그중 가장 위험한 공사가 도수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터널 굴착 공사였다.

 

센가리에서 나마제(生瀬)까지 12개의 터널이 만들어졌는데, 터널은 높이 1.8m, 너비 1.8m의 말굽모양이었고, 터널공사와 함께 도수관이 수압에 의해 파손되거나 누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 라이닝과 방수공사가 동시에 이뤄졌다.

 

 

이 터널 공사의 설계도면과 공정에 대해서는 많은 문헌 자료가 남아 있지만 공사에 참여한 인부들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었다. <고베시 수도 70년사>에 터널공사 진행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었다.

 

굴착은 폭과 높이 모두 1.8m의 도갱을 파서 넓혀 나가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였다. 부드러운 곳은 손으로 파고 단단한 곳은 폭약을 사용했다. 갱내에서 파낸 흙을 운반하기 위해 광차 2대를 1조로 하여 광차 1대에 인부 2, 그 밖에 흙을 부리는 것을 돕는 인부 2, 토사장 정리에 1, 굴착공 3명을 배치하여 주야 3교대로 작업했다. 갱내에서는 당시의 사정에 따라 칸델라나 카바이트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우즈카(宇塚) 부근에서는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 전등 조명으로 굴착작업을 했다.”

 

이 기록으로 미루어 터널 굴착 작업은 칸델라나 카바이트의 어두침침한 불빛 아래서 이뤄졌고, 암벽 폭파를 위해 다이나마이트를 사용했기 때문에 위험이 상존했다. 정홍영의 인터뷰에 응한 하즈(波豆) 거주 측량기사 후쿠모토 지츠지(福本實二, 당시 75)씨는 이렇게 증언했다.

 

재직 중에 선배 직원들로부터 자주 다이쇼시대 제1차 확장공사 때의 얘기를 들었는데, 인부들은 모두 먼 곳에서 돈 벌러 온 사람들이거나 조선 사람들뿐이었고, 그 당시에는 조선인이 일본인보다 많았다고 합니다. 사고로 사망자가 여러 명 났다는 말도 들은 적이 있어요.”

 

 

그러나 사망자나 부상자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기 때문에 남익삼씨를 포함한 3명의 조선인이 어느 공사에서 희생되었는지 알아내기는 어려웠다. 특히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에는 일본 현지 주소가 기재되지 않아 그가 어느 지역에서 거주했는지조차 추정하기 어려웠다.

 

정홍영은 방향을 바꾸어 니시타니(西谷) 촌사무소가 발행한 매장인허증을 전수 조사했다. 그는 니시타니 8개 지역의 하나인 타마세(玉瀬)의 사망자수에 주목했다. 이 지역 사망자 수는 연평균 1-5명이었는데, 고베수도 제1차 확장공사가 있었던 1914-1916년의 사망자 수는 연간 6-15명으로 이례적으로 많았다.

 

3년간 사망자들의 본적지를 조사하니 현지인 사망자는 연간 2-5명으로 예년과 비슷했으나, 외지인 사망자 수는 3년간 총 20명이었다. 사망자 추이도 191410명으로 가장 많았고, 19158, 19162명으로 감소추세였다. 20명의 외지인 사망자 중 14명이 18세에서 45세까지의 한창 일할 나이의 남성이었고, 그 중에 조선인 3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정홍영은 또 타케다오(武田尾)의 오래된 음식점 겸 여관 코요칸(紅葉館)의 안주인 마츠모토 아야미(松本文美, 78)씨로부터 노동자 합숙소와 공사 사고에 대한 증언을 얻을 수 있었다.

 

어려서 확실한 건 모르겠지만 조선 사람도 있었던 것 같아요. ... 터널에서 발파 사고로 부상자가 꽤 많았습니다. 온 몸에 돌이 박혀서 오늘은 세 명, 내일은 다섯 명이라는 식으로 피투성이가 되어 의사에게 실려 가는 것을 몇 번이나 본 적이 있어요.”

 

2년에 걸친 조사 끝에 정홍영은 조선인 노동자가 거주했던 합숙소(飯場=함바)의 주소가 '이즈리하 1-45번지'이며 이 합숙소는 제4호 터널과 제5호 터널에서 가까웠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이즈리아 합숙소에 거주했던 조선인 노동자들은 제4호 터널공사(1914/8/18-1916/7/13)와 제5호 터널공사(1914/2/18-1916/1/11)에 투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될 수 있었고, 남익삼씨도 이 공사에 참가했다가 1915220일 사고를 당했던 것으로 추론되었다. (2022/9/4, 조정희)

,

南益三氏埋葬認許証参考にして故郷今日慶尚南道統営市光道面だったと推定そのでも安井里黄里地域あるいは竹林里地域だったと範囲めることができたやこの地域調査して南益三氏がここ出身だという文献証拠証言確保すれば期待していた目的達成することになるだろう

 

南益三氏縁故地確認のための実際調査宝塚発生した死亡事故整理しておこうまず南益三氏死亡したのは1915220推定される埋葬認許証発給日221埋葬日221であることをると南益三氏はその前日220死亡翌日やかに埋葬されたものとみられるからだ水道改修工事参加して事故死った肉体労働者のために3日葬5日葬った可能性はほとんどなさそうだ

 

神戸水道工事朝鮮人労働者大挙参加したという事実らかにしたのは在日朝鮮人歴史家鄭鴻永(チョン·ホンヨン, 1929-2000)だった1985年春宝塚朝鮮人たちを調査めた西谷地域市史編集担当した若林泰氏から3埋葬認許証入手した金炳順(キム·ビョンスン)張長守(チャン·ジャンス)南益三(ナム·イクサム)埋葬認許証だった

 

 

鄭鴻永氏らの死亡時期1914-1915だったといういた日帝朝鮮強占実現してからわずか4~5時期日本宝塚山岳地帯である西谷玉瀬朝鮮人3死亡したというのが意外だったためだ

 

内務省警保局発行した統計報告書朝鮮人概況によると1915日本国内朝鮮人全国3,986兵庫県218だけだったこれは公式統計だから実際仕事めて日本渡航した朝鮮人はもっとかっただろうが大阪神戸東京などの大都市ではなく兵庫県奧地西谷朝鮮人3死亡したことはらかに不思議なことだった

 

以後鄭鴻永氏2年間調査じて朝鮮人労働者参加した工事神戸水道工事でありらが導水館のトンネル掘削工事事故った事実らかにした

 

 

神戸水道めて開通したのは1905だった横浜とともに日本代表的国際貿易港だった神戸には水道問題深刻だったえる市民だけでなく神戸港入港する船舶良質供給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ためだ1890には神戸にコレラががり1千人余りが死亡したがその原因つがきれいな用水不備だった

 

これに神戸市水道建設したが1893年神戸市議会水道建設計画承認したが日清戦争きたため1897になって工事まりついに神戸水道水給水まったのは1905だった

 

神戸水道開通したものの神戸市人口予想よりはるかに増加した水道工事着工当時189319万人だった人口完工時1905には32万人人口増加傾向依然としてだった神戸水道工事計画当時給水人口目標25万人だったが完工時にすでに人口目標値えてしまったため神戸水道拡張工事けられなくなった

 

 

神戸市政府武庫川上流千刈たな水源2にわたって拡張工事った日本語文献にはこれを改修工事記述したが水源やし導水路たに架設するなどの拡張工事であった

 

1次拡張工事1914まり1921完工2次拡張工事1926着工1931完成したが人口80万人神戸水道水供給することが目標だった

 

鄭鴻永氏埋蔵認許証れた金炳順(191413)南益三(1915121)張長守(1915324)埋葬日神戸水道工事進捗日程比較3朝鮮人労働者参加した神戸水道工事1914からまった神戸水道第1次改修工事(1914-1921)であったと断定することができた。 (2022/9/2趙正熙

 

,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을 참고하여 그의 고향이 오늘날의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이었던 것으로 추정했고, 그중에서도 지금의 안정리황리지역, 혹은 죽림리지역이었을 것으로 범위를 좁힐 수 있었다. 이제 이 지역을 조사해서 남익삼씨가 이곳 출신이라는 문헌증거나 증언을 확보한다면 기대하던 목적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남익삼씨의 연고지 확인을 위한 실제 조사에 나서기 전에 그가 다카라즈카에서 맞았던 사망사고를 정리해 두자. 우선 남익삼씨가 사망한 것은 1915220일로 추정된다. 매장인허증 발급일이 221일이고 매장일도 221일인 것을 보면 남익삼씨는 그 전날(220) 사망했고, 하루 만에 신속하게 매장됐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수도 개수공사에 참가했다가 사고사를 당한 막노동자를 위해 3일장이나 5일장을 치렀을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고베수도공사에 조선인 노동자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은 재일동포 역사가 정홍영(鄭鴻永, 1929-2000)이었다. 1985년 봄 다카라즈카의 조선인들을 조사하기 시작한 그는 니시타니 지역의 시사(市史) 편집을 담당했던 와카바야시 야스시(若林泰)씨로부터 3장의 매장인허증을 입수했다. 김병순, 장장수,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이었다.

 

 

정홍영씨는 이들의 사망시기가 1914-1915년이었다는 점에 놀랐다. 일제의 조선강점이 이뤄진지 불고 4-5년밖에 안되었던 시기에 일본 다카라즈카의 깊은 산악지대인 니시타니의 타마세에서 조선인이 3명이나 사망했다는 것이 의외였기 때문이다.

 

일본 내무성 경보국(警保局)이 발행한 통계보고서 <조선인개황(朝鮮人概況)>에 따르면, 1915년의 일본내 조선인은 전국에 3986, 효고현에 218명뿐이었다. 이는 공식통계니까 실제로 일자리를 찾아 일본으로 도항한 조선인은 더 많았겠지만, 오사카나 고베, 도쿄 등의 대도시가 아니라 효고현의 오지 니시타니에서 조선인이 3명이나 사망한 것은 이상한 일이었다.

 

이후 정홍영은 약 2년간의 조사를 통해 조선인 노동자들이 참가했던 공사가 고베수도공사였으며, 이들이 도수관의 터널 굴착공사에서 사고를 당했던 사실도 밝혀냈다.

 

고베에 수도가 처음 개통된 것은 1905년이었다. 요코하마와 함께 일본의 대표적인 국제무역항이었던 고베에는 수도 문제가 심각했다. 날로 늘어나는 시민들뿐 아니라 고베항에 입항하는 선박에 양질의 물을 공급해야 했기 때문이다. 특히 1890년에는 고베에 콜레라가 번져서 1천여명이 사망했는데, 그 원인의 하나가 용수 미비였다.

 

이에 고베시는 수도 건설에 나섰는데, 1893년 고베 시의회가 수도 건설계획을 승인했지만, 청일전쟁이 일어나는 바람에 1897년에야 공사가 시작되었고, 마침내 고베에 수돗물 급수가 시작한 것은 1905년이었다.

