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호 선생(1995: 201)은 최승희의 공연 내용이 바뀐 것은 일제의 직접적인 개입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안제승의 증언을 바탕으로 최승희 선생이 가부키좌 공연이 끝나고 경시청에 불려갔앞으로 공연할 때는 일본의 춤을 늘려서 조선춤과 일본춤을 반반 구성하여 공연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공연을 허가하지 않겠다는 경고도 받았다고 서술했다.

 

레퍼토리에 일본무용 작품을 반반 구성하라는 식의 지시가 있었는지는 다른 자료로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그런 지시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면 최승희 선생는 그 지시를 액면 그대로 지켰음을 알 수 있다. 그해 11월에 있었던 도쿄 다카라즈카극장 공연의 팜플렛을 보면 공연된 12작품 중의 6작품(신전무, 칠석의 밤, 무혼, 천하대장군, 가무보살, 보현보살)이 일본무용으로 소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중 신전무와 무혼은 이 공연을 위해 일본무용으로 새로 창작한 것으로 보이고, 칠석의 밤과 가무보살도 이 시기에 창작된 작품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딱히 일본무용이라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우선 <칠석의 밤>은 견우와 직녀 전설을 작품화한 것인데, 그 전설이 일본 고유의 전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전설의 기원은 기원전 5세기의 중국이며 한국에서도 약 4세기 고구려 시대부터 널리 알려진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의상과 음악에 따라서 중국무용이나 조선무용도 될 수 있다.

 

또 최승희 선생은 유럽과 미주에서 절찬리에 공연했던 <보살춤>의 제목을 도쿄 다카라즈카 공연에서는 <보현보살>고 바꾸었는데, 이는 새로 창작한 <가무보살>과 짝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공연 팜플렛의 작품 해설에 따르면 <가무보살>은 지금은 일본 교토국립박물관에 소장된 불화 <이십오보살래영도(二十五菩薩來迎圖)>를 보고 떠오른 영감을 작품화한 것이라고 한다.

 

 

일본 카마쿠라(鎌倉)시기에 제작된 <25보살내영도>는 생전에 불법을 지켜 사후에 왕생자로 극락에 들어오는 사람을 스물다섯 보살이 환영하는 모습을 그린 것인데, 그림 중에는 북이나 장구와 비슷한 모양의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을 추는 보살들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최승희 선생은 노래를 연주하고 춤을 추는 보살들의 모습을 상상해 무용 작품화하고 이를 <가무보살>이라고 이름 붙였다.

 

공연 팜플렛은 무용작품 <보현보살>을 헤이안(平安)시기의 불화 <보현보살>을 보고 그 인상을 작품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는데, 이는 아마도 도쿄국립박물관에 소장된 회화 작품 <보현보살기상상(普賢菩薩騎象像)>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에서는 보현보살이 연화좌(蓮華坐)를 얹은 흰 코끼리 위에 결가부좌하여 합장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더 나아가 <천하대장군>을 일본 무용 작품으로 분류하는 것은 견강부회에 가까운 일이다. 도쿄 공연 팜플렛은 이 작품을 일본 무악의 수법에서 받는 느낌을 주로 하여 창작한 것이라고 서술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를 일본무용으로 분류하는 데에는 어폐가 있다.

 

 

이 작품이 초연되었을 당시에는 조선 전래의 장승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표정만 무서울 뿐 자기 마음대로 움직이지도 못하는 존재를 풍자하기 위한 무용작품이라고 설명되었던 것이다. 소재와 주제가 모두 조선적인 대표적인 조선무용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천하대장군>을 일본 무용으로 분류한 것은 잘못된 일일 수 밖에 없다. 그래서인지 도쿄 공연 후에 열린 경성 공연에서는 <천하대장군>이 레퍼토리에서 누락되었다.

 

이처럼 최승희 선생이 신작 일본무용 작품을 창작하고, 기존의 조선무용을 일본무용인 것처럼 서술해 프로그램에 소개했던 것은, ‘조선무용과 일본무용을 반반이 되게 하라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짜낸 고육지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승희 선생은 이런 식의 강요를 좋아할 리가 없었다. 그러나 일제가 진주만을 기습공격함으로써 시작된 태평양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일제 군국주의의 요구는 점점 심해졌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