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가 끝난 후에는 긴 중간 휴식(ENTR’ACTE)이 있었다. 9개의 작품을 모두 독무로 공연한 최승희는 숨 돌릴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막간 휴식이 끝난 후 시작된 3부에서는 <초립동(1937)>, <춘향애사(1939)>, <검무(1934)>, <무녀춤(1936)>의 네 작품이 발표되었다.
3부-1. 프랑스어로 “꼬마 신랑(Enfant marie)”으로 번역된 작품의 원제는 <초립동>이다. 프로그램은 이 작품이 “과거 한국에서는 조혼이 성행했다”고 소개하고 “결혼식을 마친 후 더 이상 아이가 아니고 어른이 되었지만 꼬마신랑은 풀로 만든 모자를 쓴 채 명랑하고 순진하게 행동한다”고 작품을 설명한 후 “과연 꼬마신랑은 사랑을 아는 걸까?”하고 묻는다.
‘풀잎으로 만든 작은 모자(petit chapeau d'herbes)’란 초립(草笠)을 가리킨다. 초립은 ‘어린 나이에 결혼한 사람이 쓰던 갓’을 가리키며 보통은 “가늘고 누런 빛깔이 나는 풀이나 말총으로 엮어서 만들었던 작은 모자”이다. 순 한국말로는 ‘풀갓’이라고도 불렀다. 최승희가 <살 플레옐> 공연을 마친 후 이 모자가 파리 여성들에게 유행했다는 기록도 있어 당시 최승희의 <초립동>과 그 소품 초립의 인기를 짐작케 한다.
로스엔젤레스 공연 직후에 공연평을 실었던 <신한민보>는 이 작품을 <신랑춤>이라고 불렀고 “코흘리는 초립동이가 신부를 맞는데 청바지 저고리에 분홍 두루막을 입고 초립을 쓰고 혼자 남모르게 좋아서 춤도 추고 생각도 하고 명상도 해보는 로맨스의 곡”이라고 해설했었다.
<신한민보>에 묘사된 <초립동>의 의상은 이 작품의 밝고 명랑한 분위기를 상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초립동>은 오늘날에도 재일 조선학교 무용부의 학생들에 의해 자주 공연되는데 이들의 의상이 지금도 ‘푸른색 바지 저고리에 분홍색 두루막을 입고 초립’을 쓴 차림이다.
'조정희PD의 최승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플레옐 5-12] <검무> 혹은 <칼춤>, (Danse de l'Epée) (0) | 2021.05.16 |
---|---|
[살플레옐 5-11] <옥중춘향>, 옥중 슌코의 고난(Détresse de Shunko dans la prison) (0) | 2021.05.16 |
[살플레옐 5-9] <봉산탈춤>, 유랑예인(Bouffon errant) (0) | 2021.05.16 |
[살플레옐 5-8] <낙랑의 벽화>, (Fresque de Royang) (0) | 2021.05.16 |
[살플레옐 5-7] <한량무>, 젊은 엽색가(Un jeune charmeur)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