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자지라>는 2024년 9월18일 “수백만달러의 장관(The Minister's Millions)"라는 심층취재를 보도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국토부장관 사이푸자만 차우더리(Saifuzzaman Chowdhury)가 영국과 미국, 두바이에 수백건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외환규정은 엄격한 편이어서 어떤 개인이나 기업도 일 년에 1만2천달러 이상 해외로 반출하려면 세관에 신고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챠우더리 장관은 방글라데시 최대은행인 UCB의 계좌를 이용해 런던에 360건의 부동산을 보유했고, 미국 뉴욕과 뉴저지에 9건, 아랍에미레이트의 두바이에 54건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장관의 월급 1만3천달러로는 도저히 매입할 수 없는 부동산이라고 <알자지라>가 보도했습니다.
<알자지라>의 조사에 따르면 챠우더리 장관의 해외자산은 6억7천5백만달러에 달하며, 2022년 한 해 동안 6천2백만달러의 수익을 얻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만, 이는 방글라데시 세관에 신고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는 또 자신의 비밀사업을 하시나 총리가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영국에서는 해외의 위법행위로 얻은 돈으로 진행된 사업은 돈세탁으로 간주되므로, 챠우더리 장관이 방글라데시 실정법을 어기면서 확대한 해외 부동산 자산과 수익은 영국 정부에 의해 몰수당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하시나 정권이 유지되었다면 어떻게든 빠져나갈 방법이 있었겠지만, 하시나가 실각하고 망명한 지금, 임시과도정부가 부정부패 조사에 역점을 두고 있는 가운데, 챠우더리 장관의 불법 사업자금과 해외 자산은 모두 동결된 상태입니다.
챠우더리 장관 자신은 방글라데시를 탈출해 거처가 알려지지 않은 곳에 은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다카의 영자 경제지 <비지니스 스탠다드(The Business Standard)>는 2024년 10월9일 기사에서 “반부패위원회가 아사두자만 칸 카말(Asaduzzaman Khan Kamal) 전 내무장관과 가족들을 부정축재, 권력남용, 뇌물수수, 돈세탁 등의 범죄 혐의로 기소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기사에 따르면 아사두자만 전장관과 그의 아내 루트풀 타미나 칸(Lutful Tahmina Khan), 아들 사피 무다시르 칸(Safi Muddasir Khan), 딸 사피아 타스님 칸(Safia Tasnim Khan), 개인비서 모니르 후사인(Monir Hossain)이 부정축재 혐의로 고소됐는데, 이들의 불법 재산은 모두 6억1천만 타카(=약 51억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한편 다카에서 발행되는 영자신문 <데일리 스타(The Daily Star)>는 2024년 11월2일자 기사에서 “하시나 정권 아래서 연간 최고 150억달러가 돈세탁으로 해외로 빼돌려졌다”고 보도했습니다. <데일리 스타>는 또 이 자금들은 대부분 교역의 형식으로 빼돌려졌으며, 회수할 수는 있지만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jc, 2024/11/19)
Since the turn of the millennium, Bangladesh was in good economic shape: population growth had slowed, education was improving, industry was growing, and economic indicators were improving.
For two decades, Bangladesh's economic growth rate averaged 6.25% per year, and by 2022, the country's gross domestic product (GDP) per capita exceeded $2,500, the highest in Southwest Asia, surpassing even India.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predicted that Bangladesh will leave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by 2026.
With the country on an economic upswing, the question was, why did the people's revolution happen? Mr. Mustain Zahir's presentation at the global forum offered few clues to answer this question.
One clue was that youth unemployment was 15%, three times the overall unemployment rate, making it extremely difficult for university graduates to find jobs. They would prefer to hold public office, but the Hasina regime has allocated 56% of public offices to certain groups: 10% each to women and people from underdeveloped areas, 5% to indigenous people, 1%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30% to the descendants of freedom fighters.
University students have been protesting against the quota system since July 2024. They objected to quotas other than those for indigenous people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y argued that the allocation of 30% of public offices to the grandchildren of freedom fighters, who make up only 0.13% of the population, was discriminatory and unconstitutional.
The Supreme Court of Bangladesh imposed a moratorium on the quota system, postponing a final decision until August 7, 2024. The students, who felt that the Supreme Court was only stalling for time, continued their protests, because once the quota system was implemented, the competition for government jobs, which had already reached to 100-to-1 competition rate, would be harder to get.
Two decades of rapid growth didn't help the university students, as Bangladesh's growth was mostly driven by light industry, including the sewing industry. As the professional sector for university students remained weak, university graduates preferred government jobs. The quota system, which the Hasina government is reviving, was a “do or die” threat to them.
Nevertheless, this still doesn't explain why university students' protests against the quota system evolved into the uprising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his presentation at the forum, Mr. Zahir explained that the protest escalated after five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Abu Sayed, a student of English literature at Dhaka University, were killed in police firing on July 16, 2024.
The death of Mir Mahfuzur Rahman Mughdo, an MBA student at Dhaka University on July 18, was also spread like wildfire across the country on social media, prompting Bangladeshis to join anti-government protests, Mr. Zahir explained.
All three members of the Bangladesh delegation are activists who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protests, so their testimony is likely to be credible.
However, it's hard not to wonder if there must have been some underlying factors that led to the escal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protests into a civil revolution. (jc, 11/19/2024)
굳이 단서를 찾자면 청년 실업률이 15%로 전체실업률의 3배에 달해,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난이 극심했다는 점입니다. 이들은 공직을 선호하지만, 하시나 정권은 공직의 56%를 특정 계층에 할당했습니다. 여성과 저개발지역 출신에게 각각 10%, 토착원주민에게 5%, 장애인에게 1%, 그리고 자유투사의 자손들에게 30%의 공직이 할당되었습니다.
방글라데시 대법원은 공직 할당제에 일시 중지 선고를 내리고, 최종 결정을 2024년 8월7일로 연기했지만, 대법원이 시간을 끌 뿐이라고 생각한 학생들은 시위를 계속했습니다. 공직 할당제가 시행되면, 이미 100대1에 도달한 공직 취업 경쟁률이 두 배 이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었습니다.
20여년 동안의 고속 성장도 대학생들에게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방글라데시의 성장은 대부분 봉제업을 포함한 경공업이 선도했기 때문입니다. 대학생들이 진출할 전문직 부문은 여전히 취약했고, 대학 졸업자들은 공직을 선호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시나 정부가 부활시키려는 공직 할당제는 이들에게 “죽느냐 사느냐”의 문제였던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의 공직 할당제 반대시위가 민중 항쟁으로 발전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기에는 아직도 부족함이 있습니다.
자히르씨는 포럼 발표문에서 2024년 7월16일 다카대학 영문학과의 아부 사예드(Abu Sayed)를 포함한 5명의 대학생이 경찰의 발포로 사망한 것이 민중시위로 확대된 계기였다고 설명했습니다.
7월18일 다카대학 MBA과정의 미르 마흐푸주르 라흐만 무그도(Mir Mahfuzur Rahman Mughdo)의 사망 모습도 SNS을 통해 전국으로 들불처럼 번지면서 방글라데시의 시민들이 반정부 시위에 가담하기 시작했다고 자히르씨는 설명했습니다.
방글라데시 방문단에 참여한 3명은 모두 시위에 직접 참여한 활동가들이므로, 그들의 증언은 믿을 만한 사실일 것입니다.
하지만 대학생들의 시위가 민중혁명으로 확산된 데에는 뭔가 근본적인 요인이 있었을 것이라는 의문이 쉽게 가시지 않았습니다. (jc, 2024/11/19)
In response to Mr. Mustein Zahir's request, The Monsoon Club invited two student representatives of the Monsoon Revolution to Korea: Ms. Samia Akther from Dhaka University Law School and Mr. Mosfiqur Rahman Johan from the Department of Anthropology at Brac University.
They were accompanied by Mr. Mustein Zahir, who also visited Korea at the invitation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 (KDF), and spent 8 days in Korea to introduce the Monsoon Revolution to Korean people and seek advice for the peaceful settlement of the Monsoon Revolution.
I was unable to join the Bangladeshi delegation as I was guiding Japanese Teameye members to visit Goseong, Gyeongsangnam-do Province. As I had read their prepared presentations in advance, however, I knew the message they wanted to convey through their seven talks and meetings in Seoul and Gwangju.
Mr. Mustain Zahir explained the progress and meaning of the Monsoon Revolution in a thematic presentation at the KDF's Global Forum, which was translated and posted by Ms. Lee, Goeun and me.
To briefly summarize Mr. Zahir's presentation again, university students' protests against the Hasina regime's public job quota system began in Dhaka in early July 2024. After Prime Minister Hasina's “Razakar” remark on July 14 and the deaths of five students, including Abu Sayed, in police firing on July 16, the protests against the quota system escalated into protests against the regime.
As anti-government protests spread across Bangladesh in late July, indiscriminate firing by the police and military forces resulted in an estimated 1,500 deaths and 30,000 serious injuries, and the Monsoon Revolution ended in a people's victory on August 5, when Hasina resigned and fled to India to escape protesters' march on the prime minister's office.
Following the success of the revolution, student representatives recommended Nobel Peace Prize winner Muhammad Yunus as the head of the interim transitional government, which was accepted by President Muhammad Shahabuddin, leading to the formation of the interim transitional government, which is working on six categry reforms to bring the Monsoon Revolution to a peaceful conclusion.
Mr. Zahir's presentation was originally titled “The July Massacre and the Language of Resistance in Bangladesh.” The July massacre refers to the carnage caused by the Hasina regime's firing orders that left 1,500 dead and 30,000 seriously injured, but I was curious to know what the “language of resistance” was.
It's “razakar,” a term used to describe Bangladesh's traitors who turned against the freedom fighters who fought for independence in the 1971 Bangladesh War of Independence.
Prime Minister Hasina accused protesters against the quota system, which allocates 30% of government jobs to the children and gradchildren of freedom fighters, of being “razakars.” The protesters responded, “Yes, I am a razakar,” challenging the Hasina regime's attempt to institutionalize the vested interests of the grandchildren of freedom fighters. How the phrase became a protest chant is described in Samia Akhtar's presentation.
In this way, 'Razakar' was transformed from its original meaning to become a language of resistance against authoritarian dictatorship. Through this transformation of the language of resistance, Hasina and other descendants of the freedom fighters of 1971 were identified with the oppressors, and the anti-government protesters of 2024 became freedom fighters for democratization. The transformation of language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reality.
In South Korea, independence fighters and their descendants, instead of being favored by the state, were marginalized and impoverished by a government dominated by pro-Japanese collaborators. In Bangladesh, independence fighters and their descendants faced resistance from the people as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vested interests.
Whether it's Korea or Bangladesh, independence fighters or freedom fighters, Razakars or pro-Japanese collaborators, we can see that undermining fairness will inevitably lead the people to resist vested interests. (jc, 11/18/2024)
자히르씨의 발표내용을 다시 간략하게 요약하면, 2024년 7월초 다카에서 하시나 정권의 공직 쿼터제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시위가 시작되었고, 7월14일 하시나 총리의 “라자카르” 발언과 7월16일 아부 사예드 등 5인의 학생들이 경찰의 발포로 사망하자 공직 쿼터제 반대시위는 정권퇴진 시위로 확대되었습니다.
7월 하순 반정부 시위가 방글라데시 전역으로 확산되자 군경의 무차별 발포로 약 1천5백명의 사망자와 3만여명의 중상자를 낸 끝에, 8월5일 하시나가 시위대의 총리 공관 행진을 피해 총리직을 사임하고 인도로 망명함으로써 몬순혁명은 민중의 승리로 완결되었습니다.
혁명이 성공한 후, 학생 대표들은 무함마드 유누스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임시과도정부 수반으로 추천, 무하마드 샤하부딘 대통령이 이를 수용함으로써 임시과도정부가 구성됐고, 임시과도정부는 몬순혁명을 평화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6개 개혁과제를 수행 중입니다.
자히르씨의 발표문의 원제목은 “방글라데시 7월 학살과 저항의 언어”였습니다. 7월 학살이란 1,500명의 사망자와 3만여명의 중상자를 낳은 하시나 정권의 발포명령으로 야기된 대참사를 가리킵니다만, “저항의 언어”란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이는 “라자카르”라는 말입니다. 이 말은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때, 독립을 위해 싸우던 자유투사(freedom fighters)에 대항한 방글라데시의 배신자들을 가리킨 말이었습니다.
하시나 총리는 자유투사의 자손에게 공직의 30%를 할당하는 쿼터제에 반대하는 시위대를 “라자카르”로 몰아갔습니다. 그러자 시위대는 “그래, 내가 라자카르”라고 맞받았습니다. 자유투사의 아들딸에 이어 손자들의 기득권까지 제도화하려는 하시나 정권의 시도에 맞불을 놓은 것이지요. 이 말이 시위대의 구호가 된 과정은 사미아 악타르씨의 발표문에도 나와 있습니다.
이로써 라자카르는 그 원래의 의미에서 벗어나 권위주의 독재에 대한 저항의 언어가 된 것이지요. 이 저항 언어의 의미 전도로, 하시나를 비롯한 1971년의 자유투사의 자손은 압제세력과 동일시되었고, 그에 대항한 2024년의 반정부 시위대는 민주화를 위한 자유투사들이 되었습니다. 언어의 전도가 현실의 전도로 이어진 것이지요.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독립투사와 그 자손들이 국가의 우대를 받기는커녕 친일부역자들이 장악한 정부에 의해 소외되고 가난에 시달렸습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에서는 독립투사와 자손들이 기득권을 유지하려다가 민중의 저항에 부딪힌 것이지요.
한국이든 방글라데시든, 독립투사나 자유투사이든 라자카르나 친일부역자든, 공정성을 훼손하면 민중은 필연적으로 기득권에 저항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jc, 2024/11/18)
While the decision to invite a delegation from Bangladesh was motivated by the historical debt of Koreans owed to Tagore and the Bangladeshis' association of the Monsoon Revolution with the Gwangju Uprising, there were other practical reasons as well.
Bangladeshi and Russian population, projections as of the end of the year 2021
Bangladesh's land area (150,000Km²) is smaller than the Korean Peninsula (220,000 Km²), but larger than South Korea (100,000Km²) and North Korea (120,000Km²). Bangladesh's population (180 million) is more than that of South Korea (51 million) and North Korea (26 million), as well as the two Koreas combined (77 million).
Bangladesh's population is young. According to 2020 UN statistics, 27% of the population is under the age of 15, 68% is aged 15-64, and 5.2% is aged 65 and over, compared to 12%, 70%, and 18% in South Korea, respectively.
Bangladesh has been known for its low literacy rate, but that's outdated. According to 2019 UN statistics, the literacy rate for Bangladeshis under the age of 15 is 95% and 75% for those aged 15-64, much higher than the 39% for those aged 65 and over.
According to 2022 UNESCO statistics, Bangladesh's primary school enrollment rate is 112%, which means that people past school age are enrolled in primary school and learning to read. The secondary school enrollment rate is also 72%. Bangladesh is the world's eighth largest population, having a large labor force of good quality and a large market to explore.
However, the outside world has not been favorable to Bangladesh. In the 1970s, when the country struggled to gain international approval, she was treated harshly. It was because authoritarian governments and coups were recurring and she was classified as one of the least developed economies.
