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캐리커처(1931)>는 이시이 바쿠의 <캐리커처(カリカチュア, 1926)>에 불쾌감을 느꼈던 최승희가 이를 수정하고 보완하려는 의도로 창작한 작품이었고, 이것이 후일 <에헤야 노아라(1933)>로 개칭되었던 것이라고 필자는 추론했다.
이 추론은 <신여성(1934년 5월호)>과 최승일의 <최승희 자서전(1937)>, 그리고 다카시마 유자부로의 평전 <최승희(1981[1959])> 등의 문헌으로 뒷받침될 수 있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이시이 바쿠의 <캐리커처>가 공연에서 발표된 적이 없었다는 점이다. 1926년 이래 1940년대에 이르는 이시이 무용단의 숱한 공연 프로그램을 조사했으나, 그 모든 프로그램에 이시이 바쿠의 독무 <캐리커처>는 실려 있지 않았다. 이는 <캐리커처>가 창작은 되었으나 발표되지 않았거나, 혹은 다른 이름으로 발표되었다는 뜻이다.
<이시이바쿠 팜플렛(제1집, 1927)>에 실린 이시이 바쿠의 무용작품 목록에도 <캐리커처>라는 작품은 없었다. 다만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내용으로 창작된 <실념(失念)>이 있을 뿐이다.
<캐리커처>는 1926년 3월 이시이 바쿠가 처음 경성을 방문했을 때 창작되었다. 이 경성 공연을 위해 이시이 바쿠는 그의 처제 이시이 코나미와 함께 경성역(=지금의 서울역)에 도착, 여관과 요정이 즐비하던 수정 2번지(=지금의 중구 필동)의 하라카네(原金) 여관에 숙소를 정했고, 경성일보 사옥(=지금의 태평로1가의 프레스센터)에서 인터뷰를 하고, 하세카와초(=지금의 소공동)의 경성공회당에서 3월21일부터 23일까지 공연을 열었다.
이때 이시이 바쿠는 경성역 앞을 배회하는 한 조선 노인의 모습과 그의 넋이 나간 듯한 표정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공연을 마치고 도쿄의 무사시사카이(武藏境)로 돌아가, 이 조선 노인을 희화화한 작품을 안무했다. 강이향(1993, 52쪽)은 당시 상황을 이같이 서술했다.
“그(=이시이 바쿠)가 서울에서 맨 처음 본 것은 흰옷의 조선인들이 밧줄에 묶인 채 일본 경찰에게 끌려가는 모습이었다. 그야말로 「수인」들의 무리였다. 그는 그곳에서 빼앗는 것들의 뿌리는 하나라는 것을 깊이 깨달았다고 한다.
“그러나 반드시 어두운 인상만 받은 것은 아니었다. 그 속에서도 활기찬 사람의 모습, 흰옷을 입은 노인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거리의 그늘 밑에 앉아 부드러운 웃음을 지으며 ‘한가함’을 즐기는 모습. 그는 그 모습 속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기도 했다.
“그는 동경으로 돌아가자마자 그곳에서 본 노인의 인상을 테마로 하여 <실념(失念)>이라는 작품을 만들었다. 푸근한 사랑과 잔잔한 웃음이 흐르는 가운데 조선 남자의 백의를 상징하는 의상으로 춤추고 있는 그의 무대 사진은 지금도 남아있다.”
강이향의 서술과는 달리 이 작품이 노인의 “푸근한 사랑과 잔잔한 웃음”을 표현한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흰옷 입은 조선 노인의 정신 나간 듯한 멍한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즉, 이시이 바쿠는 조선 노인을 풍자적으로 희화화한 것인데, 그래서 그 제목을 <캐리커처(=희화, 풍자)>라고 붙였다가 나중에 <실념(失念=망각, 멍함)>으로 바꿨다. 최승일과 최승희가 이 작품을 불쾌하게 여겼던 것도 바로 이런 희화화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시이 바쿠의 <실념>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 코믹한 작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공연에서 그다지 많은 인기를 누리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 남겨진 공연 사진을 보면 일본에서 <실념>을 공연할 때에는 조선 의상이 아니라 일본식 의상이 사용되기도 했었다.
예컨대 이시이 무용단이 1940년 12월15일 도쿄의 칸다(神田) 소재 공립강당에서 개최한 “보호아동의 밤” 공연의 프로그램에, <실념>은 10개 작품 중 4번째 작품으로 실려 있었다.
프로그램의 작품 설명 난에는 “자기 자신의 생활의 캐리커처”라고만 간단히 서술되어 있어, <실념>이 조선에서 만난 조선인을 소재로 창작되었다는 연원도 밝히지 않았는데, 이로 보아 이 작품의 공연 의상도 조선식 한복이 아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2022/8/27, 조정희)
'조정희PD의 최승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주극장] 42. 박경중 선생 인터뷰 (22) <신노심불로> (0) | 2022.08.29 |
---|---|
[나주극장] 41. 박경중 선생 인터뷰 (21) <실념>과 <에헤야 노아라> (0) | 2022.08.29 |
[나주 극장] 39. 박경중 선생 인터뷰 (19) <우리들의 캐리커처> (0) | 2022.08.28 |
[나주 극장] 38. 박경중 선생 인터뷰 (18) <에헤야 노아라> 초연 (0) | 2022.08.28 |
[나주 극장] 37. 박경중 선생 인터뷰 (17) 최승희의 첫 조선춤 (0)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