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올림픽이 진행 중이다. 오랫동안 실력을 연마한 선수들의 휴먼드라마가 속출하고 있지만, 코로나19의 검은 그림자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간 경제제재를 둘러싸고 냉각된 한일관계의 불편함도 남아 있어서 마음 편하게 올림픽을 즐기는 것이 쉽지는 않다.
한일 양국민의 정서가 언제나 이렇게 불편했던 것은 아니다. 정부가 대립하고 정책에 차이가 나더라도 시민들은 서로의 처지를 이해했고, 축하할 것을 축하하고 동정할 것을 동정하곤 했다. 심지어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였던 시기에도 그런 일이 있었다.
1935년 6월 무용가 최승희는 조선무용 공연을 위해 나고야를 방문했다. 당시 일본열도는 올림픽 열기로 뜨거웠고, 나고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까지는 아직 1년 이상 시간이 남았지만, 일본의 축제 분위기는 이미 달궈지고 있었다. 때마침 1940년 올림픽을 도쿄에 유치했기 때문에 일본인의 자부심은 한껏 부풀어 올랐다.
(그러나 1940년 도쿄 올림픽은 일본 정부의 전쟁 도발로 개최지 자격을 박탈당했다. 1937년 7월 일본 정부가 중일 전쟁을 시작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올림픽 개최지는 헬싱키로 변경되었지만, 1939년 9월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공하면서 헬싱키 올림픽마저 취소되었다.)
코로나와 경제제재가 한일간의 여행을 제한하기 직전, 나는 나고야시립도서관에서 신문기사를 하나 발견했다. 마이크로필름 판독기 화면에 나타난 기사는 활자들이 뭉개지고 사진도 흐릿했지만, 당시 24세였던 최승희의 발랄한 모습을 발견한 것은 큰 보람이었다.
1935년 6월10일의 <나고야(名古屋)신문> 7면에 사진과 함께 실린 이 기사는 조선무용 공연을 위해 나고야를 방문한 최승희의 짧은 인터뷰였다. 당시 최승희는 두 번째로 일본으로 건너간 이후 일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었다. 그의 춤이 일본무용도 아니고 신무용도 아닌, 조선무용이었는데도 그랬다. <에헤야 노아라(1933)>를 시작으로 <검무(1934)>와 <승무(1934)>는 최승희의 트레이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나고야신문>은 당시 조선의 식민지 상황과 최승희의 춤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기사는 그녀의 춤을 이렇게 요약했다. “그녀가 유머러스한 교태로 춤출 때 조선이 웃고, 그녀가 쓸쓸히 춤출 때 조선이 운다.”
기사가 최승희를 “민족의 오랜 전통미를 세계에 자랑하는 신시대의 딸”이라고 소개한 것은 조금 의외였다. ‘신시대의 딸’이라는 표현은 당연하겠지만, 이 때는 최승희의 인기가 아직 조선과 일본에 머물러 있었을 때였다. 그런데도 민족의 전통미를 “세계에 자랑”한다고 썼다.
나고야 신문의 ‘예고’은 곧 현실이 되었다. 최승희는 그해 말부터 세계 순회공연을 계획하기 시작했고, 결국 2년반 후인 1938년 12월28일에는 요코하마에서 미국행 배를 탔다. 그로부터 3년 동안 유럽과 남,북미의 세 대륙에서 최승희의 조선무용은 “민족의 오랜 전통미를 세계에 자랑”하고 있었으니 나고야 신문의 예언은 적중한 셈이다.
기자는 이 신진의 조선 무용가를 인터뷰하면서 올림픽 이야기를 빼놓지 않았다. 그는 최승희의 키가 당시 여성으로서는 장신이었던 5척4촌(=164센티미터)임을 굳이 밝히면서 “달리기를 했으면 올림픽 선수가 됐을 것”이라는 멘트를 이끌어냈다. 그리고 기자가 덧붙였다. “당신은 이미 올림픽 무용가입니다.”
이 인터뷰 기사를 읽은 독자들은 어떻게 느꼈을까? 일본인 시민들은 불행한 식민지 처지에도 굴하지 않고 조선무용 공연을 쉬지 않는 최승희의 기개를 응원했을 것이다. 나고야에 거주하던 조선인들도 식민 모국에서 조선의 문화를 이어가는 최승희가 자랑스러웠을 것이다.
<나고야신문>은 최승희의 사진도 역동적인 모습으로 잘 선택했다. 내가 마이크로필름으로 본 사진은 배경도 흐릿해지고 의상도 짐작하기 어려웠지만, 그녀의 표정만은 명랑하고 당찬 “조선 아가씨”였다. 혹시 <나고야신문>의 아카이브에 보관되어 있다면 이 사진의 원본을 꼭 한번 보고 싶다.
<나고야신문>은 최승희를 직접 만났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드러내면서, 독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독자들 중에는 85년 후의 나도 포함되고, 나의 이 글을 읽어줄 모든 이들도 포함될 것이다. 나는 이런 기사가 진짜 저널리즘이라고 생각한다. (조정희, PD/최승희 연구가)
=========================
아래는 <나고야신문>의 기사 원문과 번역문이다.
[초여름 서경시] 민족의 표정, 최승희씨
"피곤해 죽겠어요 ! 여기서 쉬어갈게요." (1935년 6월)9일 나고야에 와서 공회당에서 무대연습(리허설)을 하고 (숙소로) 돌아가는 길에 최승희씨가 가볍게 난간에 기대어 앉았다. “어디선가 환성이 들려오네요. 아, 운동장에서 나는 소리예요. 나도 달리고 싶어요.” 5자4치(164센티미터)의 최승희씨가 하얀 출발선에 자세를 잡고 서면 당당한 선수이겠지만 알고 보면 눈물 많고 순진한 조선 아가씨이다. 민족의 오랜 전통미를 세계에 자랑하는 신시대의 딸. 그녀가 유머러스한 교태로 춤출 때 조선이 웃고, 그녀가 쓸쓸히 춤출 때 조선이 운다. 그녀는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말한다. "내가 달리기를 했으면 올림픽 선수가 됐을 거예요." 아니다, 당신은 이미 훌륭한 올림픽 무용가이다. (*)
'조정희PD의 최승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승희 대구공연] 1-7. 대구 현지 신문들의 대구 공연 보도 (0) | 2021.08.01 |
---|---|
『名古屋新聞』のオリンピック舞踊家の崔承喜 (0) | 2021.07.31 |
[최승희 대구공연] 1-6. <부산일보>와 다른 민족지들의 대구 공연 보도 (0) | 2021.07.30 |
[崔承喜の大邱公演] 1-5.<朝鮮新聞>の大邱公演報道 (0) | 2021.07.30 |
[최승희 대구공연] 1-5. <조선신문>의 대구 공연 보도 (0) | 202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