When Bangladesh gained independence in 1971, Ural Johnson (1908-1997), then US Assistant Secretary of State, called it an “international basket case”. Henry Kissinger (1923-2023), the President's National Security Advisor, scoffed and said “not our basket case.”
Twenty years earlier, the British newspaper The Times had sarcastically remarked in an October 1, 1951 article, “Expecting democracy to blossom in Korea is like expecting roses to bloom in a dustbin.” It may have sounded obvious at the time.
But Korea has since overthrown the dictatorships of Rhee Syngman,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and has become the forerunner of democracy in Asia. Koreans impreached a president when she violates the constitution and fails to uphold the law. Now, another president is facing public disapproval, and his fate will be decided this winter.
Meanwhile, despite the criticisms from the West, Bangladesh's economy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two decades. Bangladesh has been developing by leaps and bounds since the 2000s, with an average annual economic growth rate of 6-7%.
According to United Nations statistics, Bangladesh's gross domestic product (GDP) per capita in 2022 will be $2,528, lower than South Korea ($32,305), but higher than North Korea ($590), and higher than its neighbors India ($2,445) and Pakistan ($1,386), as well as Nepal ($1,290) and Myanmar ($1,204).
Bangladesh's 2022 poverty rate of 18.7% by local standards, but it is a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80% in 1971 and 44% in 1991. By international standards, Bangladesh's 2022 poverty rate of 30% and absolute poverty rate of 5% are lower than India's (44% and 13%) and Pakistan's (40% and 5%). By the same international standards, South Korea's 2022 poverty rate is less than 2% and North Korea's 2018 absolute poverty rate is 37%.
Therefore, South Korea, a developed country, and Bangladesh, a fast-growing country, have good conditions for cooperation.
This cooperation has already begun. The presence of 13,000 Bangladeshi students and workers in Korea and the signing of 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Bangladesh are tangible proof of this. (jc, 11/13/2024)
<무용신>이 몬순혁명 대표단을 초청하기로 결정한 것은,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타고르에게 진 역사적인 빚과 몬순혁명을 광주항쟁과 연관시키는 방글라데시인들의 인식 때문이었지만, 그밖에 다른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국토 면적(15만Km²)은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22만Km²)보다는 작지만, 남한(10만Km²)과 북한(12만Km²)보다 큽니다. 방글라데시의 인구(1억8천만명)는 남한(5천1백만명)과 북한(2천6백만명)은 물론, 그 둘을 합친 인구(7천7백만명)보다 두 배 이상 많습니다.
Bangladeshi and Russian population, projections as of the end of the year 2021
방글라데시의 인구는 젊습니다. 2020년 유엔통계에 따르면 15세미만의 인구가 27%, 15-64세가 68%, 65세 이상이 5.2%입니다. 각각 12%, 70%, 18%인 한국에 비해 젊은 인구 구성이죠.
방글라데시는 문맹률이 높다지만, 이는 옛날이야기입니다. 2019년 유엔통계에 따르면 15세 미안의 방글라데시인 문해율이 95%, 15-64세가 75%로, 65세 이상의 39%보다 훨씬 높습니다.
2022년 유네스코 통계에 따르면 방글라데시의 초등학교 진학률은 112%인데, 이는 취학연령이 넘은 사람들이 초등학교에 입학해 글을 배우기 때문입니다. 방글라데시의 중,고등학교 진학률도 72%입니다. 즉, 방글라데시가 세계8위의 인구 대국이며, 노동력이 양질이고 시장이 크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에 대한 외부의 시선은 우호적이지 않았습니다. 특히 1970년대의 방글라데시의 상황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국제사회의 존중을 받기 어려운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권위주의 정부와 쿠데타가 반복되었고, 경제적으로 최빈국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입니다.
1971년 방글라데시가 독립했을 때 당시 미국무차관 우랄 존슨(Ural Johnson, 1908-1997)은 방글라데시를 “국제적 무능력자(international basket case)”라고 불렀습니다. 경제 능력 없는 금치산자라는 말이죠.
그보다 20년 전에 영국 일간지 <타임스(The Times)>는 1951년 10월1일자 기사에서 “한국에서 민주주의가 꽃피기를 기대하는 것은 쓰레기통에서 장미가 피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다”고 비아냥거렸더랬습니다. 그때는 그런 말이 당연하게 들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후 한국은 이승만-박정희-전두환의 독재를 타도했고, 아시아 민주화의 맏형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민은 헌법을 위반하거나 법률을 지키지 않으면 대통령도 탄핵해 버리는 선례를 남긴 나라가 되었습니다. 지금 또 한명의 대통령이 국민의 지탄을 받고 있는데, 그의 운명이 어떻게 될 것인지가 올 겨울에 결정되겠지요.
한편, 서방 세계의 혹평과 비아냥에도 불구하고, 방글라데시의 경제는 지난 20년 동안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방글라데시는 2000년대 들어서 6-7%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국제연합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방글라데시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528달러로, 한국(32,305달러)보다 낮지만 북한(590달러)보다 높고, 주변국 인도(2,445달러)와 파키스탄(1,386달러)은 물론 네팔(1,290달러)과 미얀마(1,204달러)보다도 높습니다.
2022년 방글라데시의 빈곤율은 자국 기준 18.7%로 높은 편이지만, 1971년의 80%, 1991년의 44%에 비하면 크게 개선된 것입니다. 국제 기준으로도 방글라데시의 2022년 빈곤율은 30%, 절대빈곤율은 5%로, 인도(44%, 13%)와 파키스탄(40%, 5%)보다 낮습니다. 같은 국제기준으로 한국의 2022년 빈곤율은 2% 미만, 북한의 2018년 절대빈곤율은 37%로 발표된 바 있습니다.
Upon receiving the email request from Mr. Mustain Billa Zahir, Ms. Lee Go-eun and I considered it in various angles. We researched the Monsoon Revolution reported in the international media for about a month and tried to understand the overall situation in Bangladesh.
Finally, on September 27th, we held an executive committee meeting at the <615 Chorus> tavern, and decided to carry out the Bangladesh campaign as the last project of the year.
This decision was largely driven by the fact that the Monsoon Revolution was a pro-democracy movement that, like the Gwangju Uprising, came at a high cost. Around 650 people were reportedly killed by police fire during anti-government protests, but as investigations continue, the death toll has risen to around 1,500 as of the end of October. In addition, there are more than 30,000 victims of state violence who have been injured severely enough to cause blindness or disability.
The Chun Doo-hwan regime announced that there were 194 victims of the Gwangju Uprising, but no one believes this. The survivors and bereaved families have claimed that there were more than 2,000 victims. While the Gwangju Uprising was not properly investigated for decades, the Monsoon Revolution overthrew the Hasina regime and the investigation could begin immediately.
Mr. Zahir connects Bangladesh's Monsoon Revolution to the Gwangju Uprising in Korea. Since attending the Gwangju 518 Academy in the summer of 2012, he has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Gwangju Uprising, massacre, and subsequent resistance and pro-democracy movements in Korea, which led him to graduate study of Korea's pro-democracy movement at Sungkonghoe University.
In his thesis, he highlighted the critical role of civil society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in Asia, which led him to found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ths and students after returning to Bangladesh.
After receiving his degree, Mr. Zahir participated in a research project for the KDF and visited Gwangju several times, and in 2023, he was appointed as an international democratization ambassador by the KDF. In the Interim Transitional Government formed after the success of the Monsoon Revolution, Mr. Zahir serves as a member of the Constitutional Reform Commission.
Mr. Zahir wanted to learn about how the victims of the Gwangju Uprising were identified and recorded, how the bereaved families were honored, and how those responsible for the firing were punished. Three of the four items Mr. Zahir requested in his initial email were to learn about the experience of the Gwangju Uprising.
He wanted Korean organizations to advise him on (1) how to document the Monsoon Revolution, (2) systematic ways to uncover and hold the state violence that occurred during the revolution and (3) help him establish a memorial to the Monsoon Revolution modeled after the May 18 Memorial Hall.
It was in response to such requests that <KDF>, <Peace Momo>, and <Monsoon Club> invited the Bangladeshi delegation and organized their visit to Gwangju. During their three-day visit to Gwangju, the delegation visited (1) the May 18 National Cemetery, (2) the May 18 Foundation, and (3) May 18 Archives.
The group also met with people of Gwangju and reiterated that the Monsoon Revolution was a pro-democracy movement whose background, course, and outcome were in the same vein and trajectory as the Gwangju Uprising.
While Mr. Zahir often equated the Monsoon Revolution with the Gwangju Uprising, there are differences. While the Gwangju Uprising of 1980 was crushed by the coup forces of Chun Doo-hwan, the Monsoon Revolution of 2024 succeeded in toppling the Hasina regime despite great sacrifices.
In a way, I think the Monsoon Revolution is like the Korean pro-democracy movement from the Gwangju Uprising (1980) to the Candlelight Revolution (2016) all rolled into one.
Bangladesh still faces the threats of the military and remnants of former previous regime. If the interim transitional government can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bring the revolution to a peaceful conclusion, it will be a major milestone in Bangladesh’s democratization.
It is not unreasonable for Bangladeshis to call the Monsoon Revolution their “second independence.” (jc, 2024/11/13)
마침내 9월27일 <615합창단> 일일주점에 참가해 <무용신> 실행위원회의를 열었고, 10명의 실행위원 중에서 6명이 참석한 가운데, 내년의 여러 사업과 함께 올해 마지막 사업으로 방글라데시 캠페인을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결정에는 몬순혁명이 광주518항쟁처럼 큰 희생을 치른 민주화 운동이라는 점이 가장 크게 고려됐습니다. 반정부 시위 중에 약 650명이 경찰의 발포로 사망한 것으로 보도되었으나, 조사가 진행되면서 10월말 현재 약 1천5백명의 사망자가 파악되었습니다. 그뿐 아니라 시력을 상실하거나 지체부자유를 야기할만큼 중상을 입은 국가폭력의 희생자가 3만명을 상회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광주항쟁 희생자가 194명이라고 발표했으나 이를 믿는 사람은 없습니다. 유족들은 희생자가 2천여명에 이른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광주항쟁은 제대로 조사되지 않은 채 수십년의 시간이 흘러버렸지만, 몬순혁명에서는 학살을 자행한 하시나 정권이 무너졌기 때문에 희생자 조사가 바로 시작됐고, 희생자의 실상이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자히르씨는 방글라데시의 몬순혁명을 한국의 광주항쟁에 연결시킵니다. 그는 2012년 여름 광주518아카데미에 참석한 이래 광주항쟁과 대학살, 그리고 이어지는 저항과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후에 성공회대 대학원에서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연구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는 논문에서 아시아 민주화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는데, 이 때문에 방글라데시로 귀국한 후 청년 학생들의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창시하게 됐습니다.
학위를 받은 후 자히르씨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해 여러 차례 광주를 방문했고, 2023년에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의해 국제 민주화 홍보대사로 임명되었습니다. 몬순혁명의 성공으로 구성된 임시과도정부에서 자히르씨는 헌법개혁위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자히르씨는 광주항쟁의 희생자들이 어떻게 파악되고 기록되었는지, 유가족이 어떤 예우를 받았는지, 발포 책임자들이 어떻게 처벌되었는지에 대한 자문을 얻고 싶어했습니다. 자히르씨가 첫 이메일에서 요청한 4개 항목 중에서 3개항이 광주항쟁의 경험을 배우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는 한국 단체들에게 (1) 몬순혁명을 기록하는 방법과 (2) 혁명 중에 발생한 국가 폭력의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묻는 체계적인 방법에 대해 자문해 주기를 원했고, (3) 518기념관을 모델로 몬순혁명 민주화투쟁 기념관을 설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도록 요청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피스모모>와 <몬순클럽>이 방문단의 광주 일정을 마련한 것도 이 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몬순혁명 방문단은 2박3일의 광주 일정을 통해 518국립묘지를 찾아 참배했고, 518재단을 방문해 간담회를 가졌고, 518기록관을 방문해 광주항쟁이 어떻게 기록되었는지, 그리고 그같은 기록을 남기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조사했습니다.
방문단은 또 광주시민들과 만나 간담회를 열었고, 몬순혁명의 배경과 경과와 결과가 광주항쟁의 그것과 맥락과 궤적를 같이하는 민주화 운동임을 거듭 밝혔습니다.
자히르씨가 몬순혁명을 광주항쟁과 동일시하곤 했지만, 차이점도 있습니다. 1980년의 광주항쟁은 전두환 쿠데타 세력에 의해 진압됐지만, 2024년의 몬순혁명은 큰 희생에도 불구하고 하시나 정권을 무너뜨리는데 성공했습니다. 말하자면, 몬순혁명은 광주혁명(1980)에서 촛불혁명(2016)에 이르는 한국 민주화운동을 한데 합친 것과 같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방글라데시에는 아직 군부와 전정권의 잔존세력의 위협이 남아 있습니다. 임시과도정부가 이같은 난관을 극복하고 혁명을 평화적으로 안착시킨다면, 이는 방글라데시 민주화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방글라데시인들이 몬순혁명을 “제2의 독립”이라고 부르는 것도 무리가 아닙니다. (jc, 2024/11/13)
Ms. Lee, Go-eun, the representative of the new <Monsoon Club>, was a graduate school classmate of Mr. Mustain Billa Zahir. While Mr. Zahir was study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Ms. Lee, Go-eun studied the social movement in Bangladesh during their graduate studies in the Department of Sociology at Sungkonghoe University,
She visited Bangladesh twice for her thesis, and thanks to Mr. Zahir’s introduction. she made many friends in Dhaka. She had a good impression of the Bangladeshi friends she met in Dhaka.
“It is true that the overall social situation is backward, similar to 1970s in Korea, but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are progressing rapidly, and the happiness of the citizens seems to be high. I was surprised to see that young people, especially those with university education, are well cultured and enjoy literature and art closely.”
I myself had a similar impression when I read the English email from Mr. Zahir. The words were elegant and the sentences were sophisticated. It was hard to believe that it was a business email asking for help. Mr. Zahir was a literature student in in college and wrote a lot of poetry in his youth.
When I met him in Seoul, I expressed my appreciation for Tagore's message to the Koreans a century ago. Mr. Zahir didn't know it, but he said that Tagore was definitely a favorite poet of Bangladeshis.
In addition, Mr. Zahir told us that Bangladesh has another national poet, Kazi Nazrul Islam (1899-1976). While Tagore is widely recognized for his Nobel Prize in Literature, Bangladeshis are more fond of Nazrul’s poeums and songs.
Nazrul is called the “Rebel Poet,” because his most famous work is “The Rebel (বিদ্রোহী”, Vidrohi). In fact, he was a favorite poet of Bangladesh's independence fighters in 1971 and by anti-government protesters in 2013 and 2024.
Tagore is to Manhae Han Yong-un (1897-1944) as Rebel Poet Nazrul is to the resistance poet Lee Yuk-sa (1904-1944). Just as Koreans like “The Silence of my Love” but love “Climax” and “Green Grapes” more, Bangladeshis like “Gitanjali” but love “The Rebel” even more.
Shortly after the successful Monsoon Revolution toppled the authoritarian dictatorship, The Daily Star, an English-language newspaper published in Dhaka, ran an article in its August 27, 2024 edition, honoring Kazi Nazrul Islam.