 

고베 수도가 개통되기는 했으나 고베시 인구가 예상보다 훨씬 빨리 증가했다. 수도공사 착공 당시(1893) 19만 명이던 인구가 완공 시(1905)에는 32만 명으로 불어났고, 인구 증가세는 여전히 가파랐다. 고베 수도공사 계획 당시 급수 인구 목표가 25만 명이었는데, 완공 시에 이미 인구가 목표치를 넘어버렸기 때문에, 고베수도의 확장 공사가 불가피해졌다.

 

 

고베 시정부는 무코가와(武庫川) 상류의 센가리(千刈)를 새로운 수원으로 결정, 두 차례에 걸쳐 확장공사를 단행했다. 일본어 문헌에는 이를 개수(改修)공사라고 서술했지만, 수원을 늘리고 도수로(導水路)를 새로 가설하는 등의 대대적인 확장 공사였다.

 

1차 확장공사는 1914년에 시작되어 1921년에 완공되었고, 2차 확장공사는 1926년에 착공하여 1931년에 완성되었는데, 인구 80만 명의 고베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것이 목표였다.

 

정홍영은 매장인허증에 나타난 김병순(191413), 남익삼(1915121), 장장수(1915324)씨의 매장일과 고베수도공사의 진척 일정을 비교하여, 3인의 조선인 노동자가 참가했던 고베수도공사는 1914년부터 시작된 고베수도 제1차 개수공사(1914-1921)였던 것으로 단정할 수 있었다. (2022/9/2, 조정희)

 

,

固城市立図書館郷土資料収録された朝鮮時代古地図6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行政区域一覧表参考にして南益三氏故郷慶尚南道固城郡春元面光三村だったと推定した

 

固城郡だったこの地域1914年以来統営郡になり解放後1955年統営郡地域春元面地域忠武市昇格したが1995年忠武市統営郡わせて統営市になってっているこれに1914年以前光三村地域広道面することになった

 

南益三氏埋葬認許証記録された住所春元面光三村という名前はこのように歴史えた。 「光三村今日光道面にそのした程度ところが今日統営市地図光道面地域調べれば春元面がさらにっている

 

 

光道面海岸から竹林里徳浦里安定里黄里などで構成されているが過去地図比較してみればこの地域過去光三面あるいは光三村だったにいないところが安井工團内春元1ギル」、「春元2ギル」、「春元3ギルという名前っているこれと関連して統営市のウェブサイトは春元という名前由来のように叙述した

 

安井国家産業団地内道路であり旧地名春元浦由来する道路名黃里棉花山南側海岸位置気候のようにかい野原という意味春原朝鮮初期春原元変遷され地元地名チュンエオンゲ」、「チュノンケ」、「チュエオンケなどとばれた旧春元浦口最近海岸てられ安井工團として造成された。」

 

この記述通りなら春元浦黄里安亭里にまたがっていた浦口だったとえられる春元浦口ててったという安井国家産業団地黄里安井里両方にまたがっているためだ

 

 

春元浦15978元均(ウォンギュン)漆川梁海戦日本水軍敗北したててげる途中死亡したところでもあった春元浦位置壬辰倭乱著者たちによって黃里(ファンリ)安井里あるいはイェスン主張されたがまでは統営市光道面安井里だったということが多数説

 

しかし古地図<東輿図(1850年頃)>には春元面春元浦明示されたが轅門北側海岸のへこんだ湾南側春元浦という名前記録されているこれは春元浦黃里ではなく安井里海岸にあったことを示唆する

 

ただし<東輿島>統営市ウェブサイトそして壬辰倭乱研究書春元浦轅門以北海岸にあったと主張することには共通するしかし<東輿島>のすべての古地図春元面轅門以南地域すなわち統制営弥勒島龍南面地域だとった

 

春元という名前春元浦から由来春元浦安井里海岸だったとすれば々な古地図轅門以南地域春元面んだ理由だろうかこれは統制営移転したためだ

 

 

壬辰倭乱めて設置された統制営初代統制使李舜臣本来閑山島にいた丁酉再乱閑山統制営風飛雹散になった巨済島吾兒浦(オアポ)固城県春元浦などにみながら定着できなかったが16046代統制使李慶濬(·ギョンジュン)によって統営市地域定着したこの地域本来巨濟縣頭竜浦だったがすぐ春元面ばれめた

 

主要軍陣移転する地名一緒場合がよくあった巨濟助羅鎭(チョラジン)本来今日舊助羅鎭にあったが軍陣玉浦助羅鎭という名称ったまた金海市長有面チャンユミョンにあった新門津シンムンジン鎮海市安骨チンヘシ·アンゴル方向ると、「新門津という名前一緒移転した

 

三道水軍統制営安定里海岸春元浦にあったが統制営頭龍浦それがあった地名春元まで一緒それで統営市内地域春元面ばれるようになったとられる。 (2022/9/1趙正熙(チョウ·ジョンヒ)

 

,

1914行政区域改編前後地名対照して作成された報告書新旧対照朝鮮全図府郡面里洞名称一覧(1916越智唯七編纂中央市場発行)海東地図(1750年頃)慶尚道地図(1872)」、そして地図(1884)をはじめとする6つの古地図調査した結果今日統営春元面であったことがかった

 

しかし南益三氏故郷当時春元面自体ではないかもしれないという疑問があった埋葬認許証れた住所最後先三村という地名のためだった先三村または先三という地名新旧対照朝鮮全図府郡面里洞名称一覧収録されていなかった

 

しかし古地図調査していたところ筆者春元面のすぐ北側光三面があり漢字ているという事実えが到達したもしかしたら南益三氏埋葬認許証記録された先三村光三村誤記かもしれない

 

 

古地図れた地名光三ではなく光三それより北側位置した光一面光二面いて命名されたものとられる調査対象になった古地図海東地図(1750年頃)によると光一面光内一運面光二面光内二運面略語だったしかしこの地図光内三運面れていないことから18世紀には光三面設置されなかったものとられる

 

しかし慶尚道地図(1872)では春元面所在統制営玄関である轅門のすぐ北側光三面設置されたことがられるつまり海東地図時期にはなかった光三面慶尚道地図製作以前設置されたのだ。 『慶尚道地図南益三氏出生(1878年頃)する製作されたのでがここでまれたとすれば故郷春元面ではなく光三面で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だろう

 

しかし光三面はその後再姿した南益三氏出生直後製作された<地図(21884)>には轅門以南地域春元面とそのまま表記されていたが轅門のすぐ北側位置した光三面という表記えた反面それよりさらに北側には光一面光二面がそのまま存続した

 

 

えればこのには光三面春元面にすでに移属されたものと推定できるそのため南益三氏埋葬認許証住所春元という言葉先三(光三誤記推定)という言葉同時登場したのではないかとえられるおそらく光三面設置されたさな地域だったため春元面移属され光三村格下げされた可能性もあるこの光三村埋葬認許証先三村誤記されたものと推定されたのだ

 

光三面/村域1914年日帝行政区域改編統営郡することになった反面光一面光二面固城郡された光一面固城郡居留面光二面固城郡東海面まれその名前えた

 

反面光三村地域日帝行政区域改編道内面統営郡広道面になった光道面光三面道内面頭文字ってった名前だったため光三面はその一部ではあるが統営にその痕跡しているわけだ

 

 

このようにれば南益三氏故郷慶尚南道固城郡春元面光三村だっただろうもちろんこれはまだ推定埋葬認許証記録された南益三氏故郷住所半分以上確認されていない春六まれることもありうる地名そのような地名当時朝鮮行政区名目録にないという理由春元誤記断定した先三という表記光三誤記推定したなどがすべて事実合致する場合にのみ事実められるだろう

 

埋葬認許証南益三氏住所曖昧その資料がないためこのように推定でもしてみるのが筆者としては最善だったそしてやこの推定朝鮮内縁故してみるしか方法がない状況。 (2022/8/31趙正熙

 

,

南益三氏朝鮮内縁故地推定するためには埋葬認許証記録された不完全住所依存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がこの住所でどの部分正確でどの部分間違っているのか判断できなかったしたがって不正確住所からとか信頼できる部分区別する方法じ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

 

筆者はまず----などの行政単位をすべて無視して地名固有名詞だけを調査することにしたそれで中清春元」、「連北先三という名前だけがることになったまた草書体した文字のため、「春元ているようにえる春六連北ている蓮地調査めた

 

この6つの地名新旧対照朝鮮全図府郡面里洞名称一覧(1916越智唯七編纂中央市場発行)調べてみたこの報告書1914日帝朝鮮行政区域改編した結果をまとめたもので19世紀末20世紀初めに朝鮮使われた行政区域名前網羅していたこの報告書本文だけで1096ページにする膨大分量だったが1915死亡した南益三氏住所確認するのに時期的適切文献だった

 

 

同報告書によると20世紀初めの朝鮮全図中淸連北先三という地域名称はなかった。 「連地春六じだったところが春元という名前追跡可能だった

 

この報告書にも春元という名前てこないが1914年以降統営郡過去龍南郡巨済郡統合した地域であることがかった固城-統営地域行政区域変遷史多少複雑だったが要約すればりだ

 

現在固城統営地域(1)三韓時代以前辰国三韓時代には弁韓していた古資彌凍國伽耶時代には小伽倻所在地だった(2)南北国時代古資郡ばれていたこの地域新羅景徳王(在位742-765)固城郡改称され757康州(現在晋州)併合された(3) 1016(高麗顯宗9)この地域巨濟縣移管されたが(4)1275(高麗忠烈王2)南海縣移属され1308(忠烈王復位10)巨済縣された

 

 

朝鮮時代って(5)1604(宣祖37)この地域三道水軍統制営設置されたが当時名前巨濟縣頭竜浦だった(6) 1677(肅宗3)頭龍浦固城県移属され春元面改称された(7) 1869に固城県春元面戸籍紛糾事件朝鮮朝廷はこれにする事後策として1870固城縣固城府昇格した(8) 1880固城府は固城還元され1884固城府昇格した

 

(9) 1895(高宗32)春元面所在三道水軍統制営廃止され固城府固城郡改称された。(101900年統制営所在した地域が固城から独立鎭南郡になった。(111909鎭南郡龍南郡改称された。(121914日帝行政区域改編龍南郡巨済郡とともに統営郡併合された

 

すなわち統営郡(1914)併合された龍南郡(1909-1914)はその直前名前鎮南郡(1900-1909)でありその230年間「固城//郡春元面(1677-1900)だったのだ

 

 

1915220死亡した南益三氏埋葬認許証には生年月日不詳としながらも死亡時年齢37だとべたこれを逆算すれば南益三氏まれた年度1870年代末だがその当時統営名前固城府春元面だった

 

南益三氏日本んでいた、「故郷はどこかという質問けたとすれば、「慶尚道固城府春元面えただろう春元まれ最初20年間をそこでらしたはずだからだ

 

20代後半春元鎮南30代前半には龍南わり朝鮮れて日本兵庫県から神戸水道工事投入された統営になったが持続的わる故郷公式名称がどれほど馴染んでいたかは疑問。 (2022/8/29趙正熙

 

,

고성시립도서관의 향토자료에 수록된 조선시대 고지도 6점과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일람표를 참고하여, 남익삼씨의 고향은 경상남도 고성군 춘원면 광삼촌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고성군이었던 이 지역은 1914년 이래 통영군이 되었고, 해방후 1955년 통영군 지역을 제외한 춘원면 지역이 충무시로 승격했다가, 1995년 충무시와 통영군이 합쳐 통영시가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1914년 이전의 광삼촌 지역은 지금의 광도면에 속하게 되었다.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에 기록된 주소 중에서 춘원면광삼촌이라는 이름은 이렇게 역사 속으로 사려졌다. ‘광삼촌()’자가 오늘날의 광도면(光道面)에 그 자취를 남긴 정도다. 그런데 오늘날의 통영시 지도에서 광도면 지역을 살펴보면 춘원면의 흔적이 더 남아 있다.