The article said, “Kazi Nazrul Islam, the national poet of Bangladesh, is celebrated for his fierce spirit of rebellion and the profound depth of love and humanity in his music.”It added that “August 27 marks the 48th death anniversary of Kazi Nazrul Islam, a day of reflection and tribute across the nation" and that two plays will be performed in his honor on the 48th anniversary of Nazrul’s death.
Another Razrul article from the same date explained that “Nazrul wrote nearly 3,000 songs and composed many of them which are known as Nazrul-Geeti or Nazrul Sangeet,” and that “The nation got inspirations from Nazrul's poems and songs during the great Liberation War in 1971 and all other democratic movements and struggles.”
Nazrul is a poet who is respected not only in Bangladesh, but also in India and Pakistan. I was very impressed that the society and culture of Bangladeshi have been spiritually uplifted and guided by poets like Tagore and Razrul. (jc, 11/12/2024)
<몬순클럽>의 대표 이고은 선생은 무스타인 빌라 자히르씨와 대학원 동창입니다.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자히르씨가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연구하는 동안, 이고은 선생은 방글라데시의 사회운동을 연구했습니다.
이고은 선생은 논문 작성을 위한 방글라데시를 두 번 방문했습니다. 자히르씨의 소개로 다카에서 많은 친구들을 사귈 수 있었다고 합니다. 다카에서 만난 방글라데시 친구들에 대해 이고은씨는 좋은 인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전반적인 사회상황이 한국의 70년대 정도로 낙후된 것은 사실이지만, 산업화와 민주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시민들이 느끼는 행복도는 높은 것 같았습니다. 특히 대학교육을 받은 젊은이들은 교양 수준이 높고, 문학과 예술을 가깝게 향유하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이고은씨가 자히르에게서 받은 영문 이메일을 읽으면서도 비슷한 느낌이었습니다. 사용한 단어들이 우아했고 문장도 세련되었기 때문입니다. 도움을 요청하는 사무적인 메일이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였지요. 자히르씨는 대학시절 문학도였고 젊은 시절 시작을 많이 했다고 합니다.
서울에서 자히르씨를 만났을 때 95년 전 타고르가 조선인들에게 전한 메시지에 대해 감사인사를 전했습니다. 자히르씨는 그 사실을 몰랐지만 타고르가 방글라데시 사람들이 좋아하는 시인임에는 틀림없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자히르씨는 방글라데시에는 국민 시인이 또 한 사람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카지 나즈룰 이슬람(Kazi Nazrul Islam, 1899-1976)입니다. 타고르가 노벨문학상을 받아 널리 알려진 것은 사실이지만, 방글라데시인들은 라즈룰의 시와 노래를 더욱 애송한다고 합니다.
나즈룰은 흔히 “반역자 시인(Rebel Poet)"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그의 대표작이 ”반역자(The Rebel, "বিদ্রোহী", 비드로히)“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그는 1971년 방글라데시의 독립투사들과 2013년과 2024년 반정부 시위대에 의해 애송되는 시인이었다고 합니다.
타고르가 한국의 만해 한용운(韓龍雲, 1897-1944)이라면 나즈룰은 저항 시인 이육사(李陸史, 1904-1944)인 셈입니다. 한국인들이 “님의 침묵”을 좋아하면서도 “절정”과 “광야”와 “청포도”를 애송하듯이, 방글라데시인들도 “기탄잘리”를 좋아하면서도 “반역자”를 더욱 애송한다는 것이지요.
방글라데시에서 몬순혁명이 성공해 권위주의적 독재체제를 무너뜨리고 난 직후, 다카에서 발행되는 영자지 <데일리 스타(The Daily Star)>는 2024년 8월27일자 신문에 카지 나즈룰 이슬람을 기리는 기사를 냈습니다.
On August 26, 2024, Ms. Lee Go-eun, the representative of the Monsoon Club, received an email from Bangladesh. It was an email from Mustain Billah Zahir, a civic activist in Dhaka.
Mr. Zahir asked for help from Korean citizens while informing them of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Monsoon Revolution. (The original and translated versions of his email are included in “7. Letters from Dhaka (ঢাকা)” in this series.)
Mr. Zahir was scheduled to visit Korea at the invitation of the Korea Democracy Foundation(KDF) to participate in the global forum, but he requested that additional student representatives of the Monsoon Revolution be invited to Korea.
The student representatives' missions are to inform Korean citizens of the Monsoon Revolution and learn about Korea’s experience in investigating and recording of Kwangju Uprising in 1980.
When Ms. Lee Go-eun told me about Mr. Zahir’s request, I immediately thought of the poet Rabindranath Tagore (রবীন্দ্রনাথ ঠাকুর, 1861-1941). He is known as an Indian, but he is also a Bangladeshi. Tagore’s hometown is Kolkata on the Bay of Bengal, and most of his poetry was written in Bengali.
Tagor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angladesh’s independence. When Bangladesh was part of Pakistan, the Pakistani government suppressed the Bengali language and prohibited the broadcasting of Tagore's poems in the state-run media. The backlash against this policy led to the war of independence, and Bangladesh gained independence in 1971. This means that Tagore's poems were an important source of nourishment for the Bangladeshi spirit.
Koreans are also grateful to Tagore. When Tagore visited Japan in 1929, feeling sorry for not being able to visit Korea, he wrote a six-line English message to Korean people. This message was translated into a four-line poem and published in the Dong-A Ilbo on April 2, 1929, and the original English message in Tagore's handwriting was also published in the newspaper the next day (4/3).
In the golden age of Asia,
Korea was one of its lamp-bearers,
and that lamp is waiting
to be lighted once again,
for the illumination
in the East.- Rabindranath Tagore (28th March, 1929)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but Korea’s independence was far away and the frustration of the Korean people deepened. At that time, the message from Tagore, the first Asian to win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as a great comfort to the Korean people and unprecedented encouragement for independence.
As Tagore predicted,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Korea once again lit its lamp and became a bright light in the East. It is even said that Bangladeshis regard Korea as an example of achieving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growth.
Mr. Zahir, a talented activist who majored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during his graduate study at Sungkonghoe University in Korea, said that "Monsoon Revolution in Bangladesh has a lot of similarities with the events and spirit of May 18 uprising. And, it was a great inspiration for the people like me."
Thinking of Tagore, who sang hope for the Korean people during their darkest times, Ms. Lee, Go-eun and I decided to accept the request of Mr. Zahir. We thought it was an opportunity to repay the historical favor Korean people owed Tagore a century ago.
This is why and how the first Bangladesh campaign of <Monsoon Club> began. (jc, 2024/11/12)
2024년 8월26일 <몬순클럽> 이고은 대표는 방글라데시로부터 이메일을 한 통 받았습니다. 다카의 시민활동가 무스타인 자히르(Mustain Zahir)씨가 보낸 이메일이었습니다.
자히르씨는 몬순혁명의 경과와 결과를 알리면서, 한국 시민들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그의 이메일은 이 시리즈의 “7. 다카(ঢাকা)에서 온 편지”에 원문과 번역문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자히르씨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KDF)>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 글로발 포럼에 참여하게 되어 있었지만, 별도로 몬순혁명의 학생 대표를 한국에 초청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학생 대표들이 몬순혁명을 한국 시민들에게 알리고, 혁명 과정에서 사망한 희생자들의 조사와 기록, 유가족 예우, 책임자 처벌 등에 대한 한국의 경험을 배우게 해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이고은 선생이 내게 자히르씨의 요청을 알려주었을 때,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রবীন্দ্রনাথ ঠাকুর,1861-1941)가 생각났습니다. 그는 인도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방글라데시 사람이기도 합니다. 타고르의 고향이 벵골만의 콜카타이고, 그의 시는 대부분 벵갈어로 쓰였습니다.
타고르는 방글라데시의 독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의 일부이던 시기, 파키스탄 정부가 벵갈어 탄압으로 타고르의 작품을 국영언론에서 방송하지 못하도록 금지하자, 이에 대한 반발이 독립전쟁으로 이어졌고, 방글라데시는 1971년 독립했습니다. 그만큼 타고르의 시가들이 방글라데시 시민들의 정신세계에 중요한 자양분이 되고 있었다는 뜻이겠습니다.
그런데 타고르는 한국인에게도 고마운 시인입니다. 1929년 일본을 방문한 타고르는 조선 방문 요청을 수락하지 못한 것을 미안하게 여기면서, 6행의 영문 메시지를 써 주었습니다. 이 메시지는 4행시로 번역되어 1929년 4월2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되었고, 다음날(4/3) 신문에는 타고르의 필체로 메시지의 원문도 실렸습니다.
일찍이 아세아의 황금시기에
빛나던 등촉의 하나인 조선
그 등불 한 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삼일만세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지만, 조선의 독립은 요원했고 조선인의 좌절은 깊어갔습니다. 이때 아시아인으로서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타고르가 보낸 메시지는 조선민중에게 큰 위안이 되었고, 저항과 독립을 위한 용기를 북돋아주었습니다.
타고르의 예언대로 해방 후 한국은 다시 한 번 등불을 켰고, 동방의 밝은 빛이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특히 방글라데시의 민중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경제성장을 선망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합니다.
자히르씨는 한국의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전공한 재원으로, 그는 “방글라데시의 몬순혁명은 사건의 전개와 그 정신에 있어서 광주의 518항쟁과 유사성이 많으며, 그 정신이 나같은 방글라데시 사람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고 전했습니다.
조선이 가장 암울하던 시기에 조선인들을 위해 희망을 노래해 주었던 타고르를 생각하면서, 이고은 선생과 저는 방글라데시 젊은이들의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한 세기 전에 타고르에게 진 민족의 역사적 은혜를 갚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몬순클럽>의 첫 번째 방글라데시 캠페인은 이렇게 결정됐습니다. (jc, 2024/11/12)
아래는 이 포럼에 참석했던 몬순혁명 학생대표 사미아 악타르씨가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번역문과 원문을 전해 드립니다. (jc, 2024/11/10)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KDF) 글로벌 포럼 보고서 by 사미아 악타르
오늘 포럼의 주제는 “아시아 민주주의의 강화: 연대의 비전”입니다. 세계 민주주의 증진을 위한 국제 협력을 이루고,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고 있는 나라들에게 연대를 표시하는 것이 주요 의제였습니다.
연구자, 활동가, 젊은 리더 등의 여덟 명의 연사가 패널에 참가했습니다. 이들은 아시아 각국의 정치 상황, 민주화 과정에서 직면한 난관, 그런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 그리고 민주주의 증진을 위해 국제 협력이 점점 더 필요하다는 점 등을 토론했습니다.
포럼에서는 민주주의 강화를 위해 포괄적인 파트너십, 시민 민주주의 교육을 위한 제도적 플랫폼,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 등이 권고되었습니다. 민주주의에 대한 책과 출판물을 제공하고 민주주의 교육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의 시민 교육이 특히 중요하다고 강조되었습니다.
민주주의와 기후 문제의 관계도 여러 시각에서 논의되었고,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생기는 부작용도 지적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모든 민주화 운동에서는 청년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따라서 청년 활동가들이 정당에 참여해 그들의 아이디어를 내고 그들의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민주화 과정에 꼭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조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민주화 경험이 자주 토론에 등장했는데, 이는 민주화 과정 중에 있는 여러 나라들에게 중요한 교훈입니다. 대한민국의 경제적 번영의 원동력은 민주주의였다는 점, 그리고 민주화 운동의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한국이 취한 주도적인 노력들이 중요했다고 강조되었습니다.
오늘 포럼의 결론은 민주주의가 고정된 최종 상태가 아니라, 민주주의를 향해 끊임없이 지속되어야 할 운동의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민주화를 위해 국경을 넘어 함께 노력할 국제 공동체를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강조는 역자)
==========================
(사미아 악타르씨의 포럼 보고서 원문)
Report on KDF's Forum Session by Samia Aktar
Today’s forum was on “Empowering Asian Democracy :A Vision of Unity.” The agenda of the forum were crea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promoting democracy worldwide and expressing solidarity with the countries struggling for democracy.
This forum was organized through an important discussion by a panel of 8 speakers. Researchers, activists, young leaders have participated in the panel discussion. The topics discussed included the current governance situations of various Asian countries, the challenges they are facing in democratic processes, solutions for overcoming those challenges, and the need of increas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promoting democracy.
"The recommendations to empower democracy that were highlighted in the discussion include inclusive partnerships, institutional platforms like civic education on democracy,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cooperation.
To empower democracy special emphasis has been given on civic education through providing free books, publications, organizing educational seminar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limate has been discussed from a very dimensional perspective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its side effects has also been pointed out in the discussion.
In all democratic movements throughout history, the youth have played a key role.In democratization process, inclusion of young activists in the party framework to unfolds their idea and to utilize their experience has been felt necessary.
The experience of South Korea towards democratization has been shared in the discussion that would be a great learning for other countries struggling for democracy. "Democracy is considered to be the key behind South Korea's economic prosperity, and various initiatives taken by Korea to maintain the spirit of the democratic movement were highlighted.
The conclusion of today’s forum is democracy is not the ultimate thing, rather democracy is a movement itself to be continued for democracy .So,we need to work together to make an international community across border for democratization. (*)
<몬순클럽(대표 이고은)>이 한국에 초청한 또 한명의 학생대표는 사미아 악타르(Samia Akther)씨입니다.
사미아씨는 다카대학 법과대학원에 재학 중, 지난 7-8월의 몬순혁명에 참가했고 반정부 시위의 조직리더(coordinator)로 활동했습니다. 조직리더이란 시위를 기획하고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시위대를 지휘하는 역할입니다.
사미아씨가 사전에 보내온 영상 및 서면 자료에 따르면 방글라데시의 몬순혁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전 과정은 사미아씨가 시위조직 리더로서 주도했거나 직접 목격한 것이라고 합니다.
공무원 할당제
7월14일 하시나 전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시위대를 “라자카르(Razakar, রাজাকার)"라고 모욕했습니다. 당시 하시나의 발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자유투사(freedom fighters)의 자손들이 공무원 할당 혜택을 받지 못한다면, 그 혜택이 라자카르의 자손들에게 가지 않겠는가?“
1971년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의 압제와 차별대우에 저항해 독립전쟁을 일으켰을 때, 독립투사의 투쟁을 방해한 민병대가 ‘라자카르’였습니다.
예수를 배신한 가룟유다, 일제강점기 일제에 빌붙어 조선인들의 독립운동을 방해하던 간도특설대 같은 존재라는 말입니다.
1971년 독립직후 방글라데시 정부는 공직 할당제를 도입했습니다. 독립을 위해 싸운 자유투사들에게 30%, 독립전쟁 중에 강간당한 여성들에게 10%, 저개발지역 출신자에게 40%의 공직을 할당했습니다. 최초의 공직할당제로 80%의 공직이 특정 계층에 할당되었고, 20%만이 공개 채용에 할당되었습니다. 1972년에 시작된 이 공무원 할당 제도는 이후 46년간 지속되면서 자유투사들의 자녀들까지 그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에 공무원 할당제가 차별적 제도라는 주장이 대두되어 개혁운동이 일어났고, 2018년 방글라데시 대법원은 공무원 할당제가 위헌이라는 이유로 이를 크게 폐지했습니다.