 

 

광도면 해안은 남에서 북으로 죽림리와 덕포리, 안정리와 황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과거의 지도와 비교해 보면 이 지역이 과거의 광삼면 혹은 광삼촌이었음에 틀림없다. 그런데 지금의 안정 공단 내에 춘원1,’ ‘춘원2,’ ‘춘원3이라는 길 이름이 남아 있다. 이와 관련 통영시의 웹사이트는 춘원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안정국가산업단지 안의 도로이며, 옛 지명 춘원포(春元浦, 春原浦)에서 유래된 도로명이다. 황리(黃里) 면화산(棉花山)의 남쪽 해안에 위치하여 기후가 항시 봄날처럼 따뜻한 넓은 들이라는 뜻에서 춘원(春原)이라 칭했다가 조선 초기에 춘원(春元)으로 변천되었으며, 토박이 지명은 춘언개’, ‘추넝깨’, ‘추엉깨등으로 불리었다. 옛 춘원 포구는 최근 해안이 매립되어 안정공단으로 조성되었다.”

 

이 서술대로라면 춘원포는 황리와 안정리에 걸쳐 있었던 포구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춘원 포구를 매립해서 만들었다는 안정국가산업단지가 황리와 안정리 모두에 걸쳐 있기 때문이다.

 

 

춘원포15978월 원균이 칠천량 해전에서 일본 수군에 패배한 후 배를 버리고 도망가다가 사망한 곳이기도 했다. 춘원포의 위치는 임진왜란 저자들에 따라 황리안정리,’ 혹은 예승리등으로 주장되었는데, 지금까지는 통영시 광도면 황리였다는 것이 다수설이다.

 

그러나 고지도 <동여도(東輿圖, 1850년경)>에는 춘원면과 함께 춘원포가 따로 명시되었는데, 원문(轅門)의 북쪽 해안의 움푹 들어간 만 남쪽에 춘원포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춘원포가 황리가 아니라 안정리 해안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다만 <동여도>와 통영시 웹사이트, 그리고 임진왜란 연구서들은 모두 춘원포가 원문 이북 해안에 있었다고 주장하는 데에는 공통된다. 그러나 <동여도>를 제외한 다른 모든 고지도들은 춘원면을 원문(轅門)의 이남 지역, , 통제영과 미륵도, 지금의 용남면 지역이라고 했다.

 

춘원이라는 이름이 춘원포에서 유래했고, 춘원포가 지금의 안정리 해안이었다면, 여러 고지도가 원문의 이남 지역을 춘원면이라고 불렀던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통제영이 옮겨간 것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처음 설치된 통제영(초대 통제사 이순신)은 본래 한산도에 있었다. 정유재란으로 한산의 통제영이 풍비박산이 난 후 거제도 오아포, 고성현 춘원포 등지로 옮겨 다니면서 자리를 잡지 못하다가 1604년 제6대 통제사 이경준에 의해 지금의 통영시 지역에 정착했다. 이 지역은 원래 거제현 두룡포(頭龍浦)였지만 이내 춘원면이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주요 군진이 이전할 때 지명도 함께 옮겨가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거제의 조라진은 원래 오늘날의 구조라진에 있었지만 진이 옥포로 옮기면서 조라진이라는 명칭도 옮겨갔다. 또 김해시 장유면에 있던 신문진도 진해시 안골방향으로 옮겨 가자 신문진이라는 이름도 따라 갔다.

 

삼도수군통제영도 원래 안정리 해안의 춘원포에 있었으나, 통제영이 두룡포로 옮겨가면서 그것이 있었던 지명 춘원까지 따라 옮겨갔고, 그래서 지금의 통영시내 지역이 춘원면이라고 불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22/8/31, 조정희)

 

,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전후의 지명을 대조하여 작성된 보고서 <신구대조 조선전도 부군면리동 명칭일람(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916, 越智唯七編纂, 중앙시장 발행)><해동지도(1750년경)><경상도지도(1872)>, 그리고 <지도(1884)>를 비롯한 6개 고지도를 조사한 결과 오늘날의 통영이 춘원면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남익삼씨의 고향은 당시의 춘원면자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의문이 들었다. 그의 매장인허증에 나타난 주소 맨 마지막의 선삼촌(先三村)’이라는 지명 때문이었다. 선삼촌(先三村) 혹은 선삼(先三)이라는 지명은 <신구대조 조선전도 부군면리동 명칭일람>에 수록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고지도를 조사하던 중 필자는 춘원면의 바로 북쪽에 광삼면(光三面)’이 있었고, 한자 먼저 선()’자는 빛 광()’자와 유사하다는 사실에 생각이 미쳤다. 어쩌면 남익삼씨 매장인허증에 기록된 선삼촌광삼촌의 오기일 수도 있는 것이다.

 

 

고지도에 나타난 지명은 광삼이 아니라 광삼으로 그보다 북쪽에 위치한 광일면광이면에 이어 명명된 것으로 보인다. 조사대상이 되었던 가장 오래된 고지도 <해동지도(1750년경)>에 따르면 광일면은 광내일운면(光內一運面), 광이면은 광내이운면(光內二運面)의 줄임말이었다. 그러나 이 지도에 광내삼운면(光內三運面)이 나타나 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18세기에는 광삼면이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상도지도(1872)>에서는 춘원면 소재 통제영의 현관인 원문(轅門) 바로 북쪽에 광삼면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해동지도> 시기에는 없었던 광삼면이 <경상도지도> 제작 이전에 설치되었던 것이다. <경상도지도>는 남익삼씨가 출생(1878년경)하기 전에 제작되었으므로 그가 이곳에서 출생했다면 그의 고향은 춘원면이 아니라 광삼면이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광삼면은 이후 다시 사라졌다. 남익삼씨 출생 직후에 제작된 <지도(2, 1884)>에는 원문의 이남 지역은 춘원면으로 그대로 표기되어 있었지만 원문 바로 북쪽에 자리잡았던 광삼면이라는 표기는 사라진 반면, 그보다 더 북쪽에는 광일면과 광이면이 그대로 존속했다.

 

 

다시 말해 이때쯤이면 광삼면은 춘원면에 이미 이속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랬기 때문에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의 주소에 춘원이라는 말과 선삼(先三, 광삼(光三)의 오기로 추정)’이라는 말이 동시에 등장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아마도 광삼면은 나중에 설치된 작은 지역이었기 때문에 춘원면에 이속되면서 광삼촌(光三村)으로 격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 광삼촌이 매장인허증에 선삼촌으로 오기된 것으로 추정된 것이다.

 

광삼면/촌 지역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에 통영군에 속하게 되었던 반면, 광일면과 광이면은 고성군에 남겨졌다. 광일면은 고성군 거류면에, 광이면은 고성군 동해면에 포함되어 그 이름이 사라졌다.

 

반면 광삼촌 지역은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에 도내면과 함께 통영시의 광도면이 되었다. 광도면은 광삼면도내면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었기 때문에 광삼면은 그 일부나마 통영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는 셈이다.

 

 

이렇게 보면 남익삼씨의 고향은 경상남도 고성군 춘원면 광삼촌이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아직 추정이다. 매장인허증에 기록된 남익삼씨의 고향 주소 중에서 절반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 춘육(春六)이라고 읽힐 수도 있는 지명이, 그런 지명이 당시 조선의 행정구명 목록에 없다는 이유로 춘원(春元)의 오기라고 단정한 점, 선삼(先三)이라는 표기도 광삼(光三)의 오기라고 추정한 점 등이 모두 사실에 부합할 경우에만 사실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매장인허증의 남익삼씨 주소는 모호했고, 그 밖의 다른 자료가 없으니 이렇게 추정이라도 해 보는 것이 필자로서는 최선이었다. 그리고 이제 이 추정을 발판으로 그의 조선 내 연고를 찾아보는 수 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2022/8/31, 조정희)

 

,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에 나타난 조선 주소지 춘원(春元)’이 오늘날의 통영이라는 사실을 파악한 후 필자는 이를 고성시립도서관에서 발견한 고지도에서 확인하기로 했다.

 

이 도서관이 소장한 <고성군지(1-3)><고성사료집(1-3)>에는 다양한 고지도가 수록되어 있었다. 그중 적어도 5개 고지도에 춘원이 명시되어 있었다.

 

고성 향토자료들에 실린 가장 이른 시기의 고지도는 <해동지도(海東地圖, 1750년경)>였다. 812822장으로 구성된 <해동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에는 조선전도와 조선8도의 도별 지도, 그리고 전국 330여 군현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모든 지도가 채색필사로 제작된 <해동지도>의 제5책에 경상도 지도가 포함되어 있는데, <고성현도(固城縣圖)>도 여기에 속해 있다.

 

 

<고성현도>의 중앙에는 바다와 산맥과 강줄기 사이사이에 고성을 비롯한 지명들이 적혀 있었고, 그 여백에는 고성현의 지리와 인구, 병력과 수세 상황들이 부기되어 있었다. 특히 오른쪽 하단에는 12개 부속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춘원면은 맨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었다. 이 지도에 따르면 춘원면의 크기는 가로 30, 세로 70리로 고성현의 12개 면 중에서 면적이 가장 넓었다. 지도 본문에 따르면 삼도수군통제영의 동쪽, 바다에 면한 구릉지역에 춘원면(春元面)”이라고 가로로 표기한 것이 선명하게 보였다.

 

그로부터 약 1백년 후에 제작된 <경상도지도(慶尙道地圖, 187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에도 춘원면이 표기되어 있었다. 1871년 신미양요를 겪은 뒤 전국적으로 벌어진 지지와 지도 편찬 작업의 일환으로 경상감영이 편찬한 <경상도지도>9()으로 구성된 군,현지도와 목장, 산성, 군진의 지도를 포함하여 모두 104매의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경상도지도>는 조선 정부에서 마지막으로 편찬한 전국 군·현지도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으로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군·현지도 중에서 내용이 가장 상세하고 정밀한 지도로 평가된다. 특히, ·현지도 외에 각 군·현에 소속된 산성, 목장, 진보 등 군사 지역의 지도를 포함한 것으로 보아 지도 작성의 목적이 국방과 관련된 것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개항 후 변모되기 직전의 각 군·현의 모습을 그렸기 때문에 조선 시대 경상도 각 지역의 초상화라 할 수 있는 지도이다.

 

 

춘원면을 서술한 <고성부지도><경상도지도>의 제9()에 수록되어 있는데, 고성반도(=통영반도) 남부와 미륵도를 포함한 지역에 춘원면이라는 표기가 되어 있다. 춘원면의 북쪽에는 선산면과 광삼면, 그 위쪽에는 광일면과 광이면이 보인다.

 

그밖에도 고성시립도서관에 소장된 각종 향토자료에 수록된 지도 중에서 춘원면을 표기한 것으로는 <여지도(輿地圖, 1789-1795)><동여도(東輿圖(19세기, 철종연간, 재위 1849-1864)>, 그리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1861)> 등이 있다.

 

이상의 5개 고지도들은 모두 18세기와 19세기 중반의 지도들로 남익삼씨(1878년경 출생)가 출생하기 이전의 지도들이다. 그가 출생한 후에 제작된 이 지역의 지도를 찾아보니 1884년에 간행된 <지도(地圖,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 소장)>가 있었다.

 

 

<지도(1884)>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으로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에 도별전도, 3()에 각도 소속 군현의 개별도가 포함되어 있다.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지도(2)>에 수록된 고성부 지도에 따르면 고성반도(=통영반도)의 좁은 길목에 설치되었던 원문(轅門) 이남 지역에 춘원면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었다. 그리고 통영반도 남쪽, 봉화가 그려져 있는 섬 미륵도에도 춘원면이라는 표시가 되어 있었다.

 

따라서 남익삼씨 출생 직후인 1884년 경, 통제영 인근 지역과 미륵도를 포함하여 원문의 이남 지역 전부가 춘원면이었던 것이다. (2022/8/30, 조정희)

 

,

남익삼씨의 조선내 연고지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매장인허증에 기록된 불완전한 주소에 의존해야 했는데, 이 주소에서 어떤 부분이 정확하고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판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부정확한 주소에서 어떻게든 믿을 수 있는 부분을 구별해 내는 방법을 강구해야 했다.

 

필자는 우선 ----등의 행정단위를 모두 무시하고 지명을 나타내는 고유명사만 조사해 보기로 했다. 그래서 중청(中淸)’춘원(春元),’ ‘연북(連北)’선삼(先三)’이라는 이름만 남게 되었다. 또 초서체로 흘려 쓴 글씨 때문에 춘원과 비슷해 보이는 춘육(春六)’연북과 유사하게 보이는 연지(連地)’도 조사에 포함시켰다.

 

이 여섯 개의 지명을 <신구대조 조선전도 부군면리동 명칭일람(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1916, 越智唯七編纂, 중앙시장 발행)>에서 찾아봤다. 이 보고서는 1914년 일제가 조선의 행정구역을 개편한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조선에서 사용된 행정구역 이름을 망라하고 있었다. 이 보고서는 본문만 1096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었지만, 1915년에 사망한 남익삼씨의 주소를 확인하기에 시기적으로 적절한 문헌이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세기 초의 조선전도에 중청연북선삼이라는 지역 명칭은 없었다. ‘연지춘육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춘원(春元)’이라는 이름은 추적이 가능했다.

 

이 보고서에도 춘원이라는 이름은 나오지 않지만, 1914년 이후의 통영군(統營郡)이 과거의 용남군(龍南郡)과 거제군(巨濟郡)을 통합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고성-통영 지역의 행정구역 변천사가 다소 복잡했지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금의 고성과 통영지역은 (1) 삼한 시대 이전에는 진국(辰國), 삼한 시대에는 변한에 속했던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가야시대에는 소가야(小伽倻) 소재지였다. (2) 남북국 시대 고자군(古資郡)으로 불리던 이 지역은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때에 고성군(固城郡)으로 개칭됐고, 757년 강주(康州=지금의 진주)에 병합했다. (3) 1016(고려 현종9) 이 지역은 거제현(巨濟縣)으로 이관되었지만, (4) 1275(고려 충렬왕 2)에 남해현(南海縣)으로 이속되었다가 1308(충렬왕 복위10) 거제현으로 되돌려졌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5) 1604(선조 37) 이 지역에 삼도수군통제영이 설치되었는데 당시 이름은 거제현 두룡포(頭龍浦)였다. (6) 1677(숙종 3) 두룡포가 고성현(固城縣)에 이속되면서 춘원면(春元面)으로 개칭되었다. (7) 1869년 고성현 춘원면에서 호적분규사건이 일어났고, 조선 조정은 이에 대한 사후책으로 1870년 고성현을 고성부로 승격했다. (8) 1880년 고성부는 고성현으로 환원되었다가, 1884년 재차 고성부로 승격되었다.

 

(9) 1895(고종32) 춘원면 소재 삼도수군통제영이 폐지되었고, 고성부는 고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0) 1900년 통제영이 소재했던 지역이 고성군에서 독립하여 따로 진남군(鎭南郡)이 되었다. (11) 1909년 진남군은 용남군(龍南郡)으로 개칭됐다. (12)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때 용남군은 거제군과 함께 통영군으로 병합됐다.

 

통영군(1914)”에 병합된 용남군(1909-1914)”은 그 직전 이름이 진남군(1900-1909)”이었고, 그 전에는 약 230년 동안 고성현//군 춘원면(1677-1900)”이었던 것이다.

 

 

1915220일 사망한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에는 그의 생년월일은 알려져 있지 않다(不詳)’면서도, 그의 사망시 나이가 37세라고 했다. 이를 역산하면 남익삼씨가 태어난 연도는 1870년대 말인데, 그 당시 통영의 이름은 고성부 춘원면이었다.

 

남익삼씨가 일본에 살면서 고향이 어디냐는 질문을 받았다면, ‘경상()도 고성부 춘원면이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는 춘원에서 태어났고 첫 20년을 거기서 살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가 20대 후반에 춘원진남으로, 30대 초반에는 다시 용남으로 바뀌었고, 조선을 떠나 일본 효고현에서 고베수도공사에 투입되었을 즈음 다시 통영이 되었지만, 지속적으로 바뀌는 고향의 공식 명칭에 그가 얼마나 친숙했을지는 의문이다. (2022/8/29, 조정희)

 

,

고성시립도서관이 풍부한 향토자료를 소장하고 있었지만,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의 희생자들의 연고를 찾기 위해서는 그 대부분이 필요하지 않았다. 일본의 신문들이 이미 윤길문(尹吉文), 오이근(吳伊根)씨의 연고지가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면임을 밝혀주었기 때문이다.

 

이제 남은 일은 고성 내에서 그들의 구체적인 연고지를 문헌이나 증언으로 확인하면 되고, 혹시 가족이나 친족 등의 연고자를 찾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강릉 조사에서는 경주김씨 수은공파 족보를 통해 김병순(金炳順)씨의 연고지를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고성에서도 윤길문, 오이근씨의 족보 기록을 찾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관심사였다.

 

그러나 통영 조사는 사정이 달랐다. 일본에는 남익삼씨가 통영 출신임을 보여주는 기록이 없었다. 필자는 남익삼씨의 매장인허증에 나타난 불완전한 조선 주소를 바탕으로 그가 통영 출신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지만, 그 추측은 문헌이나 증언으로 뒷받침되어야 했다.

 

 

남익삼씨는 1915년 고베수도공사 중에 터널 낙반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을 매장하기 위해 니시타니(西谷) 촌사무소에서 발행한 매장인허증에 그의 조선 주소가 기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주소는 초서체 한자로 쓰였기 때문에 읽기 쉽지 않았고, 간신히 읽어낸 주소도 당시의 행정구역과 일치하지 않았다.

 

매장인허증에 기록된 남익삼씨의 주소를 읽히는 대로 옮기면 조선 중청도 춘원우 연북면 선삼촌(朝鮮 中淸道 春元右 連北面 先三村)”이다. 그러나 이 주소에는 문제가 많았다.

 

우선 당시 조선에는 중청도(中淸道)’라는 행정구역이 없었다. 가장 근접한 것이 충청도(忠淸道)’이겠으나 이 역시 충청남도이거나 충청북도로 나누어 써야했다. 따라서 이 주소는 당시의 조선 행정구역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이 누군가 불러준 대로 받아썼던 것으로 보인다.

 

 

춘원우(春元右)’라는 기록도 문제다. ‘()’라는 행정단위는 조선에 없었다. 행정단위의 순서로 보면 ()’ 다음에는 ()’이 나와야 하는 자리이기는 하다. 또 춘원다음에 연북이 나왔기 때문에, ‘춘원우춘원군으로 읽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러나 1914년 일제의 의해 이루어진 행정구역 개편 전후를 모두 살펴도,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는 물론 조선 전역에 춘원군이라는 지명은 없었다.

 

춘원우다음의 연북면()’선삼촌()’도 마찬가지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의 전과 후를 통틀어 전국 13도의 모든 행정구역 명칭을 조사해도 연북면선삼촌혹은 선삼리라는 곳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역시 잘못된 표기임에 틀림없었다.

 

, 남익삼씨의 조선 주소가 엉터리였다는 것인데, 이런 일이 왜 생겼는지 궁금했다. 매장인허증에 따르면 사망 당시 37세였던 남익삼씨의 정식 고용 기록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정식 취업 자료가 있었다면 매장인허증에도 정확한 주소와 생년월일이 기록되었을 것이다.

 

 

1910년대 초반에 일자리를 찾아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들 중에는 정식 취업 절차를 따라 이주한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일용직이나 막노동 일자리를 찾아간 사람들은 대개 사전 고용 절차 없이 무작정 도항했거나 밀항한 사람들도 있었다.

 

이들은 일본에 도착해 철도나 하천 공사, 석탄과 철광석 등의 탄광에서 막노동 일자리를 찾곤 했다. 그럴 경우 고용 기록은 물론 신상 기록조차 작성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수도공사에 투입됐던 남익삼씨도 그런 경우였을 것이다. 그를 비공식적으로 고용한 기업은 물론 그가 거주했던 지역의 말단 행정기관에도 남익삼씨의 신상 정보는 구비되어 있지 않았을 것이다.