하시나 정권은 2022년 공무원 할당제의 재도입을 위해 소송을 제기하게 했고, 2024년 6월5일 대법원이 공무원 할당제가 합헌이라면서 하시나 정권의 손을 들어주자, 이후 방글라데시 공무원 일자리의 30%를 다시 자유투사들의 손자들에게 할당한 것입니다.
여성과 소수민족, 장애자 등의 소수계층에 할당된 공직을 합치면 56%의 공무원 일자리를 제외한 44%의 공무원 일자리가 일반인들에게 할당되기에 이른 것입니다.
내가 ‘라자카르’다.
문제는 최근 방글라데시의 청년 실업률이 15%를 넘어섰다는 점입니다. 이는 전체 실업률보다 3배나 높습니다.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대학졸업자 중에서 20%가 2년 이내에 취업하지 못합니다. 공무원 일자리마저 절반 이상이 할당제로 돌려진다면, 취업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할당제 이전의 방글라데시 공무원 취업 경쟁률은 100대1이 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공무원 할당제가 재개된다면 공무원 취업 경쟁률은 2배로 증가해 200대1에 근접하게 됩니다.
이에 대학생들은 공무원 할당제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발표된 2024년 6월5일부터 공무원 할당제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를 시작했고, 하시나 정부는 이를 탄압했습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하시나 총리가 7월14일의 기자회견에서 시위대를 “배신자들”이라고 몰아붙인 것이지요.
이날 전국의 대학생들은 하시나의 모욕적 발언에 분개했고, 본격적으로 시위를 조직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미아씨도 다카대학교 여학생 기숙사 학생들의 야간 시위를 주도했습니다. 당시 학생들의 구호는 ”내가 라자카르다.(আমি রাজাকার)“였습니다.
다카대학교 여학생들의 시위 영상을 보면, 선창자가 ”너는 누구냐, 나는 누구냐?“고 물으면, 시위대가 소리 높여 ”라자카르, 라자카르“하고 외치면서 행진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তুমি কে? আমি কে? (Tumi Ke? Ami Ke? = 'Who are you? Who am I?)
রাজাকার, রাজাকার। (Razakar, Razakar.)
그런데 이 구호는 1971는 파키스탄과 그 앞잡이 라자카르에 대항해 독립투사들이 외치던 구호를 변형한 것입니다. 당시의 구호는 이와 같았습니다.
তুমি কে? আমি কে? (Tumi Ke? Ami Ke? = 'Who are you? Who am I?) বাঙালি, বাঙালি (Bengali, Bengali!)
흥미로운 사실은 ‘라자카르’라는 말은 아랍어 ‘레다카렌(رضا کار)’에서 유래한 말로 “자원봉사자(volunteer)"라는 뜻입니다. 하시나는 시위대를 가리켜 ”배신자들“이라고 매도했지만, 시위대는 이에 맞서 ”그래, 내가 자원봉사자다“라고 맞받아친 것입니다.
더 나아가 시위대는, 방글라데시 독립 반세기가 경과한 지금, 하시나 정권이 파키스탄의 독재체제나 다름없으며, 자신들이 방글라데시의 새로운 자유투사라고 주장한 셈입니다.
하시나 정권의 탄압
7월14일 밤 다카대학 여학생들의 격렬한 시위를 계기로, 이튿날부터 정부는 군경과 여당지지자들을 투입해 대학생들을 탄압하기 시작했습니다.
7월15일 다카대학교 캠퍼스에서 평화적 시위가 개최되었을 때, 하시나 지지자들이 몽둥이와 하키스틱으로 휘두르며 시위대를 습격했고, 군경은 총을 발사했습니다.
여학생들의 시위에 폭력을 휘두른 것은 방글라데시 역사에서 전례가 없는 일이라고 합니다. 여학생들이 부상자를 인근 다카대학병원으로 옮기자, 여당지지자들은 병원 안으로까지 침입해 테러를 가했습니다.
7월16일 반정부 시위대 중에서 첫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베굼 로케야(Begum Rokeya) 대학교 학생 아부 사이드(Abu Sayed)가 진압 경찰의 총격에 맞아 사망한 것입니다.
이날 시위에서는 아부 사이드를 포함 6명의 학생들이 사망했고, 수백 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사망자가 발생하자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됐습니다. 여당지지자들이 학생들을 대학교 기숙사에 감금하고 린치를 가하거나 고문을 자행했지만, 사미아가 조직한 여학생 시위대는 다카대학교 기숙사 정문에서 시위를 계속했습니다.
7월17일 아부 사이드의 장례식과 기도회가 다카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렸습니다. 장례식이 끝난 후 4시30분경부터 학생들은 관을 운구하면서 캠퍼스를 행진했고, 경찰은 장례 행진에 소음수류탄과 최루탄을 난사했습니다.
이날 다카대학교에 무기한 휴교령이 내려졌고, 모든 학생들은 기숙사에서 나가라는 지시가 내려왔습니다. 휴교령과 기숙사 퇴거명령이 진행되는 가운데서도 경찰은 소음수류탄을 투척했습니다. 학생들은 강압적으로 기숙사를 떠나야했습니다.
인터넷 폐쇄와 전국적 통금조치
7월19일부터 하시나 정권은 전국의 인터넷을 폐쇄하고 통금을 실시했고, 그와 함께 군대를 배치하기 시작했습니다. 군대는 무작위로 학생들을 연행했고, 경찰과 기타 정부요원들도 시위대를 체포했습니다.
다카시 경찰국(Dhaka Metro Police)은 7월17-18일 이틀 동안 1,117명을 체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경찰의 체포와 연행으로 시위대 조직리더 6명이 구금되었고, 경찰은 이 6명의 학생들을 협박해 모든 시위를 중단하라는 성명서를 낭독하게 했습니다.
인터넷 폐쇄로 발생한 통신 부재의 상태에서 하시나 정권은 (1) 대량 학살, (2) 과도한 폭력, (3) 잔인한 공격, (4) 구금과 고문, (5) 살상, (6) 정보 억압 등의 만행을 자행했습니다.
이같은 조치들은 방글라데시가 민주국가인지 의심하게 만들었습니다. 강제실종, 사법외 살인, 무작위 체포, 폭력행사 등이 수시로 하시나 정권에 의해 자행되었지만, 7월의 반정부 시위대에 가해진 하시나 정권의 반민주적 탄압은 극에 달했습니다.
정권 퇴진운동의 시작
이때부터 “공무원 할당제 개혁요구” 시위는 “하시나 정권 타도 운동”으로 확대됐습니다.
하시나 정권의 (1) 국민의 투표권 박탈, (2) 표현의 자유 박탈, (3) 언론 탄압, (4) 야당 탄압, (5) 부정부패, (6) 돈세탁, (7) 학생 테러조직 운영 등이 집중적으로 비판되기 시작했습니다.
공무원 할당제 개혁 요구가 하시나 정권 타도 운동으로 번지면서, 학생들이 주도했던 반정부 시위에 일반 시민들이 대거 참여했습니다.
이같은 학생-시민의 시위로 결국 권위주의적 정권을 무너뜨리기에 이르렀는데, 이는 지난 15년 동안 억눌렸던 분노가 폭발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시위는 날로 증폭되었고, 하시나 정권은 군대와 경찰에게 즉각사격(shoot at sight)의 발포명령을 내렸습니다. 총격 사망자 수는 650(공식)-1,000명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학생과 시민의 희생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자, 군대와 경찰은 하시나의 발포명령을 더 이상 따르지 않기로 결정하고 통보했습니다.
8월5일, 시위를 저지할 방편이 없어진 하시나는, 학생들과 시민들의 시위대가 총리공관으로 행진해 들어오는 가운데, 급히 사임하고 헬기와 항공기를 이용해 인도로 망명했습니다. 이로써 15년간 계속된 하시나 정권의 독재적, 권위주의적 통치가 막을 내렸습니다.
과도기의 정의
8월7일, 몬순혁명의 학생 대표들은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무함마드 유누스를 임시과도정부의 수반으로 추천했고,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하시나 정권의 탄압으로 방글라데시를 떠나 파리에 체재 중이던 유누스는 이를 수락했습니다.
임시과도정부는 성공한 혁명을 안착시키고 방글라데시를 민주사회로 이행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6개 부문의 개혁을 시작했습니다.
(1) 진실 발굴: 인권위반 행위를 조사하고, 피해자들의 현황을 파악하며, 정부기관에 의해 살상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2) 형사 기소: 모든 형태의 범죄를 자행한 하시나 정부의 책임자들과 공범들을 기소해 재판에 회부한다.
(3) 보상 회복: 피해자들에게 국가의 사과를 전달하고, 금전적 보상과 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공동체를 재건하기 위한 사회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4) 제도 개혁: 경찰, 군대, 사법제도 등이 인권을 유린하고 형사사법 원칙을 위반하지 못하도록 제도와 기관들을 개혁한다.
(5) 국민 참여: 피해자와 시민사회, 그리고 피해를 입은 공동체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이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제도와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6) 문화 책임: 인권에 대한 책임과 존중을 증진시키는 사회 규범을 진작하여, 장기적인 평화와 안정에 기여한다.
국제사회의 협력 요청
사미아씨는 자신의 발표문에서 방글라데시가 민주사회로 순로롭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력을 요청했습니다.
(1) 진실 위원회가 그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인권 위반 사례나 사실들을 알려주세요.
(2) 진실 위원회와 법제도 개혁 위원회가 과도기 정의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와 시민사회에 필요한 기술적 지원과 자원을 제공해 주세요.
(4) 반인권 범죄를 저지른 범죄자들을 국제재판소나 국내재판소로 기소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시고, 향후 유사한 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후원해 주세요.
(5) 국제적 인권 규범에 부합하는 과도기 정의의 원칙을 유지하고, 다른 나라들도 유사한 기준을 채택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세요.
방글라데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
한편, 방글라데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매우 모순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지난 35년 동안 방글라데시의 국가수반은 여성이었습니다. 칼레다 지아(1991-1996, 2001-2009)와 셰이크 하시나(1996-2001, 2009-2024)가 그들입니다. 여성 총리의 리더십 아래 모든 정부기관은 33%이상의 여성 지도자들을 임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 대학생들에 의해 시작된 이번 몬순혁명에서도 여학생들의 참여율이 높았고, 반정부 시위를 주도한 사미아와 같은 여성들의 활동도 돋보였습니다. 하지만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방글라데시 여성의 초중등학교 취학률은 대략 51%로 남성보다 비슷하거나 더 높지만, 대학과 대학원 등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남성의 절반에 불과합니다. 2023년 42개 공립대학 여학생 비율은 37%, 103개 사립대학 여학생 비율은 28%에 머물고 있습니다.
방글라데시 여성의 아동 결혼률이 매우 높습니다. 2020년 통계에 따르면, 18세 이전에 결혼하는 여성이 51%, 이중 15세 이전에 결혼한 여성은 15%에 달합니다. 그나마 이는 1970년의 93%와 77%에 비하면 많이 낮아진 수치입니다.
2023년 여성의 취업률(37%)은 남성(80%)의 절반 이하이며, 노동인구 중 여성의 실업률(5.9%)은 남성(2.8%)에 비해 두 배나 높습니다.
즉 방글라데시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고등교육과 취업의 기회를 절반밖에 갖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가정생활과 저임금취업에 묶여 있다는 뜻입니다.
또 대학교의 여학생들은 재학 중 학업이나 생활에서 불이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특히 캠퍼스에서 교수나 남학생들에게 성희롱이나 추행을 당하는 경우가 많으며, 심지어 기숙사에서의 강간사건도 빈번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여성의 불이익은 점차 개선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방글라데시의 여성의 지위는 아직도 세계 최하 10개국으로 분류될 정도입니다.
다만, 몬순혁명과 함께 방글라데시가 민주사회로 빠르게 이행한다면, 가정, 교육과 취업 등의 사회생활에서의 남녀의 격차도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이들은 지난 10월30일 한국 입국비자를 발급받았고, 11월4일 한국에 도착, 11월11일까지 서울과 광주 등을 방문해서, 몬순혁명의 배경과 경과를 설명하고, 혁명의 기록과 희생자 예우를 위한 자문을 구하게 됩니다.
모스피쿠르 라흐만 조한씨는 사립 브라크 대학에서 인류학을 전공했고 다큐멘터리 사진작가로 활동 중입니다.
그는 사진전과 SNS포스팅을 통해 방글라데시의 강제실종, 사법외 살인, 강제구금, 경찰의 잔혹행위 등을 기록하고 고발해 왔습니다.
하시나 정권 하의 강제실종
이번 방한을 통해 모스피쿠르씨는 방글라데시 전역에서 벌어진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의 실태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강제실종(enforced disappearance)이란 민간인이 법원의 영장 발부 없이 경찰과 정보기관, 군과 준군사조직 등에 의해 체포, 구금되는 것을 가리킵니다.
사법외 살인(extrajucial killing)이란 적법한 사법절차에 의하지 않은 정부의 민간인 살해행위를 가리킵니다.
민간인을 체포하거나 살해하면서도 기록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가족들조차 강제실종자들의 생사를 알 수 없고, 구금된 장소도 알 수 없습니다.
주로 야당 지도자들과 반정부 활동가들이 강제 실종되기 때문에, 고문과 잔혹행위가 자행되는 경우가 많고, 고문 중에 사망하더라도 사체가 암매장되거나 유기되기 때문에 가족들에게 전해지지 않습니다.
강제실종은 1930년대 나치 독일 치하에서 빈번하게 자행되었고, 1960년대에는 중남미의 군사정부들이 공포 정치의 수단으로 채택하곤 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인권단체인 오디카르(odhikar.org)에 따르면 하시나가 집권한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방글라데시의 강제실종자는 708명입니다.
이는 강제실종자 피해자연합회를 통해 파악된 숫자이기 때문에, 실제 강제실종자와 강제실종 중의 사망자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추측되었습니다.
그러나 하시나 정부는 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강제실종 관행의 존재 자체를 부정해 왔습니다.
방글라데시의 경찰 기록은 일반기록(GD)와 중범죄기록(FIR)으로 나뉘지만, 가족들이 강제실종을 신고하더라도 경찰은 실종의 불법유무를 판단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 두 기록에 등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나중에는 기록이 없다는 이유로 가족들의 조사 요구를 묵살한 것이지요.
나아가 하시나 정부는 피해자 가족들을 통해 강제실종을 조사하고 기록해 온 인권단체 오디카르를 탄압했습니다.
2018년 오디카르의 선거참관 자격을 박탈했고, 2022년에는 국가 위신을 실추시켰다는 이유로 시민단체 자격을 박탈했습니다. 2023년에는 정부의 인권위반 상황을 출판했다는 이유로 오디카르의 대표와 사무총장에게 2년 징역형을 부과했습니다.
UN과 인권감시(Human Rights Watch), 국제앰네스티 등의 국제기구들은 하시나 정권에게 이같은 인권유린 행위를 중지하도록 반복적으로 경고했지만, 아무 변화가 없었습니다.
하시나 정권의 공포정치와 신속대응부대(RAB)
방글라데시의 강제실종은 주로 신속대응부대(RAB, Rapid Action Battalion)라는 군사조직이 자행했습니다.
역설적인 사실은 RAB가 원래 하시나의 아와미리그(AL)가 야당이던 시절인 2004년 당시 총리 칼레다 지아가 이끄는 방글라데시 민족주의자 정당(BNP) 집권 하에서 조직되었다는 점입니다.