 

남익삼씨가 사망하고 그의 매장인허증을 발행해야 했을 때 촌사무소는 조선인 동료들의 전언에 의존했을 것이고, 동료들이 남익삼씨의 고향을 잘 몰랐다면 그의 주소를 제대로 기록할 수 없었을 것이다. 조선의 행정구역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었을 촌사무소의 서기가 이를 바로잡을 가능성도 없었을 것이다. 매장인허증의 남익삼씨 주소가 정확할 수 없었던 것은 바로 그런 사정 때문이었을 것이다. (2022/8/29, 조정희)

 

,

2022820日午後、固城到着した約束時間午後3だったが姜旭千先生ももう時間がかかった韓昌植先輩もまだ日課えていないとった

 

崔承喜(チェ·スンヒ)先生全羅南道羅州公演可能性打診するために広範囲南道取材中だったがこの日約束るため光州-統営固城バスターミナルに到着してみたら3時半だったしかし姜旭千先生事情により6時頃到着する予定だとらせてきたし韓昌植先輩5までは時間ることがしかったため2時間余裕時間つことになった

 

 

固城バスターミナルに到着したりの時間固城市立図書館資料調査めた固城るたびに図書館ぎてすぐに邑内中心街進入したりもした韓昌植先輩がいつも先頭ってけてくれたので図書館調査にあまりげなかった

 

しかし同日固城図書館郷土資料ながらこれまでえが間違っていたことがかったこの図書館はかなりの多様郷土資料所蔵していたまず『固城郡誌2015)』があった1ページ前後3構成されたこの郡誌先史時代以来固城のすべてを記録としてしていた固城沿革歴史叙述した1固城文化芸術および各村由来叙述した3非常必要だった

 

 

『固城郡誌えて『固城史料集にあったこれも3になっているが固城する歴史的文献集成した。『固城史料集1(2008)各種歴史書地理誌掲載された古城する記録をすべてめている渉猟した史書には<三国志><後漢書><日本書紀><三国史記><三国遺事><高麗史><高麗史節要><備邊司謄錄>などが網羅され地理誌にも<三国史記地理志><慶尚道地理志><高麗史地理志><世宗實錄地理志><慶尚道續纂地理志><新増東國輿地勝覽><東國輿地誌><輿地図書><慶尙道邑誌><大東地志><嶺南邑誌><嶠南誌>などが動員された

 

<固城史料集2(2010)>朝鮮王朝実録固城するての記録抜粋編集しただがその面数ページをえた<固城史料集3(2012)>1930年代独自編纂された邑誌鉄城誌(1930)『固城(1934)翻訳して掲載したがこのつの邑誌1ページをえるほど膨大だった時期邑誌2つも編纂されたのも異例だがこれらの邑誌日帝当局ではなく民間編纂したということも特異

 

 

<固城郡誌><固城史料集>シリーズだけでもかなりの資料だがそのにも固城文化院発刊した資料さらにあった<固城郷土地名社><固城名辭録><固城文化遺跡誌><固城先史石語録>などがそれだ

 

また固城郡編纂した<固城:写真地元固城のあののその姿>という写真集もいたがこのには歴史的固城んだ写真網羅して収録してその場所現在姿写真とペアをすように配置した立派資料集だった

 

そのにも固城のいくつかの地域散在した先史時代遺跡する資料集もあり伽倻新羅高麗朝鮮時代られた各種遺物遺跡各級文化財指定されたものを別途めて写真とともに説明えた親切資料集出版されていた

 

 

まで韓国日本米国欧州くの都市たちをって取材してきたが地元歴史文化についており固城のように膨大資料集具備しておいたはなかったようだ

 

固城する多様みのある資料沢山具備されているというのは研究者いことかしかないしかし<宝塚朝鮮人追悼碑>犠牲者尹吉文(ユン·ギルムン)吳伊根(·イグン)縁故すのにはどんな資料がどのようにとなるかまだからない

 

本格的調査まりこの資料をせんさくしてみればえてくるだろう(2022/8/24趙正熙(チョ·チョンヒ))

,

2022820日午後固城(コソン)到着した2次調査まりだった1回目調査訪問までわせれば5回目訪問だったが今回訪問目的固城-統営調査計画すことにしたまず1次調査積極的協力してくださった<固城放送局>韓昌植(ハン·チャンシク)先輩って調査再開議論することにした

 

この会合には文化企画者であり民芸総事務総長姜旭千(カン·ウクチョン)先生参加した姜旭千先生18日江原道訪問19ソウル延南洞かれた<小船たちの>コンサートと徹夜打げまで参加しても翌日固城約束れたすごい動線だしくべき情熱

 

同日約束2月前われたものだった統営トンヨン4回目訪問した6月末韓昌植先輩とダチの夕食会めてったダチとは一定のメニューがまっておらず時期った海鮮中心につまみを放題提供する方式した

 

これまで統営頻繁訪問したがたいてい単独訪問だったためダチをしむことができなかったダチは一人飯/一人酒1人客には提供されなかったおそらく経済性すなわち元手けていないためだろうたまにダチというメニューが広報されるがあえて1人顧客敬遠する風土らうにはならなかったそして統営にはのおいしい海産物食堂かったためでもある

 

そうしているうちについに韓昌植先輩とダチのごちそうをかちいながら時間ごしたのでとしては感激的時間いなかったそれでsns自慢をしたのだがすると姜旭千先生統営ダチ会合をもう一度しようとって820くから日付めた

 

この約束られるかは疑問だった8にはもがしいか休暇シーズンだったからだ随時文化行事日程消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姜旭千先生事前計画もなく勝手にあちこち取材2月後のダチの約束可能性希薄えた

 

 

しかしたちは2ともこの日付記憶20固城まった韓昌植先輩もややった様子だった。 姜旭千先生合流するともっとしい姿だった韓先輩きな姿ると統営ダチのまりを頻繁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もしたかにらすということがただそういうことではないだろうかきな人同士きなことをよく一緒にするのが人生だろう

 

とにかくたち3固城すぐ統営移動港南洞船艙街でタチねた金曜日夕方ほとんどすべての満員だったので3のドアをいて拒絶4番目でテーブルをったるやいなや新鮮海藻類甲殻類刺身がテーブルにがりめたえのあるたちはをすぐにそのしいんできたビールと焼酎めたバケツにれられたままテーブルのかれたバケツがいたらすぐにしくたされたさすがにダチらしい

 

 

港南洞タチ路地トッケビ(=)路地ばれたが路地のあちこちにそのようながついたアーチ型装飾物てられている漁師たちが一日労働苦労していだお一晩中全部はたいてべる居酒屋とおさんたちのためにけられた名前だというはそのような慣行えたが酒量えてぎるしかないトッケビ路地雰囲気もそのままっているようだ

 

々としくなるおつまみのたちはしながらまたした韓昌植先輩統営-固城面白姜旭千先生民芸総事務総長適応期興味深かった宝塚朝鮮人追悼碑犠牲者計画簡単らかにした

 

韓昌植先輩固城調査担当して尹吉文ユン·ギルムン)、呉二根·イグン縁故して 統営調査して南益三(ナム·イクサム)のゆかりをらかにします。」

 

これがすべてだったこの計画簡単で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議論するにはダチがとてもかったしいおつまみのために酒気がすぐがることがらかだった한창식先輩そうしようけたしい計画^^てられたこれから実行せばいい。 (2022/8/23趙正熙

,

2022820일 오후, 고성에 도착했다. 한창식, 강욱천 선생과의 약속은 오후3시였는데, 나도 늦었고 강욱천 선생도 조금 더 시간이 걸렸다. 한창식 선배님도 아직 일과를 다 마치지 못했다고 하셨다.

 

나는 최승희 선생의 전남 나주 공연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남도 취재 중이었는데, 이날 약속을 지키기 위해 광주-통영을 거쳐 고성 버스터미널에 도착해 보니 3시반이었다. 그러나 강욱천 선생은 사정상 6시경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알려왔고 한창식 선배님도 5시까지는 시간을 내기 어려우셨기 때문에, 나는 약 2시간의 여유시간을 가지게 됐다.

 

 

고성버스터미널에 먼저 도착한 나는 남은 시간 동안에 고성시립도서관에서 자료 조사를 시작했다. 고성에 올 때마다 도서관을 지나쳐 바로 읍내 중심가로 진입하곤 했었다. 한창식 선배님이 항상 앞장서서 도움을 주셨기 때문에 도서관 조사에 그다지 열을 올리지 않았었다.

 

하지만 이날 고성도서관의 향토자료들을 살펴보면서 그동안 내 생각이 틀렸음을 알았다. 이 도서관은 상당한 양과 다양한 종류의 향토자료를 소장하고 있었다. 우선 <고성군지(2015)>가 있었다. 1천쪽 내외의 책 3권으로 구성된 이 군지는 선사시대 이래 고성의 모든 것을 기록으로 남기고 있었다. 특히 고성의 연혁과 역사를 서술한 1권과 고성의 문화와 예술 및 각 마을의 유래를 서술한 3권은 매우 필요한 책이었다.

 

 

<고성군지>에 더하여 <고성사료집>이 따로 있었다. 이 역시 3권으로 되어 있는데, 고성에 관한 역사적 문헌들을 집성한 책이다. <고성사료집 1(2008)>은 각종 사서와 지리지에 실린 고성에 관한 기록을 모두 모아놓았다. 섭렵한 사서에는 <삼국지>, <후한서>, <일본서기>,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고려사절요>, <비변사등록> 등이 망라되었고, 지리지에도 <삼국사기지리지>, <경상도지리지>, <고려사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경상도읍지>, <대동지지>, 영남읍지>, <교남지> 등이 동원되었다.

 

<고성사료집 2(2010)>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고성에 관한 모든 기록을 발췌, 편집한 책인데 그 면수가 1천 쪽이 넘었다. <고성사료집 3(2012)>1930년대에 독자적으로 편찬된 읍지 <철성지(1930)><고성지(1934)>를 번역해서 실었는데, 이 두 읍지도 1천 쪽이 넘을 만큼 방대했다. 비슷한 시기에 읍지가 2개나 편찬된 것도 이례적인데, 이 읍지들은 일제 당국이 아니라 민간이 편찬했다는 것도 특이한 점이다.

 

 

<고성군지><고성사료집> 시리즈만 해도 상당한 양의 자료인데, 그밖에도 고성문화원이 발간한 자료들이 더 있었다. <고성향토지명사><고성명사록>, <고성문화유적지><고성선사석어록> 등이 그것이다.

 

또 고성군이 편찬한 <고성: 사진으로 보는 내 고장 고성의 그때 그 모습>이라는 화보집도 있었는데, 이 책에는 역사적으로 고성을 담은 사진들을 망라해 수록하고, 그 장소의 현재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과 짝을 이루도록 배치한 훌륭한 자료집이었다.

 

그밖에도 고성의 여러 지역에 산재한 선사시대의 유적들에 대한 자료집도 있었고, 가야,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만들어진 각종 유물과 유적 중에서 각급 문화재로 지정된 것들을 따로 모아 사진과 함께 설명을 곁들인 친절한 자료집들도 발간되어 있었다.

 

 

지금까지 필자는 한국과 일본, 미국과 유럽의 여러 도시들을 다니며 취재해 왔지만, 자기 고장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고성처럼 방대한 자료집들을 구비해 놓은 곳은 없었던 듯싶다.