범죄와 테러에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명분 아래 활동을 시작한 RAB의 요원들은 방글라데시 육해공군과 경찰, 국경수비대와 최대 준군사조직인 안사르(Ansar)에서 차출된 군인들로 충원됩니다.
이들은 명령받은 임무수행 중의 행위에 대해 면책특권을 부여받고 있었기 때문에, 사법외 살인과 강제실종의 소지가 있었습니다.
당시 야당이던 아와미 리그(AL)와 하시나 당수는 RAB가 “헌법조항과 인권법과 사법절차를 공공연하게 무시하는 조직”이라고 비판하면서 그 해체를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2009년 아와미 리그가 집권하고 하시나가 총리에 취임하면서 RAB는 해체되기는커녕 오히려 조직이 증설되고 활동이 강화됐습니다. 2005년 5,500명이던 BAT요원들이 2021년 15개 부대에 편성된 15,000명으로 증가했습니다.
미국과 영국의 RAB 지원과 제재
2010년 영국과 미국 정부가 방글라데시의 RAB의 훈련에 관련되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고, 따라서 서방 국가들도 방글라데시의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2021년 12월21일 <아틀란틱 협의회(Atlantic Council)>에 발표된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석좌교수 알리 리아스(Ali Riaz)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RAB 창설 직후인 2005년부터 이 단체가 사법외 살인과 강제실종에 관련된 것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2005년 6월5일 미국의 맥컬프 자문위원은 2004년 출범한 RAB의 초대 부대장 초두리 파즐룰 바리(Chowdhury Fazlul Bari) 중령으로부터 “크로스파이어(=사법외 살인을 가리킴)는 단기적인 필수 방편”이라는 발언을 듣고도 묵인했다고 한 것입니다.
리아스 교수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2009년에도 RAB에 인권 교육 훈련을 제공했고, 영국 정부도 2008-2011년 RAB에 “심문 기술”과 “교전 수칙” 훈련을 제공했습니다.
이는 미국과 영국 정부가 RAB의 수사와 심문이 인권을 침해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훈련을 제공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리아스 교수는 또 2009년 제임스 모리아티 미국대사가 RAB는 “방글라데시의 테러진압을 위한 최고의 수단”이라고 말하고서 “앞으로 RAB는 미국의 FBI와 같은 기관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던 사실도 지적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RAB가 효과적인 수사기관이 될 것을 기대하면서, RAB의 인권침해 활동을 묵인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국 정부는 또 2019년 RAB 간부들을 미국으로 초청해이 “지역 기반 SNS 감시체계 소프트웨어” 사용법 교육을 받도록 했는데, 이는 하시나 정권의 RAB가 반정부 활동가나 야당 지도자들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에 활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국과 영국 정부의 RAB 지원 사실이 마침내 양국 의회에 알려져 제재 요구가 제기됐습니다. 2020년 10명의 미국 상원의원들이 마이크 폼페이 국무장관과 스티븐 먼친 재무장관에게 방글라데시 RAB 간부들을 제재할 것을 요구했고, 영국 의회에서도 2021년 15명의 전,현직 RAB 간부들을 제재하라는 요구가 제출되었습니다.
이에 미국은 2021년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의 주범으로 지목된 RAB 간부들에 대해 입국금지조치를 내리는 등, 방글라데시 정부에 제재를 가하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RAB의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의 건수는 현저하게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도됐습니다.
미국과 영국 정부가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을 자행한 방글라데시의 RAB를 지원해왔다는 사실에 대한 임시과도정부의 입장이 무엇인지, 이고은씨를 통해 무스타인 빌라 자히르씨에게 질문했으나, 이 글을 포스팅하는 시간까지 대답을 듣지 못했습니다.
아마도 혁명의 수습과 방글라데시 내부 개혁에 집중하고 있는 유누스 과도정부로서는 아직 내정과 외교 문제를 동시에 정리하거나 책임을 물을 단계가 아닌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드러나는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
하시나 정권이 무너지고 임시과도정부에서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 피해조사를 시작하자,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강제실종 구금자보다 살해된 사람이 더 많다는 것입니다. 강제실종의 목표가 구금이 아니라 살해였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다카에서 발행되는 벵갈어 신문 <보니크 바르타(Bonik Barta)>에 따르면, 하시나가 집권한 2009-2023년 사이에 677명이 강제실종으로 구금됐고, 구금 중 사망자 수가 1,048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사법절차를 거치지 않고 정부기관에 의해 살해된 방글라데시의 사법외 살인 희생자가 적어도 2,699명에 달한 것으로 보도됐습니다.
유누스가 이끄는 임시과도정부는 2024년 8월29일 하시나 정권이 지속적으로 회피해 온 강제실종 국제협약에 가입했습니다.
그와함께 전직 판사와 고위직 공무원과 사회활동가로 구성된 강제실종 조사위원회를 발족, 하시나 정권 하에서 자행된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하시나 정권의 인권유린 사례가 확인되기 시작함에 따라 임시과도정부는 2024년 10월17일 전총리 셰이크 하시나와 44명의 전직 고위관료들에게, 이들이 민중 봉기 기간에 자행한 “학살과 살인, 반인권 범죄”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습니다.
모스피쿠르 라흐만 조한씨의 피해자 기록
모스피쿠르씨는 이번 방한 기간 적어도 2차례의 간담회를 통해 하시나 정권 하에서 자행된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의 피해자와 가족들의 실태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그동안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 피해자의 가족들을 취재해 온 모스피쿠르씨는 이번 한국 발표를 위해 85쪽에 달하는 피해자 관련 자료를 보내왔는데, 그 대부분은 강제실종 피해자 가족들의 증언과 이들이 지내온 고통의 순간들이 담겨 있습니다.
모스피쿠르씨가 전한 자료 중에는 강제실종 아카이브가 포함됩니다. 하시나 정권이 강제실종 자체를 부정하고 조사를 거부해온 가운데, 피해자 가족들은 강제실종된 부모, 남편과 아내, 아들과 딸에 대한 가능한 모든 기록을 보관해 왔는데, 이 기록들을 한데 모아 아카이브를 구성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강제실종과 관련된 신문기사와 사진, 영상과 CCTV기록, 가족들의 일기와 메모 등이 포함되어 있어, 향후 조사와 처벌, 피해보상 등을 위한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포정치를 극복한 몬순혁명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은 하시나 정권이 지속적으로 활용한 통치기법임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유엔을 포함한 국제인권단체들이 지속적으로 이를 중지하도록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시나 정권은 이를 계속해 왔습니다.
이는 정치적 반대자들을 납치하고 살해함으로써, 전국민을 공포로 몰아넣는 방법으로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모스피쿠르씨의 발표는 방글라데시 국민들이 경험해 온 공포와 슬픔을 대변합니다.
무스타인 빌라 자히르씨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국제포럼 발표문이 몬순혁명의 경과와 결과를 요약한다면, 모스피쿠르씨의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의 기록은 몬순혁명의 배경을 잘 설명해 줍니다.
공포와 슬픔 속에 사반세기를 살았던 방글라데시의 시민들이 마침내 공포를 극복하고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으로 정권을 유지해온 하시나 정부를 무너뜨린 것입니다.
무스타인 빌라 자히르씨는 그의 포럼 발표문에서 “(순교자) 사예드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sns를 통해 전국으로 퍼져” 나가면서 “하시나가 만든 공포의 장막이 무너졌”다고 선언한 바 있습니다.
그는 또 “사예드가 당긴 불길이 무그도의 순교로 화산처럼 폭발했”고, 이것이 대중을 단결시켜 “불가능해 보였던 것을 가능하게 했다”면서, 그것은 곧 “공포정치를 무너뜨리고 살인적인 몰록(Moloch)으로부터 나라의 영혼은 구하는 일”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모스피쿠르 라흐만 조한씨는 수십년 동안 방글라데시에 이같은 공포가 조성된 것은 강제실종과 사법외 살인에 의존한 하시나 정권의 통치 때문이었다는 점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
그러나, 이 그림엽서의 유래에 대해서는 상세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텔레비전 방영 중에는 근거가 없는 추론도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그림엽서에 대해 이 그림엽서가 작성되기에 이르는 과정과 오키노 이와사부로의 손아귀에 남아 있었던 경위에 대해 관련 자료를 제시하면서 검증한다.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1876년 와카야마현 히다카군(日高郡) 사무카와무라(寒川村)에서 태어났다. 동사무소의 서기나 산림 노동자등을 거쳐, 1890년에 와카야마 사범학교에 입학, 졸업 후에는 초등학교 교원이 되어 사무카와(寒川) 초등학교의 교장을 맡았다. 1901년에 수세하여 크리스천이 되었고, 1904년에 상경해 9월에 메이지 학원 신학부에 입학했다. 메이지 학원 재학중, 동기 입학의 카가와 토요히코(賀川豊彦)등과 러일 전쟁에 반대해 비전론을 주장했다. 1907년 졸업과 동시에 와카야마현의 일본기독교회 신구교회 목사가 되어 신구(新宮) 거주 의사이자 사회운동가인 오이시 세이노스케(大石誠之助) 등과 친교를 맺었다. 1910년의 대역 사건에 휘말리지만, 오키노는 위기에서 체포를 면했다. 1917년에 대역 사건을 테마로 집필한 소설 「숙명(宿命)」이 『오사카아사히신문』의 현상 소설에 입선해, 이후 문필 활동에 들어가, 소설, 동화, 평론, 수필, 기행 등 수많은 작품을 발표했다(4).
오키노는, 전후 1952년에, 장서 28상자, 자저 4상자와 원고, 서한등을 포함한 자료를 메이지 학원에 기증했다. 이 중 일반 서적류는 대학 도서관의 장서로서 열람에 제공되었지만, 8개의 두루마리로 표장된 서한류는 특별 귀중 자료로서 귀중 서고에 보관되어 있다. 이 서한류에 대해서는, 1969년 1월에 도서관내에서 「오키노 이와사부로 기증서한 내용소개」가 작성되어 1982년 11월에 메이지가쿠인 대학교 도서관으로부터 간행된 「오키노 이와사부로 문고목록」에 그것이 재록되어 있다(5).
서한·엽서 등을 표장한 8권의 두루마리는 각각 1~8권의 권수가 기록되어 있고, 제6권과 제8권에는 표에 「1910년 사건」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 중 제6권에는 오키노 이와사부로·하루(ハル)부부가 발행하고 있던 잡지 『선셋(サンセット)』의 발행이나 발금에 관련된 서류, 대역 사건의 재판에 관련된 항소 신청서나 변호사 히라데 오사무(平出修)의 서한, 사키쿠보 세이치(崎久保誓一), 오이시 세이노스케(大石誠之助)의 서한, 엽서 등이 표장되어 있다. 제8권은 사키쿠보 쇼이치(崎久保誓一), 오오이시 세이노스케(大石誠之助)에서 오키노 이와사부로에게 보낸 옥중 서한이 중심이다.
제6권은 폭 25cm, 전체 길이 1670cm로, 그 1040cm쯤에, 행덕추수(幸徳秋水)의 한시가 쓰여져, 영문 캡션이 들어간 그림엽서가 붙여져 있다(그림 1). 이 오른쪽에는 사키쿠보 쇼이치(崎久保誓一)가 1929년부터 1930년에 걸쳐 오키노 이와사부로에게 보낸 6장의 엽서가 붙어 있다.
사키쿠보 맹세이치는 1911년 1월18일에 대역죄로 사형 판결을 받았지만, 다음날의 천황 특사로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어 아키타 형무소에서 복역하고 1929년에 가석방되었다. 두루마리의 이 부분 6장의 엽서는 가석방 후에 사키쿠보에서 오키노로 보내진 것으로, 엽서의 앞뒷면을 박리하여 양면을 나란히 표장하였다. 이 엽서의 줄에 붙어 있는 안중근의 그림엽서는 사진면만 표장되어 있다.
그림엽서 뒤(왼쪽)에는 ‘도쿄 우시고메 도미히사쵸 113 오이시 세이노스케’에서 ‘기노쿠니신구쵸 기독교회 오키노 이와사부로’ 앞으로 보낸 봉투와 1911년 1월 6일자 옥중에서 성경을 읽은 소감이라는 서한이 붙어 있다. 도쿄 우시고메 토미히사쵸 113은 도쿄 감옥의 주소로, 이곳에 수감되어 있던 오이시 세이노스케는 1월24일에 코토쿠 아키미즈(幸徳秋水) 등과 함께 처형되었다. 오오이시 세이노스케로부터 오키노 이와사부로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 1월20일자 서한은, 제8권의 마지막에 표장되어 있다.
이 '내용 소개'가 작성된 1969년보다 전인 1964~66년경에 대역 사건의 자료 조사를 위하여 오키노 이와사부로 문고를 조사한 칸자키 기요시(神崎清)가 이 그림엽서를 '발견'하여 1967년에 간행한 칸자키 기요시 '이 암흑 재판(혁명 전설 3)'(하가서점(芳賀書店) 1967)에 그림엽서의 화상을 게재하고 있었다(그림 2). 촬영 조건이 나빴기 때문인지, 매우 화질이 나쁜 것이지만, 사진 오른쪽 아래에 「47」이라는 연필의 기입(6)이 찍혀 있어 오키노 이와사부로 문고의 사진과 동일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대역사건의 재판에 있어서는, 대심원의 서기가 손으로 피고들의 압수물에 관한 일람 리스트를 작성했다. 대역 사건은 비밀재판이었기 때문에, 이 압수물 리스트도 엄격하게 관리되어, 담당의 변호사에게는 공판 종료 후의 반납을 조건으로 등본이 대여되고 있었다. 변호사 히라데 오사무(平出修)는, 그 일부의 복사물을 만들어, 신구(新宮)에서 피고 가족의 지원 등에 임하고 있던 오키노 이와사부로(沖野岩三郎)에게도 보냈다고 한다(7). 전후 칸자키 기요시(神崎清)가 담당 검사에게 남아 있던 그 압수물 리스트를 입수하여 이것에 색인을 붙여 영인 간행한 것이 대역 사건 기록 간행회 『증거물사』1964이다.
간자키 기요시는 메이지가쿠인대 오키노 이와사부로 문고의 두루마리 제6권에서 증거물사에 필사된 것과 같은 한시와 영문 캡션 그림엽서를 발견했다. 이에 따라 오키노 이와사부로 문고의 두루마리에 붙어 있는 것이 고토쿠추스이가 체포 시에 압수된 그림엽서와 같은 종류의 것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The Korean Martyr who killed Prince Ito at Harbin. As seen in this picture, the cut off Ring-Finger of the left hand represents the oath of a regicide, according to the old custom of the Koreans. The characters of the upper corners of the picture is facsimile of the Poem written by D. KOTOKU, a prominent Japanese Anarchist, praising the brave conduct of the martyr.
칸자키 기요시는, 이 그림엽서에 대해서, 화상을 게재한 저서 「이 암흑 재판」에는, 「메이지 42년 10월 26일, 하얼빈 역두에서 한국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권총으로 암살한 조선인 혁명가 안중근의 사진으로, 샌프란시스코 평민사의 오카 시게키가 만든 그림엽서에, 「추수제」라고 하는 서명이 들어간 한시가 인쇄되어 있었다」(9)라고 적었다.
그러나, 칸자키 키요시가 저서에서 소개한 후에 나온 메이지 학원 발행의 「오키노 이와사부로 기증 서한 내용 소개」에는, 이 기술 내용은 반영되지 않고 「책의 오려내기」라고 하고 있다. 칸자키 기요시의 정보가 메이지가쿠인 대학 도서관에 전해지지 않았던가, 칸자키 기요시의 저서의 기재를 간과했을 것이다.
오카시게키(岡繁樹)는 1878년에 고치현 아키시(安芸市)에서 태어났다. 17세에 상경해 야학에 다니며 육군사관학교에 응시했지만 실패. 1899년에 만조보(萬朝報)에 입사해 기자가 되었다. 여기서 코토쿠 아키미즈(幸徳秋水), 사카이 토시히코(堺利彦), 키노시타 나오에(木下尚江) 등과 알게 되었지만, 주필인 마츠이 가시와켄(松井柏軒)을 구타해 퇴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코토쿠 아키미즈나 사카이 토시히코의 보살핌으로 미국에 건너갔다(10). 1902년 3월 15일 요코하마를 떠나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것이 4월3일. 그 이후, 샌프란시스코에서 금문(金門)인쇄소를 경영하면서, 샌프란시스코 평민사(平民社)에서 활동하고 있었다(11).
1905년에 필화 사건으로 금고 5개월의 형을 받은 코토쿠 추스이는 형기를 마치고 출옥하자 11월14일에 요코하마에서 이요마루(伊予丸)에 승선하여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갔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동행한 조카 코토쿠 코우에(幸徳幸衛)와 친구 오카시게키(岡繁樹)의 신세를 졌다(그림 4). 그런데 이듬해 4월 18일 샌프란시스코 대지진이 일어났다. 그 때문에, 코토쿠 추스이는 6월5일에 홍콩환(香港丸)에 승선해 23일에 요코하마에 돌아올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러나 조카 고토쿠 유키에(幸徳幸衛)는 그림 공부를 하기 위해 귀국하지 않고 그대로 샌프란시스코에 남았다(12). 이러한 관계로, 코토쿠 추스이는, 귀국 후에도 샌프란시스코의 오카 시게키(岡繁樹)와의 사이에서 서한이나 엽서로 교환을 하고 있었다.
그 교환 속에서 1910년 5월 후반에 오카 시게키로부터 코토쿠 아키스이 앞으로 안중근의 그림엽서의 견본이 보내져 있었다. 이 사실은 상술한 『증거물사』 속의 압수기록에 남아 있는 서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코토쿠 추스이가 오이시 세이노스케에게 보낸 이 서한은 오이시 세이노스케가 신구에서 체포되었을 때 압수된 것으로, 이 서한의 말미에 샌프란시스코 동지가 만든 그림엽서의 「견본」을 동봉하자 코토쿠 추스이가 쓰고 있다.
코토쿠추스이가 유가와라에서 체포된 것은 1910년 6월1일이었다. 와카야마의 신구에서는 6월 3일 이른 아침부터 코토쿠 추스이의 관계자의 주거가 가택수색되었다. 이 시점에서는 코토쿠 아키미즈등의 체포는 아직 보도되지 않고, 다음 4일이 되어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에 코토쿠 아키미즈 체포의 기사가 실렸다. 그리고 6월5일에 오오이시 세이노스케가 체포되었다. 오키노 이와사부로도 3일에 가택 수색을 받고 있어 검사에 의한 사정 청취도 있었지만 체포는 되지 않았다. 그 후, 6월말부터 7월에 걸쳐, 세이시 헤이지로, 사키쿠보 誓一, 타카기 아키아키, 미네오 세츠도 등이 차례차례 체포되었다. 그러나 오키노 이와사부로만은 끝내 체포되지 않았다.
그는 남편이 무엇을 위한 가택수사였는지 전혀 몰랐지만, 다음날 신문을 보고 처음으로 남편이 페테르부르크에서 드미트리 일파가 사와야마의 폭탄을 제조해 겨울궁을 습격한 사건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드미트리는 그 달의 하루에 교외 동지의 집에서 포박된 것이었다.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대역 사건에서의 체포를 면했지만, 이것에 대해서 오키노 이와사부로 자신은, 도쿄 여행에서 돌아온 오이시 세이노스케가 1909년 1월에 신구에서 연 신년회에 출석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14). 세이시 헤이지로, 사키쿠보 쇼이치, 타카기 아키아키, 미네오 세츠도가 참가한 이 신년회에, 「오키노는 술을 마시지 않기 때문에 부르지 말자」라고 하는 오오이시 세이노스케의 한마디로, 오키노 이와사부로에게는 권유가 걸리지 않았다. 수사 당국의 소식통에 의하면, 이 신년회에서 대역 사건의 모의가 행해졌다고 되어 있었기 때문에,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체포를 면했다고 하는 것이다. 오오이시 세이노스케와 세이시 헤이지로는 형사, 특사로 무기형이 된 타카기 아키아키와 미네오 세츠도는 옥사, 사키쿠보 쇼이치만이 18년 후에 가석방으로 생환할 수 있었다.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재판중은 현지의 신구에 머물러 피고 가족등의 구원·지원 활동에 임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칸자키 기요시가 오키노문고에 있는 안중근의 그림엽서에 대해 「오카 시게키가 영문을 넣어 인쇄한 것」이라고 단정한 것은, 이 5월26일자의 서한이 근거인 것일 것이다. 그러나 오이시 세이노스케의 압수물 목록 중에는 동봉되어 있었을 그림엽서 견본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편, 그 그림엽서와 같은 것이 오키노 이와사부로가 보관하고 있던 자료 속에 남아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 점에 대해서는, 칸자키 키요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라고 전하고 있다.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은, 이것보다 앞서, 1909년 11월 10일에 이미 안중근의 사진을 지면에 게재하고 있었다(그림 6). 이것은 하얼빈의 일본 영사관에서 찍은 뒷짐에 구속된 요승 차림의 안중근의 사진을 트리밍한 것으로, 절단된 손가락은 찍히지 않았다. 11월 28일에 재차 게재된 상기의 손가락을 보이고 있는 사진의 해설에서는, 「그 부분에 있어서 비밀에 부쳐 아직 세상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라고 되어 있다. 이 두 장의 사진은 하얼빈(ハルビンの日本)의 일본 영사관에서 같은 시간에 찍혔던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안중근의 이 두 장의 사진은, 정부 기관이나 수사 당국으로부터 신문사등의 외부에 11월중에 유출되고 있었다.
13.단지의 목적은 대한국의 독립을 기하기 위해서, 독립하기까지는 어떠한 방법 수단도 감행할 생각이나 단지는 작년 12월이나 금년 정월이라고 생각하는 「하리」김성방 전술의 여관에서 절단·단지의 당시는 민심 산란하고 또 자신을 믿는 것보다 자신은 국가를 위해 진진하는 열심을 타인에게 나타내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 단지된 것이므로, 이토를 죽일 목적으로 하는 것은 일본 황제도 속이고 정책의 잘못을 사회에 공포하고 이를 파괴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에 의해 나온 결과 이토를 죽인 것이다
일본에서는 에도시대부터 '손가락 자르기 겐만' 등과 같이, 굳은 약속의 증거로서, 또 개심을 나타내기 위해서 손가락을 떨어뜨린다는 행위가 있었다. 그러나, 유녀나 도세인등의 심상치 않은 행위, 특수한 집단내에서의 행위라고 여겨지고 있었다(16). 그러한 일도 있어서, 「손가락을 떨어뜨리는」 것이, 일본사회에서도 강한 호기의 눈으로 보여지고 있던 것은 사실일 것이다.
조선사회에서는 '단지'가 부모나 근친자의 병을 고치기 위한 행위였다는 사실이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고, 단지를 한 것이 현창된 예도 있었다(17). 그러나 '암살의 맹약으로서' 손가락을 자르는 '구관'이 있었다는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안중근 자신은 일본의 침략에 대항하여 독립을 요구하는 굳은 결의의 증거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安重根の写真絵葉書
안중근 사진그림엽서
『大阪毎日新聞』に掲載された安重根の二枚の写真は,両方とも絵葉書になったものが現存している。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에 실린 안중근의 두 장의 사진은 둘 다 그림엽서가 된 것이 현존하고 있다.
하나는 한국에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그림엽서(그림7:그림엽서1)로, 2015년 3월말부터 6월 초순까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열린 '광복 70주년 특별전'에서 안중근을 만나다(울림, 안중근을 만나다'에서 전시된 것이다. 사진은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이 1909년 11월28일에 게재한 절단한 약지를 보여 주는 포즈의 사진을 사용하고 있다. 사진면 하부에
1910년 당시의 그림엽서는 사진면에 문자를 쓰는 경우가 많았다. 1906년까지는 그림엽서의 앞면에는 주소와 주소밖에 쓰지 못하고, 통신문은 사진 부분에 쓰게 되어 있었다. 1907년 이후에는 표면 아래 1/3에 통신문을 쓸 수 있게 되었지만, 사진면에도 글을 쓰는 경우가 많아 그림엽서는 사진면에 글씨를 쓸 수 있도록 배경 부분이 지워져 있었다. 이 그림엽서도 배경이 지워져 있다. 표면에는
유가와라(湯河原)에 있던 코토쿠 추스이는 '일본제' 안중근의 그림엽서가 판매되고 있었던 것을 알고 있고, 이 4월29일의 기사를 보고 그것이 발매 금지된 것을 알았고, 그래서 '안중근의 것은 발매 금지'라고 써 보낸 것으로 생각된다. 즉, 야마구치 긴타로(山口金太郎)가 작성,판매하고 있던 그림엽서가 그림엽서1로, 코토쿠 슈스이는 이를 입수한 적이 있다는 추측이 성립된다.
もう一つ,絵葉書1 の安重根の写真が2~3 月に東京市内で使われたと思われる事例がある。
또 하나, 그림엽서1의 안중근 사진이 2-3월에 도쿄 시내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사례가 있다.
1910년 4월1일 발행된 <신한자유종(新韓自由鐘)>제3호라는 잡지 자료가 남아 있다. 단, 남아 있는 것은 잡지의 실물이 아니라 정보 수집을 위해 도쿄에서 입수한 <신한자유종> 제3호를 대한제국 내부경무국에서 일본어로 번역하여 필사한 것이다. 이 <신한자유종>은 당시 도쿄에 유학하고 있던 조선인 학생의 결사 <소년회(少年会>가 내고 있던 회람 잡지로, 메이지 학원 보통부에 다니던 이광수가 1·2호의 편집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광수는 1910년 3월에 메이지학원을 졸업했으며, 3호는 다른 멤버가 인수해 낸 것으로 보인다(18).
이것은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대한제국 내부 경무국에서 일본어로 번역했을 때에 필사한 것이며, 화상도 원화의 모사이다. 회람지에서는 사진을 전재할 수 없기 때문에 스케치나 사진이 붙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림엽서의 사진 부분이 붙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도쿄에 거주하는 조선인 유학생이 안중근의 이 포즈의 그림엽서1을 입수했을 가능성이 있다.
코토쿠 추스이는 그림엽서1을 구입하여 안중근의 사형판결이 확정된 것이 보도되었던 2월21일 이후에 '사생취의(舎生取義)살신성인(殺身成仁)‘ 즉, '삶을 버리고 의(義)를 취하고, 몸을 죽이고 인(仁)을 이룬다'라는 안중근에 대한 칭찬의 한시를 그림엽서의 사진 면에 써 넣어, 이것을 샌프란시스코의 오카 시게키 앞으로 투함했다고 하는 상정에 무리나 모순은 없다.
신한민보의 편집 발행인이었던 최정익 등과 오카 시게키와의 연결고리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3월말의 시점에서 이 행덕추수의 한시가 쓰여진 안중근의 사진은 오카 시게키의 수중 밖에 없었던 것으로, 「신한 민보」에 게재된 사진은 샌프란시스코 평민사의 오카 시게키가 제공한 것이라고 하는 것이 된다.
그 후로는 격조했습니다. 소생도 여전히 비상한 역경으로, 동서 방랑점에 이르렀습니다, 고우에사 작년 이래 한 번도 아닌 폐를 끼쳐 깊이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우에 감사 인사까지, 그 중에서 유츠쿠리 쓰겠습니다, 야노가와로부터도 자세한 내용을 받았습니다, 제군에게 잘 전해 주십시오, 소생은 지금 여기서 절절한 저술을 하고 있습니다, 가능하면 보내겠습니다.
날짜는 적혀 있지 않지만, 문면으로부터 3월말에서 4월초 쯤에 투함한 엽서라고 생각된다. 여기서는 한시를 써 보냈을 안중근의 그림엽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 즉, 코토쿠 추스이로부터는 자신이 보낸 그림엽서에 대해 어떠한 의뢰(예를 들면 샌프란시스코에서의 그림엽서 작성 등)를 하고 있던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오카시게키는 행덕추수의 한시가 들어있는 그림엽서를 3월 중순경에 받으면 그 사진을 『신한민보』에 제공함과 동시에 행덕추수의 한시와 안중근의 사진을 복제한 것에 일본어 캡션을 영역하고 거기에 행덕추수를 소개하는 영문을 더해 자신이 경영하는 금문인쇄소에서 그림엽서를 작성했을 것이다. 4월의 후반에, 코토쿠 아키스이가 유가와라 아마노야로부터 보낸 그림엽서를 받고 코토쿠 아키스이의 거처를 알게 된 오카 시게키는, 스스로 작성한 그림엽서를 「견본」으로서 아마노야의 코토쿠 아키스이 앞으로 보냈다.
오이시 세이노스케는 오리건 주립 대학의 의학부를 졸업하고 몬트리올 대학이나 인도의 뭄바이 대학으로의 유학 경험도 있는 영어권에 발판이 있는 인물이었다. 샌프란시스코의 오카시게키가 보내 온 영문 캡션이 들어간 안중근의 그림엽서의 「견본」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오오이시 세이노스케의 아이디어나 어드바이스에 코토쿠 아키미즈는 기대했을지도 모른다.
당시 신궁에서 친하게 지내던 오이시 세이노스케와 오키노 이와사부로와는 자주 만날 기회가 있었다. 가택 수색을 받기 전날인 6월 2일도,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내방한 메이지 학원의 관계자와 함께 오오이시 세이노스케를 만나러 가고 있다. 그 때인가, 혹은 그 이전에, 오오이시 세이노스케가 오키노 이와사부로에게 이 그림엽서 「견본」을 건넸을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3일 이른 아침부터, 오키노 이와사부로의 자택도 철저한 수색이 행해져 장시간에 걸쳐 조사도 행해졌다. 그러나 오키노 이와사부로(沖野岩三三郎)는 체포를 면했다. 재판에 회부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오키노 이와사부로에 대해서는 압수품 리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어떠한 것이 오키노 이와사부로의 수중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지금은 행덕추수가 안중근을 찬양하는 한시를 쓴 그림엽서가 나오면 큰일이 난다, 놓칠 리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행덕추수가 소지하고 있던 안중근의 그림엽서는 대역 사건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되지 않았다. 압수품 목록에는 안중근의 초상 부분은 생략돼 있다. 중요시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또 재판에서도 이 그림엽서가 거론되는 일은 없었다.