 

고성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 깊은 자료들이 많이 구비되어 있다는 것은 연구자에게 좋은 일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의 희생자 윤길문, 오이근씨의 연고를 찾는 데에는 어떤 자료가 어떻게 도움이 될는지 아직은 알 수 없다.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어 이 자료들을 천착해 나가다 보면 길이 보일 것이다. (2022/8/24, 조정희)

 

,

2022820일 오후, 고성에 도착했다. 2차 조사의 시작이었다. 1차 조사 방문까지 합치면 다섯 번째 방문이었는데, 이번 방문의 목적은 고성-통영 조사의 계획을 다시 세우는 것으로 잡았다. 우선 1차 조사에서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셨던 <고성방송국>의 한창식 선배님을 만나서 조사 재개를 의논하기로 했다.

 

이날 모임에는 문화기획자이자 민예총 사무총장 강욱천 선생도 동참했다. 강욱천 선생은 18일 강원도 방문, 19일 서울 연남동에서 열린 <조각배들의 노래> 콘서트와 밤샘 뒷풀이까지 다 참석하고도, 다음날 통용 약속에 나타났다. 대단한 동선이고, 놀랄만한 열정이다.

 

사실 이날 약속은 두 달 전에 이뤄진 것이었다. 통영을 네 번째 방문했던 6월말에 나는 한창식 선배님과 다찌 저녁상을 처음 마주했다. 다찌란 일정한 메뉴가 정해져 있지 않고, 시절에 맞는 해물 중심으로 안주를 무한 리필로 제공하는 방식을 가리켰다.

 

 

그동안 통영을 자주 방문했지만 대개 단독 방문이었으므로 다찌를 즐길 수 없었다. 다찌는 혼밥/혼술의 1인 고객에게는 제공되지 않았다. 아마도 경제성, 즉 본전이 빠지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더러 다찌라는 메뉴가 홍보되지만, 굳이 1인 고객을 꺼리는 풍토를 거스를 마음은 별로 들지 않았다. 그리고 통영에는 다른 맛있는 해산물 식당들도 많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던 차에 마침내 한창식 선배님과 다찌 한 상을 마주하고 좋은 시간을 가졌으니 나로서는 감격적인 시간이 아닐 수 없었다. 그래서 sns에 약간 자랑질을 했던 것인데, 그랬더니 강욱천 선생이 통영 다찌 회동을 한 번 더 하자면서 820일로 일찌감치 날짜를 잡았다.

 

이 약속이 지켜질는지 의문이 없지 않았다. 8월이면 누구나 한창 바쁘거나 휴가철이었기 때문이다. 수시로 문화행사 일정을 소화해야 하는 강욱천 선생이나, 사전계획도 없이 내키는 대로 여기저기 취재를 다니는 내가 두 달 후의 다찌 약속을 지킬 가능성은 희박해 보였다.

 

 

하지만 우리는 둘 다 이 날짜를 기억했고, 20일 고성에 모였다. 한창식 선배도 약간 들뜬 모습이었다. 강욱천 선생이 합류하니 더욱 즐거운 모습이었다. 한선배가 좋아하는 모습을 보니, 통영 다찌 모임을 자주 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잘 산다는 게 그냥 그런 것이 아닐까? 좋아하는 사람들끼리 좋아하는 일을 자주 같이 하는 게 슬기로운 인생살이일 것이다.

 

암튼 우리 세 사람은 고성에서 만나 이내 통영으로 이동, 항남동 선창가에서 다찌집을 찾아 들어갔다. 금요일 저녁이었고, 거의 모든 집이 만원이어서 세 집 문을 두드렸다가 퇴짜를 먹었고 4번째 집에서야 테이블을 잡았다. 자리에 앉자마자 신선한 해초류와 갑각류, 생선회와 구이가 테이블에 오르기 시작했다. 먹성 좋은 우리들은 접시들을 금방금방 비웠고 그럴 때마다 새로운 접시가 날라져 왔다. 맥주와 소주는 얼음을 채운 바께쓰에 담긴 채 테이블 아래 놓였다. 바께쓰가 비면 금방 새로 채워졌다. 과연 다찌답다.

 

 

항남동 다찌 골목은 도깨비 골목이라고 불렸다는데, 지금도 골목 여기저기에 그런 팻말이 달린 아치형 장식물들이 세워져 있다. 어부들이 하루의 노동으로 애써 번 돈을 밤새 다 털어먹는 선술집과 아가씨들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했다. 지금은 그런 관행이 사라졌지만, 주량을 넘겨 과음할 수밖에 없는 도깨비 골목의 분위기는 지금도 그대로 남은 것 같다.

 

시시각각 새로워지는 안주 위에서 우리는 이야기하며 마셨고, 마시고 또 이야기했다. 한창식 선배의 통영-고성이야기도 재밌었고, 강욱천 선생의 민예총 사무총장 적응기도 흥미로웠다. 나는 아주 취하기 전에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 희생자들을 찾을 계획을 간단히 밝혔다.

 

 

한창식 선배님이 고성 조사를 맡아서 윤길문, 오이근씨의 연고를 찾아 주세요. 저는 통영을 조사해서 남익삼씨의 연고를 밝혀 보겠습니다.”

 

이게 다였다. 이날은 뭐든지 간단해야 했다. 길게 의논하기에는 다찌가 너무 좋았고, 좋은 안주 때문에 술기운이 금방 오를 것이 뻔했다. 한창식 선배님도 그러자고 하셨고, 빠르게 술잔을 비우셨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계획(^^)은 세워졌다. 이제 실행에 옮기면 된다. (2022/8/23, 조정희)

 

,

慶尚南道固城統営調査再開した。『宝塚朝鮮人追悼碑記録された犠牲者韓国内縁故調査である碑文によると南益三(ナム·クサム)19151兵庫県宝塚われた神戸水道工事でトンネル落盤事故死亡尹吉文ユン·ギルムン)、呉伊根·イグン19293国鉄福知山線工事でダイナマイト爆発事故死亡した

 

 

202011開始した固城1次調査3にわたる現地調査にもかかわらずこれといった成果せなかった20215までわれた調査では固城郡庁のキム·サンミン記録研究士固城放送局のハン·チャンシク代表積極的支援があったが犠牲者縁故確認できなかった

 

固城調査暫定中断したのはほとんど同時めた江陵調査急速進展したためだった。 「宝塚朝鮮人追悼碑記録された犠牲者金炳順(キム·ビョンスン)江陵ゆかりの物語20215系図記録確認された金炳順氏系図記録発掘するには慶州金氏樹隱公派江陵支会金子正(キム·ジャジョン)金喆旭(キム·チョルウク)先生けがきかった系図には金炳順氏名前とともに居日本という記録っておりいの余地がなかった

 

 

202111月中旬、「宝塚朝鮮人追悼碑建立した日本人在日韓国人感謝牌贈呈要請する請願江陵市提出した請願者日本鄭世和(チョン·セファ)大黑澄枝(ダイコク·スミエ)先生ソウルの安海龍(アン·ヘリョン)鄭澈勳(チョン·チョルフン)先生江陵姜承昊(カン·スンホ)洪眞善(ホン·ジンソン)柳善起(·ソンギ)先生だった江陵市議会のチョン·グァンミン議員をはじめ江陵市庁のイ·ジュンハパク·ジョンシパク·インスン係長などの実務担当者協力してくださったおかげで請願れられた

 

2022326江陵市長名義感謝牌日本人学者芸術家宗教家社会活動家6在日同胞歴史家事業家2された監査牌伝達決定され実行される過程東京所在江原道本部のカン·ビョンジク本部長とムン·ミヒョン部長けが絶対的だった

 

 

宝塚朝鮮人追悼碑建立江陵感謝牌贈呈々な記録としてっている金炳順氏縁故過程結果韓国日本くのマスコミに報道された江陵月刊雑誌江陵プラス(20223月号)韓日国境時代超越したヒューマニズムという題名特集記事報道したが宝塚江陵市民いに人類愛礼儀してきた過去歴史現在過程しく報道した

 

筆者江原大学校学術誌<平和たち(PEACES)>つの都市物語:江陵宝塚という論文寄稿した江原道兵庫県交流協力公共外交視点整理したものだが姜承昊教授(江陵原州大学国際通商学)江原道沿海州農業協力事例意義という論文とペアをむことになった

 

日本では在日朝鮮学校生徒たちが宝塚朝鮮人追悼碑毎年参拝することをめたというこれまで1914-15殉難者金炳順南益三張長守氏100年間祭祀してきた西谷滿福寺では犠牲者位牌った区域にムクゲとつつじを平和庭園造成すると発表した

 

 

感謝牌った宝塚日本人在日同胞江陵答礼訪問計画中だがこれが実現すれば江原道兵庫県交流協力拡大する見通しだこのようにして江陵出身殉難者キム·ビョンスン縁故すことは成功的わり両地域未来指向的展望いてくれた

 

江陵調査成功的えられ殉難者縁故張長守氏本拠地推定さえ不可能なほど資料がなかったが尹吉文吳伊根氏故郷慶尚南道固城調査され19151死亡した南益三氏本拠地統営推定された

 

らの縁故地縁故地確認するための調査再開したのだ(2022/8/20*趙正熙)

,

경남 고성과 통영 조사를 재개했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에 기록된 희생자들의 한국 내 연고를 찾는 조사이다. 비문에 따르면 남익삼(南益三)씨는 19151월 일본 효고현 다카라즈카에서 진행되었던 고베수도공사에서 터널 낙반사고로 숨졌고, 윤길문(尹吉文), 오이근(吳伊根)씨는 19293월 국철 후쿠치야마(福知山)선 공사에서 다이너마이트 폭발사고로 사망했다.

 

 

202011월에 시작했던 고성 1차 조사는 3차례 단행한 현지조사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215월까지 진행된 조사에서는 고성군청의 김상민 기록연구사와 고성방송국의 한창식 대표의 적극적인 도움이 있었지만 희생자들의 연고를 확인하지 못했다.

 

고성 조사를 잠정 중단한 것은 거의 동시에 시작했던 강릉 조사가 빠르게 진척되었기 때문이었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에 기록된 희생자 김병순(金炳順)씨의 강릉 연고가 20215월에 족보 기록으로 확인되었다. 김병순씨의 족보기록을 발굴하는 데에는 경주김씨 수은공파 강릉 지회의 김자정, 김철욱 선생의 도움이 컸다. 족보에는 김병순씨의 이름과 함께 일본에 거주한다(居日本)”는 기록이 남아 있어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202111월 중순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를 건립한 일본인과 재일동포들에게 감사패 증정을 요청하는 청원을 강릉시에 냈다. 청원자는 일본의 정세화, 다이꼬꾸 스미애 선생님, 서울의 안해룡, 정철훈 선생, 강릉의 강승호, 홍진선, 유선기 선생 등이었다. 강릉 시의회의 정광민 의원을 비롯해, 강릉시청의 이준하, 박종시, 박인순 계장 등의 실무 담당자들이 협조해 주신 덕분에 청원은 받아들여졌다.