1926년에 창경궁 앞에서 일본인 3명을 태운 차가 칼을 든 남자에게 습격당해 한 명이 숨지고 다른 한 명이 중상을 입는 사건이 일어났다. 4월 25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던 순종(이坧)이 죽고, 그 조문에 간 일본인이 조선총독 사이토 미노루로 오인되어 습격당한 사건이다. 습격한 것은, 29세의 송학선으로, 이 사건은 「김호문 사건」이라고 불리고 있다. 사건 다음 날인 1926년 4월 29일자로 송학선의 진술조서가 관할 종로경찰서에서 경성지방법원 검사정에게 보내져 있다. 그 중에서 송학선은
경성의 본 마을에는 혼마치 2가 모퉁이에 히노데상행이라는 그림엽서나 액자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가게가 있었다. 1906년의 창업으로, 자사에서 그림엽서의 제조·판매를 함과 동시에 내지의 각종 그림엽서도 취급하고 있으며, 매장에서 그림엽서를 전시하고 있었다. 송학선의진술에 의하면,1910년혼마치히노데상행店頭之出商行의점두에안중근의그림엽서가전시되어있어,그것을조선인이칭찬하면서보고있었다. 12~3세의 송학선도 그 자리에 있으면서 안중근을 동경하게 되었다고 한다.
안중근이 처형된 3월 26일 이후, 안중근의 그림엽서를 경성에서 발매하려던 일본인 사진관이 발매가 금지되었다. 1910년 3월 29일자 조선어 일간지 대한매일신보는 안진발 售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일본인 사진업자가 안중근의 사진을 복사해 내외국인에게 판매한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그런데 2일후인 3월 31일자에는
이와타 사진관은 그림엽서 2에 있는 「경성 이와타 冩 신관 제판부」이다. 이 당시는, 점주인 이와타 타다시는 남대문통에 점포를 두고 있었다. 그림엽서2가 이때 판매가 금지된 것일 가능성은 높다. 송학선이 말한 「혼마치 그림엽서 서점에 진열」되어 있던 것은 장소나 제작의 시기로부터는 그림엽서2가 아닐 것이다. 오히려, 사용하지 않는 그림엽서1이 현재 한국 국내에 남아 있는 것을 고려하면, 도쿄에서 2월에는 판매되고 있던 그림엽서1을 히노데상행이 매입해 매장에 두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병합 이전인 이 시기에도 병합 이후에도 조선과 내지는 여러 가지 대응이 달랐다. 병합 직전의 한국 경성과 도쿄는 안중근의 그림엽서 취급에도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도쿄에서는 안중근의 그림엽서가 별다른 규제 없이 4월 말까지는 판매되고 있었다. 게다가 도쿄에서 만들어진 안중근의 그림엽서는 경성에서도 가장 메인 스트리트인 혼마치도리의 그림엽서 전문점 매장에 놓여 있던 시기도 있었다.
코토쿠 추스이는 도쿄에서 안중근의 그림엽서 1을 입수하고, 거기에 안중근을 찬양하는 한시를 써 샌프란시스코의 오카 시게키에게 투함했다. 그것을 받은 오카 시게키는, 코토쿠 추스이의 한시를 곁들인 안중근의 옥중 사진을 복사해, 영문 캡션 첨부의 그림엽서를 만들어, 그것을 「견본」으로서 유가와라 아마노야에 체재하는 코토쿠 추스이의 곁으로 보냈다.
그림엽서 1의 판매는 금지되었지만, 오키노 이와사부로가 오이시 세이노스케로부터 맡은 코토쿠추스이의 한시가 그려진 샌프란시스코제의 그림엽서 견본은 압수당하지도 않고 오키노 이와사부로에 의해 보관되어 일본의 패전 후 대역 사건의 관계 자료의 하나로서 표장되어 메이지 학원에 기증되었던 것이다.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1922년 5월에 조선과 만주(중국 동북부) 여행을 떠났다. 5월 9일 부산에 상륙하여 마산·진해·경주·군산·목포·전주·청주·충주를 돌아 경성으로, 그리고 인천·개성을 들러 이번에는 경성에서 원산(元山), 함흥(咸興), 경성(京城), 평양(平平壌), 의주(義州)로, 그리고 안동(安東), 봉천(奉天), 무순(撫順)과 대련[大連/여순]으로 돌고 있다. 이 여행에 대해서, 오키노 이와사부로는 이듬해 「살얼음을 밟아 봐」(23)를 출판해 조선이나 중국 동북부에서의 체험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인에 대한 일본인의 거만하고 차별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이 곳곳에서 드러나면서 3·1독립운동에도 강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만주로 들어가 마지막에는 뤼순에 들르지만 이곳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된 안중근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뤼순에서의 관심은 오로지 자신이 비전론을 주창한 러일전쟁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그림엽서가 오늘날까지 보존됨으로써 일본과 한반도와의 관계를 '일본 대 조선', '일본 대 한국'이라는 국가적 차원의 대립구조로 보는 것이 아니라, 국가권력을 휘두르는 자·침략을 행하려는 자와 그에 항거하는 사람들이라는 구도 속에서 이 그림엽서가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는 사실에 대해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많은 것이다.
도진순「한국의 안중근과 일본 지식인들의 평화론 비교 - "합치고 동하지 않음" "닮고 틀리는 것" 지바17·유키토쿠추스이·도쿠토미로카·이시카와 타쿠키·나쓰메 소세키」『2017년 제4회 국제학술회의·류코쿠대학 소장 안중근 유묵 등 관계 자료 전시 예고집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를 다시 바라보기 위한 역사인식' 2017
(3) SBS 조선독립의 숨은 주역 일본인 독립투사들' 2011년 8월 15일 방송, MBC '안중근 의거 105년 끝나지 않은 전쟁' 2014년 8월 13일 방송
(4) 노구치 다마야 『오키노 이와사부로』 답청사 1989
(5) 메이지가쿠인대학도서관『오키노이와사부로문고목록』1982년
(6) 이 연필로 쓰여진 숫자는 두루마리에 표장된 다른 서한이나 엽서에도 쓰여져 있어, 표장에 낼 때에 순서의 기억으로서 써진 번호일 것이다. 단지, 표장된 것을 보면 모든 것이 번호대로 나란히 있는 것은 아니다.
(7) 대역사건기록간행회 『증거물사』1964 엽서
(8) 칸자키 키요마에 게제서 170쪽
(9) 간자키 기요시 앞에 게제서 168쪽
(10) 아라하타 한촌『한촌자전』상권 이와나미문고 1975194쪽
(11) 카토 테츠로 "반골의 재미 저널리스트 오카 시게키의 1936년 일본 방문과 위장 전향" "인텔리전스" 제4호(2004년 5월)
(12) 고토쿠추수를 현창하는 모임 『추수통신』 제23호 (2017년 12월)
(13) 오키노 이와사부로 「나는 살아있다」 오사카야호 상점 1925
(14) 노구치 다마야 『오키노 이와사부로』 답청사 1989
(15) 한국 국사편찬위원회 통감부 문서 제7권 문서번호 271 뤼순감옥에서의 안중근 진술내용
(16) 미타무라연어 [오락의 에도] 에후칸 1925
(17) 『현종개수실록』 현종 11년 5월 13일 조 "중보또진정평갑사박대유문천향리전무적단지활치부모의몽포장上曰令해당조특행정표(洪重普)가또주하여"정평갑사박대유와문천향리전무적이단치하여그부모를살렸으니포상하고장려하라"고. 국왕이 말하기를 "담당부서로 하여금 특히 선행을 기려 세상에 널리 나타내도록 하라"고."
(18) 사토 히문 해설『메이지학원 역사자료관 자료집』 제8집 2011
(19) 『신한민보』 1910년 3월 30일자 지면은 현재 서울 안중근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
(20) 행덕추수 전집 편집위원회 『행덕추수 전집』 제9권 1982515 페이지. 그림엽서는 오카 시게키의 유족이 고치 문학관에 기증한 가운데 남아 있다.
(21) 한국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 '국내 항일운동 자료'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문서 검찰사무에 관한 기록3"경종경고비 제4769호 매후자 살해에 관한 건
2024년 여름, 세계는 가장 흥미진진한 운동 경기를 보기 위해 파리에 모였습니다. 세계의 이목이 각국 최고 인재들이 겨루는 올림피아드에 집중되었습니다.
방글라데시는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지만, 이 화려한 스포츠 행사에서는 별로 눈에 띄지 않습니다. 이번에도 예외는 아니었고, 방글라데시는 단 하나의 메달도 따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방글라데시는 다른 이유로 파리에서 주목받았고, 이는 이 나라와 그 정치에 있어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입니다.
방글라데시의 유일한 노벨상 수상자인 유누스 박사는 파리 올림픽에 참석, 파리의 올림픽 유치에 기여한 공로로 7월22일 '무함마드 유누스 교수 광장'이 명명되는 영예를 받았습니다.
유누스가 파리에서 젊은 선수들이 발휘하는 탁월한 재능을 지켜보는 동안, 그의 마음 한편에는 고국의 젊은 학생들이 살해당하고 있다는 소식이 무겁게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2024년 7월 초부터 다카 거리와 대학 캠퍼스, 그리고 여러 주요 도시에는 수천 명의 시위대로 가득했습니다. 7월초 학생들이 차별적인 공무원 채용제의 개혁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을 때, 그들은 자신들이 이 나라 역사에 새로운 장을 쓰게 될 줄 전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4천5백만 명이 넘는 방글라데시의 청년들 중에서 약 1천3백만 명이 교육이나 취업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좋은 일자리를 얻을 가능성은 정치적으로 왜곡된 공무원 채용 할당제로 더욱 희박해졌습니다.
이 때문에 대학 졸업생들이 선호하는 직업을 얻는 데에 큰 장애가 되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부패한 시스템의 개혁을 요구한 것은 도덕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옳은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셰이크 하시나는 이 요구를 무시했고, 그녀가 늘 사용하던 방법을 동원했습니다. 그녀는 지난 15년 동안 모든 반대 요구를 억압하기 위해 같은 전술을 사용했고, 세 차례나 선거조작으로 권력을 유지해 왔습니다. 학생들의 근본적이고 논리적인 요구는 비방과 모독, 폭력적 공격에 부딪혔습니다.
하시나의 대응은 잔인하고 어리석었습니다. 그녀는 대량 학살을 서슴지 않았고, 어린아이들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그녀는 군대와 준군사조직에 강경 진압을 명령했고, 그들에게 "즉각 사살(shoot at sight)"하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광기가 하늘을 찔렀습니다. 준군사 세력은 헬리콥터로 시위대에 총격을 가했습니다. 경찰은 수천 명의 시위대를 체포하기 시작했고, 한밤중에 학생들을 집에서 연행했습니다. 마치 나라가 외국 침략자들에게 점령당한 것 같았습니다.
1,500명 이상이 사망했고, 거의 2만 명이 부상을 입었는데, 그중 일부는 파편에 맞아 시력을 잃었습니다.
7월 중순부터 날마다 나라 전체에서 무자비한 살상이 계속되었습니다. 사상자가 늘어날수록 시위대의 수는 더욱 불어났습니다. 이는 방글라데시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이었습니다.
15년 계속된 하시나의 독재 기간 중에 처음으로 테러가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갑자기 사람들의 마음에서 두려움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유누스 박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동안 그는 100개 이상의 조작된 소송과 징역형으로 위협을 받으면서도 그는 정치적 발언을 삼갔고,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무관심으로 일관했고, 정권과 그 비판자의 주장에 분명하게 거리를 두었습니다.
하지만 이번만큼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파리에서 그는 국제 사회에 호소했습니다. 그는 방글라데시가 겪는 참혹한 현실을 공개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범상치 않은 일이 전개되고 있으며, 이 나라가 중요한 분수령을 넘어섰다고 느겼던 것입니다.
존엄성 회복을 위한 Z세대의 반란
7월14일의 기자회견에서, 하시나는 시위대에 대해 모욕적인 발언을 했습니다. "자유투사들의 손자들이 (할당제의) 혜택을 받지 않으면, 누가 받겠습니까? 라자카르(Razakars)들의 손자들입니까?"
하시나는 시위 학생들을 라자카르들의 자손에 비교했습니다. 라자카르는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당시 파키스탄군과 협력하여 자유투사들과 싸웠던 민병대입니다.
그녀의 모독적 발언은 몇 시간 만에 다카 대학 기숙사에서 시위를 촉발시켰습니다. 그날 밤, 격분한 여학생들이 기숙사 밖으로 나와 "너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 라자카르, 라자카르"라는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습니다.
학생들의 저항에 대응하여 당시 아와미 연맹(AL)의 사무총장 오바이둘 카더(Obaidul Quader)는 당 회의에서, 악명 높은 자신들의 학생 조직인 방글라데시 차트라 리그(BCL)가 '불온한 학생들'을 충분히 제압할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7월15일, 카더의 발언 직후 BCL은 다카 대학에서 학생 시위대를 잔인하게 공격하며 몽둥이, 대나무 막대기, 곤봉 등으로 학생들을 무자비하게 구타했고, 많은 학생들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두려움을 딛고 일어선 불꽃
7월16일, 영문학과 학생 아부 사예드(Abu Sayed)가 뜻밖의 행동으로 전국을 결집시켰습니다. 그는 학생 시위대에 참가하던 중 경찰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다른 학생들이 실탄을 피해 도망치는 동안 사예드는 도망가지 않았습니다. 그 자리에 홀로 서서, 두 팔을 벌리고, 가슴을 활짝 열고 경찰의 사격을 받았습니다. 그는 백주대낮에 총에 맞아 사망했습니다.
사예드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전국으로 퍼졌습니다. 하시나가 만든 공포의 장막이 무너졌고, 아부 사예드의 용기가 전염되기 시작했습니다.
다음 날부터 사람들, 특히 청년들은 총구 앞에서 목숨을 바칠 각오로 거리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붉은 몬순과 물
사예드의 순교 이틀 후, 또 다른 용감한 학생이 다카의 시위 중심지에서 물병을 들고 달리는 모습이 영상에 포착되었습니다.
수학을 전공한 후 MBA 과정에 진학한 미르 마흐푸주르 라만 무그도(Mir Mahfuzur Rahman Mughdo)는 경찰이 최루탄을 쏘아 시위대를 해산시킬 때 우타라(Uttara)에서 시위대에게 물을 나눠주고 있었습니다.
총알이 그의 이마에 명중해 오른쪽 귀를 뚫고 관통했습니다. 그는 15분 동안 더 숨을 쉴 수 있었지만, 병원으로 이송되기 전에 사망했습니다.
죽음 앞에서도 물을 나누어주던 무그도의 영상은 무슬림 사회에 뿌리내린 강력한 이미지, 즉 카르발라(Karbala) 이야기를 상기시켰습니다. 무그도의 죽음을 담은 영상이 예언자 무함마드의 손자, 후사인 이븐 알리의 비극적인 역사를 연상시켰습니다.
유프라데스 강가에서 후사인 이븐 알리는 하시나와 같은 억압적인 정권에게 패배했고 부하들과 함께 학살당했습니다. 그들은 포위를 당해 며칠 동안 물을 마실 수 없었습니다.
무그도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영상은 수백만회의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방글라데시 전역에 퍼졌고, 무그도의 마지막 말을 전했습니다. "물! 물이 필요해?"