 

2022326일 강릉시장 명의의 감사패가 일본인 학자와 예술가, 종교인과 사회활동가 6인과 재일동포 역사가와 사업가 2인에게 전달되었다. 감사패 전달이 결정되고 실행되는 과정에서 도쿄 소재 강원도본부의 강병직 본부장과 문미현 부장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 건립과 <강릉의 감사패> 증정은 여러 기록으로 남았다. 김병순씨의 연고를 찾는 과정과 결과는 한국과 일본의 여러 언론에 보도되었다. 특히 강릉의 월간 잡지 <강릉플러스(20223월호)>한일 국경과 시대를 초월한 휴머니즘이라는 제목의 특집기사를 보도했는데, 다카라즈카와 강릉의 시민들이 서로를 인류애와 예의로 대했던 과거 역사와 현재의 과정을 자세히 보도했다.

 

필자는 강원대학교의 평화학 학술지 <평화들(PEACES)>두 도시이야기: 강릉과 다카라즈카라는 논문을 기고했다. 강원도와 효고현 사이의 교류와 협력을 공공외교의 시각으로 정리한 것인데, 강승호 교수(강릉원주대, 국제통상학)의 강원도-연해주의 경제교류 문제를 다룬 강원도와 연해주의 농업협력 사례의 의의라는 논문과 짝을 이루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재일 조선학교 학생들이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를 매년 참배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그동안 1914-15년의 순난자 김병순, 남익삼, 장장수씨를 1백년간 제사해 왔던 니시타니의 <만푸쿠지(滿福寺)>에서는 희생자들의 위패가 모셔진 구역에 무궁화와 진달래를 심어 평화의 정원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한다.

 

 

감사패를 증정 받은 다카라즈카의 일본인과 재일동포 활동가들이 강릉 답방도 계획 중이라는데, 이것이 실현되면 강원도와 일본 효고현의 교류와 협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렇게 해서 강릉 출신의 순난자 김병순씨의 연고를 찾는 일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양 지역 사이에 미래지향적 전망도 열어주었다.

 

강릉 조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다른 순난자들의 연고를 찾아 나설 때가 왔다. 또 다른 희생자 장장수(張長守)씨의 연고지는 추정조차 불가능할 만큼 자료가 없었지만, 윤길문, 오이근씨의 고향은 경상남도 고성으로 조사되었고, 19151월에 사망한 남익삼씨의 연고지는 통영으로 추정되었다.

 

이제 이들의 연고지와 연고자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를 재개한 것이다. (2022/8/20, 조정희)

,

공공외교는 그 목적이 인권 일반이나 특히 소수자의 인권을 보호하려는 것일 때 효과가 가장 크다. 시민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결속이 강화되며 주장이 확산되기 쉽기 때문이고, 이에 대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의 지지와 지원을 얻어내기가 쉽기 때문이다. 조선인 추도비의 경우 일제강점 식민지시기에 열악한 노동조건과 낮은 임금으로 중노동에 시달리다가 사고사를 당한 5인의 넋을 위로한다는 것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큰 반향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같은 추도비를 세운다는 것은 다카라즈카 정부의 지지를 받은 것도 일본 근대화 과정에서 희생된 외국인 노동자의 추도비를 세우는 것이 소수자 인권보호에 부합되기 때문이다.

 

 

공공외교 사안을 추진하는 시민사회가 다수일 때, 혹은 소수이더라도 단결된 모습을 보일 때 효과를 발휘하기 쉽다. 조선인 추도비가 세워진 것은 다카라즈카의 일본인 시민활동가들뿐 아니라 재일조선인, 특히 한때 반목하고 대립했던 민단계와 총련계 조선인들이 같은 목소리로 내고 추도비 건립을 위해 협력했던 것이 좋은 효과를 낳은 원동력이 되었다. 강릉에서 감사패를 증정하려는 청원이 채택된 것도 마찬가지이다. 각계각층의 강릉 시민들이 청원을 내고, 여기에 서울과 일본의 활동가들이 동조하며 감사패 증정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강조했을 때 강릉시가 이에 부응하는 결정을 내리기가 수월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지방정부가 민간부문의 공공외교를 지지할 때 외교의 효과는 매우 커질 수 있다. 만일 다카라즈카 시정부가 추도비 건립에 반대했더라도 시민들은 사유지에라도 이를 건립했을 것이다. 그러나 다카라즈카 시정부가 추도비를 시립공원 내에 설치하도록 허가하고, 당시의 시장이 자신의 이름과 직함을 추도비에 새기가 함으로써 이 추도비의 공공의 성격은 한층 강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강릉 시정부가 추도비 건립자들에 대한 감사패 증정을 거절했더라도 청원자들은 시민단체의 이름으로라도 감사패는 전달했을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강릉시가 김한근 시장 명의의 감사패를 증정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집행하자, 시민들이 추진한 감사패는 그 의미가 매우 커졌다. 다카라즈카 현지에서는 일본 시민운동가들의 활동에 한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감사의 표현을 한 것은 처음있는 일이라며 큰 의미를 부여했고, 감사패를 수여받은 당사자들도 이를 감격적으로 여겼던 것이다.

 

한편 공공외교는 중앙정부의 정책에 위배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중앙정부는 공공외교 활동 목적이나 방식이 중앙정부의 외교정책에 배치될 경우, 지방정부나 시민들의 외교활동을 제한하거나 저지할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비티에스(BTS)의 유엔외교는 소수자 인권보호라는 한국정부의 정책과 일치했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고, 결과적으로 그룹과 정부는 물론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크게 높아지는 결과를 낳았다. 반면 안용복의 독도외교는 영토수호하는 큰 목표를 이루고도 당사자는 국가의 처벌을 받아야 했다. 조선정부의 정책(=공도정책)에 배치되는 외교활동을 했을 뿐 아니라, 정부의 허가 없이 국경을 넘었고, 또 공무원을 사칭한 혐의를 받았기 때문이다. 조선의 법률에 따르면 이같은 죄목이 적용되었을 경우 사형선고를 면하지 못할 상황이었으나, 영토를 수호했다는 외교효과를 고려해 유배를 가는 선으로 형량이 감경되었던 것이다.

 

 

다카라즈카의 조선인 추도비 건립과 강릉시의 감사패 증정은 둘 다 중앙정부의 외교정책에 위배되지 않았으므로 중앙정부의 추인 아래 지방정부가 이를 지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만일 추도비의 희생자들이 강제동원 노동자들이었다면 문제는 전혀 달랐을 것이다. 당시 일본 정부(=내각)강제동원자체를 부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카라즈카 추도비의 희생자들은 1914-1929년까지, 강제동원이 시작되기 이전에 노동이민으로 일본에 건너갔다가 사고사를 당한 분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추도하는 것은 중앙정부의 외교정책에 위배되지 않았던 것이다.

 

공식외교와는 달리 공공외교는 부문별로 참여자가 많기 때문에 긴밀한 의사소통이 대단히 중요하다. 다카라즈카의 경우 시정부는 물론 다수의 시민단체들이 참여해 추도비를 건립했다. 다카라즈카의 <교류협회>와 오사카의 <목련회>, 그리고 기존의 이 두 단체를 한데 모으고 효고현 전체에서 회원을 더 영입해 결성한 <추도비건립회>의 회원만도 50명이 넘었고, 이들을 지지하는 일본인 시민활동가와 재일동포 활동가들은 그 수를 수백명을 헤아렸다. 따라서 추도비 건립 결정과 추진 과정을 회원들에게 알리고, 필요한 정보를 시정부에 제공하면서 동시에 시정부가 제공하는 지침을 전달받기 위해서는 긴밀한 의소소통이 필수적이었던 것이다. 2015년에 시작한 추도비 건립이 2020년에야 마무리되기까지 햇수로 5년이나 걸린 것도, 신속하게 건립되는 추도비보다는 많은 사람이 이해하고 참여해 건립되는 추도비가 되도록 <추도비건립회>가 애를 썼기 때문이다. 목표한대로 추도비 건립은 별다른 잡음이나 방해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

 

 

반면에 강릉시의 감사패 전달은 202111월부터 2022326일까지 비교적 신속하게 이루어졌는데 이것도 역시 원활한 의사소통 덕분이었다고 볼 수 있다. 10명의 청원인들이 청원을 결정한 것도 카카오톡 단톡방을 통해 신속하게 이루어졌고, 이를 강릉시의회를 경유해 강릉시청에 접수시키는 일도 말이 나온지 수일 만에 모두 이루어졌다. 이후 강릉시청의 실무자들과의 협의도 최초의 만남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의논이 카톡과 이메일로 이뤄졌기 때문에 의사소통은 대단히 빠르고 원활했다. 또 강릉시청의 결정이 일본에 전달되는 것도 거의 실시간이었고, 도쿄의 강원도대표부와 고베 총영사관이 업무를 배정하는 결정도 신속하게 이뤄졌기 때문에 모든 일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었다. 따라서 명확하고 신속한 의사소통은 공공외교의 핵심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

近藤富男先生ったのはその生涯最後2ぎないだから近藤先生々までよくっているとはえない読書経験ったのは鄭鴻永(チョン·ホンヨン)先生相棒研究者であり<宝塚朝鮮人追悼碑>てるのに先頭ったということだ

 

鄭鴻永先生著書歌劇のもうひとつの歴史:宝塚朝鮮人(1997)名前だけで出版されたがその内容くは近藤先生との共同研究結果だろう実際鄭鴻永先生近藤先生一緒調査して踏査した事実をよく言及した

 

2歴史学専攻したり職業にしなかったがらの調査研究実証的密度非常なので専門家たちもそのまま引用するのに十分これはおそらく2がそれぞれ立命館新大という名門大学練磨した研究能力のおかげだろう

 

 

宝塚朝鮮人追悼碑建立直後2020531日付むくげ通信300)」には、「鄭弘永先生とのことという近藤先生掲載されたこの近藤先生自身鄭鴻永先生金魚になったいた。 「金魚とはいつもつきまとう相棒日本語表現自分くして相手尊重する表現でもある

 

使うかによってこの言葉意味わることがある2003日本民主党菅直人代表当時總理小泉純一郎かって日本のイラク政策米国金魚ぎない批判しているあてもなくちょろちょろついてるという意味しかし近藤先生のように金魚自任したとすればこれは相手同行したいという欲望であり自身くして相手尊重する謙譲表現

 

近藤先生らを金魚っていたがもう一人いらっしゃる妻近藤幸子先生二人がどのように結婚したのか二人結婚生活せだったのかからないがこれを推察できるようにしてくれる<むくげ通信>せられたことがある

 

 

飛田雄一先生によると近藤先生本来名前谷口富男だった結婚直後二人うかをめ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が日本では西洋のように必要がなくうことも可能でありまた韓国のように各自維持してもわない

 

この決定のために近藤夫妻じゃんけんをし近藤富男先生けたため採択そのから近藤富男になったというめる方法じゃんけんをしたというのも意外痛快なことだがとして自分にした近藤先生なららを幸子先生金魚いながら一生愛していたとじるようになる

 

最近2年間メールをやりとりしながら交流してきた近藤先生端正だがやかで無口だが正確簡潔だったおそらく鄭鴻永先生くなったその模範って金魚から金魚進化した結果ではないかと推測された

 

 

鄭世和先生によく近藤先生金魚になりたいとおした近藤先生一緒調査一緒相談して一緒いて一緒調査旅行仲良しになればとったからだ

 

そんな気持ちがわったかはらないが日本調査再開すれば近藤先生生活してもいいというえてきたコロナがくなってそのような機会なかったがその言葉いただけでもかになった近藤先生師匠としてえたいだけに近藤先生弟子同僚としてれる準備ができたという理解されたからだ

 

近藤富雄先生くなって半年になる金魚になるところだった近藤先生いながら最近自分自身質問をよくげかける。 「ると金魚になりたいとうほどはちゃんと生活しているのだろうか。(わり

,

내가 콘도 도미오 선생을 만난 것은 그분의 생애 마지막 2년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내가 콘도 선생을 속속들이 잘 안다고 할 수는 없겠다. 내가 독서와 경험으로 알게 된 것은 그가 정홍영 선생의 단짝 연구자이셨고,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를 세우시는데 앞장서셨다는 것이다.

 

정홍영 선생의 저서 <가극의 도시의 또 다른 역사: 다카라즈카와 조선인(1997)>는 정홍영 선생의 이름으로 출판되었지만, 그 내용의 많은 부분은 콘도 선생과의 공동 연구의 결과일 것이다. 실제로 정홍영 선생은 콘도 선생과 함께 조사하고 답사했던 사실을 자주 언급했다.

 

두 사람은 역사학을 전공하거나 직업으로 삼지 않았지만 그들의 조사와 연구의 실증적 밀도는 매우 높은 편이어서 전문가들도 그대로 인용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이는 아마도 두 사람이 각각 리츠메이칸과 신다이라는 명문대학에서 연마한 연구능력 덕분일 것이다.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 건립 직후인 2020531일자 <무쿠게통신(300)>에는 정홍영 선생과의 일이라는 콘도 선생의 글이 실렸다. 이 글에서 콘도 선생은 자신이 정홍영 선생의 금붕어 똥이 되었다고 썼다. “금붕어 똥이란 항상 따라다니는 단짝을 가리키는 일본어 표현으로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존중하는 표현이기도 하다.

 

누가 누구에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이 말뜻은 달라질 수 있다. 2003년 일본 민주당 간 나오토(菅直人)대표는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를 향해 일본의 이라크 정책은 미국의 금붕어 똥에 불과하다고 비판한 바 있다. 줏대 없이 졸졸 따라다니기만 한다는 뜻이다. 그러나 콘도 선생처럼 스스로 금붕어 똥으로 자처했다면 이는 상대방과 동행하고 싶다는 욕망이자 자신을 낮추고 상대를 존중하는 겸양의 표현이다.

 

 

콘도 선생이 스스로를 금붕어 똥으로 여겼음직한 분이 또 한 분 계신다. 그의 아내 콘도 사치코(近藤幸子) 선생이다. 나는 두 분이 어떻게 결혼하셨는지, 두 분의 결혼생활이 행복했는지 알 수 없지만, 이를 짐작할 수 있게 해 주는 글이 <무쿠게통신>에 실린 적이 있다.

 

히다 유이치(飛田雄一) 선생에 따르면 곤도 도미오 선생의 원래 이름은 타니구치 도미오(谷口富男)였다. 결혼 직후 두 분은 누가 누구의 성()을 따를지 결정해야 했는데, 일본에서는 서양처럼 아내가 남편의 성을 따라야할 필요가 없고, 남편이 아내의 성을 따르는 것도 가능하며, 또 한국처럼 각자의 성을 유지해도 무방하다.

 

이 결정을 위해 콘도 부부는 가위바위보를 했고, 콘도 도미오 선생이 졌기 때문에 아내의 성을 채택해 그때부터 콘도 도미오(近藤富男)가 되셨다고 한다. 성을 정하는 방법으로 가위바위보를 했다는 것도 은근히 통쾌한 일인데, 아내의 성으로 자신의 성을 삼은 콘도 선생이라면, 스스로를 사치코 선생의 금붕어 똥으로 여기면서 평생 사랑하셨을 것으로 믿게 된다.

 

내가 최근 2년간 문자를 주고받으면서 교류하던 콘도 선생님은 단정하지만 온화하고, 과묵하지만 정확하고 간결하신 분이었다. 아마도 정홍영 선생께서 돌아가신 이후 금붕어 똥에서 금붕어로 진화하신 결과가 아닐까 짐작되었다.

 

 

나는 정세화 선생께 자주 콘도 선생님의 금붕어 똥이 되고 싶다는 말씀을 드리곤 했다. 콘도 선생님과 함께 조사하고, 함께 의논하고, 함께 글을 쓰고, 함께 조사여행을 다니는 단짝이 되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런 내 마음이 전해졌는지는 몰라도, 일본 조사를 재개하면 내가 콘도 선생님 댁에서 지내도 좋다는 말씀을 전해오셨다. 코로나가 길어져서 그럴 기회는 오지 않았지만, 그 말씀을 전해들은 것만으로도 나는 마음이 넉넉해졌다. 내가 콘도 선생님을 스승으로 모시고 싶은 만큼, 콘도 선생님도 나를 제자나 동료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셨다는 말씀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콘도 도미오 선생님께서 돌아가신지 반년이 되어간다. 내가 금붕어 똥이 될 뻔했던 콘도 선생님을 생각하면서 요즘도 나 자신을 돌아보는 질문을 자주 던진다. “누군가 나를 보면 금붕어 똥이 되고 싶은 마음이 생길 만큼, 나는 제대로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

,

내가 콘도 도미오 선생을 존경하게 된 데에는 그분이 해 오신 일과 남기신 업적 때문만은 아니다. 그분이 보이신 각별한 인간애와 과묵한 실천 때문이다. 특히 정홍영 선생님과 콘도 선생의 특별한 우정은 감탄의 지경을 넘어 부러울 정도이다.

 

히다 유이치 선생의 추도사에 따르면 콘도 선생은 평생 두 분을 스승으로 모셨다고 한다. 고베대학의 스승이셨던 야스다 시게루(保田茂) 선생과 재일동포 정홍영 선생이다. 야스다 시게루 선생은 일본 유기농법의 전문가라는 점 외에는 내가 아는 바가 별로 없지만, 정홍영 선생과의 우정과 협력은 콘도 도미오 선생이 <무쿠게통신(300, 2020531일자)>에 기고하신 정홍영 선생과의 일(鄭鴻永さんとのこと)”이라는 글에 잘 나타나 있다.

 

 

콘도 도미오(1950-2022) 선생이 정홍영(1929-2000) 선생을 처음 만난 것은 1983년 가을, 다카라즈카 시립 아쿠라(安倉) 중학교의 직원연수회에 정홍영 선생이 강사로 초청되었을 때였다. 당시 54세의 정홍영 선생은 다카라즈카 조선인연합회 지부장을 사직한 후 1976년부터 지역사 연구에 몰두하고 있었고, 33세의 콘도 선생은 아쿠라 중학교의 일본어 교사로 재직 중이었다.

 

이날의 강연 주제는 그해 여름 무코강의 범람으로 조선인 거주 부락이 겪은 침수해의 참상을 전하고, 이 재해는 단순한 자연 재해가 아니라 재일조선인들의 주거 조건에 대한 시당국의 무관심과 정책 부재로 발생한 인재요 관재이며, 이에 대해 인도적인 시민운동을 통해 재난 피해자들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온화한 말씨와 설득력 있는 주장에 매료된 콘도 도미오 선생은 강연이 끝난 후에 정홍영 선생을 찾아 개인적으로 인사를 드리면서 연락처를 교환했다고 한다. 이후 그는 기꺼이 정홍영 선생의 연구와 답사 활동의 파트너가 되었다.

 

 

두 사람은 1985년의 조사에서 고베 수도공사 중에 사망한 김병순, 남익삼, 장장수씨의 매장인허증을 찾아냈고, 1993년에는 후쿠치야마선 철도공사 중 다이너마이트 폭발사고로 사망한 윤길문, 오이근씨의 1929년의 신문기사를 입수해 사망원인과 배경을 조사했다. 이 조사 내용은 1997년에 출판된 정홍영 선생의 저서 <가극의 도시의 또 다른 역사: 다카라즈카와 조선인>에 수록됐고, 훗날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를 건립하는 실증적 근거가 되었다.

 

그밖에도 두 사람은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차례에 걸쳐 열렸던 <조선인과 중국인의 강제연행과 강제노동을 생각하는 전국교류집회>를 제안하고 그 조직과 진행을 담당했는가 하면, 이차대전 중에 만들어진 마츠시로(松代), 코요엔甲陽園), 아이노(相野), 야마나카(山中), 쿠쿠리()의 지하벙커를 답사하여 강제동원 노동자들에 대한 기록도 남겼다.

 

그 많은 조사연구와 답사를 함께 하면서 정홍영 선생은 콘도 선생을 동등한 동료로 여겼던 것 같았고, 콘도 선생은 정홍영 선생을 스승으로 모셨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콘도 선생님과 문자를 주고받으면서 정홍영 선생님에 대한 화제가 나올 때마다 콘도 선생의 어투에 경의와 존경심이 배어있는 것을 읽을 수 있었기에 내가 가졌던 느낌이었다.

 

 

흥미로운 것은 정홍영 선생도 농과대학 출신이라는 점이다.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출생, 5세 때에 가족과 함께 효고현 다카라즈카로 이주해 오신 정홍영 선생은 리츠메이칸(立命館)대학에서 농학을 전공하셨다. 리츠메이칸은 간사이(関西), 간세이가쿠인(関西学院), 도시샤(同志社)와 함께 간사이 4대 명문 사립대학을 가리키는 칸간도리츠(関関同立)의 하나이다.

 

국립 명문 신다이(神大)에서 축산학을 전공하신 콘도 도미오 선생과 사립 명문 리츠메이칸(立命館)에서 농학을 전공하신 정홍영 선생이 세대를 가로지르는 우정을 나누면서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조사하고 연구해 기록으로 남기신 일은 매우 이례적으로 보였다.

 

특히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 일본 초기 근대화 과정에서 희생된 조선인 노동자들을 기억하기 위해 일본인과 재일동포들이 함께 정성을 기울인 결과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정홍영 선생과 콘도 도미오 선생이 평생 나누신 우정과 협업의 결실이기도 하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