사예드가 당긴 불길이 무그도의 순교로 화산처럼 폭발했고, 이는 스러진 목숨들을 위한 정의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군중들이 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다는 신호탄이 되었습니다. 그것은 전국으로 퍼져나가 수많은 대중을 단결시켰고 불가능해 보였던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즉 공포 정치를 무너뜨리고 살인적인 몰록(Moloch)으로부터 나라의 영혼을 구하는 일이었습니다. 저격수와 헬리콥터까지 동원해 시위대에 발포하고, 어린이들까지 무차별로 사살하는 하시나 정권의 아와미 리그(AL) 깡패들과 보안군들이 바로 그 몰록이었습니다.
전국적 통행금지와 인터넷 차단
이 때쯤, 어떤 폭력도 대중의 물결을 멈출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매일 수십 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을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독재자는 최후의 수단에 의존했습니다. 7월19일, 그는 전국적으로 통행금지를 발효하고 군대를 배치했습니다.
파시스트 아와미 리그(AL)의 사무총장은 다시 한 번 카메라 앞에서 “즉각 사격(shoot-on-sight)” 정책을 발표하면서 시위자는 누구든 죽이겠다고 위협했고, 저항운동을 완전히 진압하겠다고 맹세했습니다.
통행금지와 함께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접근이 차단되었습니다. 온 나라가 창살 없는 감옥이 되었습니다. 군대가 거리를 순찰했고, 외부 세계와의 소통이 단절되었습니다.
이 단계에서 저항운동은 마지막 단계로 접어들고 있었지만,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지는 여전히 불투명했습니다. 유누스 박사는 파리에서 인터뷰를 통해 국제 사회의 주목을 촉구했습니다.
그는 대담한 성명을 발표해, 정부가 군대를 동원함으로써, 마치 외적이 이 나라를 침공한 것처럼 시위자들과 맞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자국민을 대하는 태도가 아닙니다.”
최후의 전투
시위를 진압할 수 없게 되자, 정권은 학생들에게 가짜 협상 게임을 제안했습니다. 정보기관은 학생 지도자들에게 협상에 참여하라고 압력을 가했고, 경찰은 시위 조직자 6명을 구속했습니다.
7월28일, 경찰은 이 시위 조직자들에게 비디오 성명을 녹화하도록 강요하면서 예정된 시위 일정을 연기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역효과만 일으켰습니다. 학생들은 납치나 강요된 비디오 성명이 대중을 저지할 수 없다고 분명히 말했습니다.
이같은 정부의 조치는 학생과 대중을 더욱 격분시켰습니다. 다른 시위 조직자들은 즉시 거리로 나왔고, 비디오 성명은 가짜라고 반박했습니다.
학생 지도자들은 전면적인 비협조 운동을 촉구했습니다. 통행금지는 무시되었고, 수천 명의 시위자들이 도심과 공원, 주요 거리와 공공장소에 모여 하시나의 사퇴를 요구했습니다.
파시스트 독재자의 몰락
8월4일 밤, 학생들이 다카 행진을 발표했고, 수백만 명이 여러 장소에서 행진을 시작했습니다. 아침까지 수십만 명이 하시나의 관저를 향해 행진했습니다.
그녀는 군 헬리콥터를 타고 인도로 도주했습니다. 그녀가 도망간 뒤에는 부패와 학살과 실종, 역기능의 사법부, 그리고 경제위기 직전의 나라가 남았을 뿐입니다.
8월5일은 맑고 화창했고, 이 특별한 몬순의 도시 다카는 ‘아자디!’를 외치며 행진하는 사람들로 가득 찼습니다. 해방의 언어가 공기 중에 퍼졌고, 수백만의 행진자들의 얼굴에는 자유의 기쁨이 빛나고 있었습니다. 많은 이들은 믿기지 않는 듯 눈물을 흘리고 있었습니다.
방글라데시 2.0의 시작
이틀간의 치열한 논의 끝에 학생운동 지도자들은 몬순 혁명으로 막 탄생된 제2공화국의 운전대를 맡을 사람으로 유누스 박사보다 나은 사람을 찾지 못했습니다.
그가 아직 파리에 체류하는 동안, 그들은 “유누스를 믿는다!”고 선언했습니다. 새로운 임시 과도정부는 2024년 8월8일에 출범했고, 유누스 박사가 방글라데시 2.0의 수장으로 임명됐습니다.
이제 방글라데시는 무너진 시스템을 일으켜 세우고 트라우마를 겪은 국민을 치유해야 하는 막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파시즘의 해악이 재발하는 것을 막는 데에 필요한 개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자유와 정의, 존엄성 속에서 번영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만행, 정치적 폭력, 권력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책임과 회복의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강력한 국제적 지지와 지원, 연대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외국의 친구들이 나서 주기를 원하고, 이 역사적인 여정에 참여해 주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같은 가치와 헌신과 희망을 가지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아시아 태평양과 그 너머에서 사람들과 시민단체들과 강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
---------------------
발표자 무스타인 빌라 자히르(Mustain Billah Zahir)씨는 시민 참여 사상가로, 한국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KDF)의 국제 민주주의 친선대사이자, 현재 방글라데시 개헌위원으로 재직 중입니다.
==================================
(발표문 원문)
The July Massacre, Monsoon Revolution and the Language of Resistance in Bangladesh
by Mustain Billah Zahir
In the summer of 2024, the world gathered in Paris to experience the most riveting athletic performances. All eyes were on the Olympics—the oldest Olympiad where nations vie to outshine each other with the best of their best.
In spite of being the world’s eighth populous country, Bangladesh usually remains unrecognisable in this magnificent sporting event. This time it was not an exception either and the country failed to secure a single medal. But Bangladesh was visible in Paris for a different reason, and it would be proved to be fateful for the nation and its polity.
The country’s only Nobel Laureate Dr. Yunus was in the Paris Olympics, being honoured with Place du Professeur Muhammad Yunus on July 22 to celebrate his contributions to the city's Olympic bid.
While Yunus was witnessing a generation of young athletes showcasing the best of their talents in Paris, at the back of his mind, he was burdened with the grim stories of young students getting killed in his homeland. From the beginning of July 2024, streets of Dhaka, university campuses and other divisional cities were filled with thousands of protesters.
When students took to the streets in early July, demanding reforms of the discriminatory government job recruitment, they had little idea how it was about to write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their country.
A country of over 45 million youth, Bangladesh has about 13 million of young people who are neither in study, and to make matters worse, they don’t have a job either. The slime chance of getting a good job was further complicated by the politically twisted discriminatory public service quota system.
This is unmistakably a big problem for the graduates seeking the coveted jobs. Therefore, the students were morally and politically right in demanding the reform of the corrupt system.
However, the then Prime Minister Sheikh Hasina was very dismissive about the movement and didn’t bother to employ her usual playbook. She has been using the same tactics to quell every opposition demand in the last 15 years and holding onto power by conducting three consecutive farcical elections. Hence, this very basic and logical demand was met with vilification, dehumanising tactics and violent attacks.
The response from Hasina was brutal and imbecilic. She didn’t care to let loose a monstrous killing spree, even children were not spared. She ordered a crackdown that was overseen by the army and the paramilitary forces who were given shoot at sight orders.
The insanity even touched the sky— helicopters used by paramilitary forces were mobilised to shoot at protestors. Police started rounding up thousands of protestors, hounding young students at midnight by picking them up from their homes in the middle of the night. As if the country was in the grip of some foreign invaders. More than one fifteen hundred have been killed, nearly twenty thousand injured including those blinded by pellet injuries.
From the middle of July, day in and day out the whole country woke up to incidents of one senseless killing after the other. The more she was killing, the bigger the number of protesters grew. It was a pivotal moment in the country’s history, as for the first time in her 15 years of authoritarian rule, no amount of terror was working and suddenly fear evaporated from the minds of the people.
This was also true of Dr. Yunus. Despite facing over a hundred trumped up cases and a deferred jail term, he seldom talked about politics, rather maintained a stoic indifference towards the democratic backsliding, kept a sharp distance from being associated with the critics of the regime or dissident voices.
But, not this time. From Paris, he appeal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aid bare the facts of brutality and sought their urgent attention to what was happening in Bangladesh. He could sense that something extraordinary was unfolding and the country crossed a watershed moment.
> Gen-Z Revolt To Recapture Dignity
During a news conference on July 14, in response to a question Hasina made a very derogatory remark about the protesters—“If the grandchildren of freedom fighters don’t receive [quota] benefits, who will? The grandchildren of Razakars?” By this aspersion, she compared the student protesters to children and grandchildren of Razakars—a militia force who collaborated with the Pakistan army and fought against the freedom fighters during the country’s Liberation War of 1971.
Her contemptuous comments ignited protests within hours at different dormitories of Dhaka University. That night, agitated female students took the lead, came out from the dormitories chanting the slogan “Who are you? Who am I? Razakar, Razakar.”
In response to students’ defiance, Obaidul Quader, the then general secretary of Awami League (AL), commented at a party meeting that their notorious student wing, BCL was enough to subdue ‘the unruly students’. On July 15, soon after Quader’s comment, BCL launched a vicious assault on student protesters at Dhaka University by beating them with rods, bamboo sticks and clubs, many were severely injured.
> The Spark Of The Fearlessness
On July 16, Abu Sayed, a university student studying English Literature triggered the surprising turn of events that would galvanise the whole nation. He was one amongst many protesting students attacked by the police. While others were in retreat to save themselves from the live bullets, Sayed did a very unusual thing. He stood firm, standing alone with two hands stretched out, fearlessly holding his chest open at the firing range. Within a moment, he was shot dead in broad daylight.
Across the nation, through social media the video footage of Sayed’s heroic posture spread like wildfire. The iron dome of fear created by Hasina began to crumble—the courage of Abu Sayed became contagious. From the next day, people, especially the youth, took to the streets en masse, standing tall and ready to sacrifice their lives in front of the guns.
> The Water Of The Red Monsoon
After two days of martyr Abu Sayed, another valiant student was seen on a video holding water bottles and running amidst the throng of people who gathered in one of the epicentres of the demonstration in Dhaka. Mir Mahfuzur Rahman Mughdo, a graduate in Mathematics who was doing his MBA was seen distributing water to protesters in Uttara after law enforcers fired teargas shells to disperse them. A bullet hit his forehead and pierced through his right ear. He was able to breathe for another 15 minutes. He was dead by the time his friend and fellow protesters rushed his listless body to the hospital.
The video of Mugdho handing out water before his death touched to the core of a deep-rooted and powerful imagery in the Muslim society, i.e., the story of Karbala. The emotional floodgate opened by Mughdo’s murder instantly electrified the memory of the tragic history of the Prophet Muhammad’s grandson.
On the bank of the Euphrates River Ḥussain ibn Ali was defeated and massacred along with his followers by an oppressive regime like Sheikh Hasina. While the group was under seize for days, they were denied access to water. The social media feeds of millions across Bangladesh could instantly relate to Mughdo’s last words—“Water! Do you need water?”
The fire lit by Sayed, now became a volcano with Mugdho’s martyrdom becoming a beacon that showed the masses the only direction they could take—hit the streets demanding justice for the lives lost. And it reverberated across the nation and united millions to think of the impossible—bringing down the reign of terror is not just necessary but essential to save the soul of the nation from a murderous Moloch—the thugs of AL functionaries in cohort with security forces indiscriminately killing children, using snipers and even helicopters to gun down the protestors.
> Nationwide Curfew And Communication Blackout
By this time, it was apparent that no amount of the violence would be enough to stop the tide of the masses. Despite scores killed and hundreds injured every single day, the dictator turned to the last resort—on July 19 imposed a nationwide curfew and deployed armed forces.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fascist AL, once again, announced on camera a “shoot-on-sight” policy to kill anyone protesting and vowed to crush the movement for once and all. In tandem with the curfew a communications blackout was imposed with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access blocked. The entire nation was locked in what looked like an open prison, military convoys were patrolling the streets and no one could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At this stage, the movement was visibly entering into the very final stage, but the outcome was not yet clear. Dr. Yunus gave an interview from Paris calling for international attention. With a bold statement, he said that by using the army the government was confronting the protestors as though a foreign enemy had invaded the country. “This is not how you deal with your own people.”
> The Final Battles
Unable to quell the protests, the regime set up a game of pseudo negotiation with the students. Intelligence agency mounted pressure on student leaders to engage in discussions. The police detained six movement coordinators. On July 28, the police forced these coordinators to record video statements urging student protesters to postpone all scheduled programs. But, that didn’t work, rather became counterproductive. Students made it clear that abduction or forcing students to issue video statements would not deter them.
This move by the government further incensed students and the masses. All other coordinators immediately took to the streets, denouncing the video statements. The student leaders called for an all-out non-cooperation movement unless their one-point demand was met. Defying curfew, protesters gathered in thousands at city centres, parks, major streets and other public places demanding Hasina’s resignation.
> The Fall Of the Fascist Dictator
On the night of 4th August, when students announced the march to Dhaka program, several million people started their march from different locations. By morning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were already marching towards Hasina’s official residence. She fled to India by a military helicopter leaving behind a legacy of rampant corruption, mass murder, enforced disappearances, dysfunctional judiciary and a country on the verge of economic collapse.
August 5th was a bright sunny day and in this distinctive monsoon Dhaka city turned into a sea of people, marching and chanting ‘Aazadi’! The language of liberation percolated in the air and the joy of freedom glowing over on the face of million marchers—a great many of them were tearful and crying in disbelief.
> Steering Bangladesh 2.0
After two days of intense discussion the student leaders couldn’t find a better hand than Dr. Yunus to steer the wheel of the second republic bequeathed by the Monsoon Revolution. While he was still in Paris, they announced, “In Yunus we Trust!” The new interim government was sworn-in on the 8th August 2024 making Dr. Yunus the head of Bangladesh 2.0.
Now the country is confronted with an enormous challenge to navigate through the broken-down system and a traumatised nation. Necessary reforms are being initiated to prevent the evil of fascism resurface again. People want to flourish in liberty, justice and dignity.
In this regard dealing with the past atrocities, political violence and abuses of power will need a credible accountability and redress mechanism. It requires strong international support, assistance and solidarity. We would like friends across the board to come forward and be a part of this historic journey.
We wish to have a strong partnership with the people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ho share the similar values, commitment and hopes for a better world in Asia Pacific and beyond.
---------------------
Mustain Billah Zahir is a civic engagement thought leader, KDF International Democracy Goodwill Ambassador and currently serving as one of the members of the Constitutional Reform Commission in Bangladesh.
It all started with an email from Dhaka, the capital city of Bangladesh, from Mustain Zahir, a Bangladeshi civil rights activist, to Go-Eun Lee, a South Korean social activist.
The two were classmates at the Graduate School of Sociology at Sungkonghoe University in Seoul, Korea. Mr. Zahir, an international student from Bangladesh received his degree in 2016, and then participated in a series of projects related to 518 Gwangju.
Ms. Lee, Go-Eun, who majored in social movements in Bangladesh, worked on research projects at the Swedish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for two years, and returned to Korea to work as a social activist. She has been an active participant in the <Muyong Shin> campaign since 2023.
In the email, Zahir described the situation in Bangladesh and asked for help.
"I'm so delighted to share that finally we got rid of the despot reigning and ravaging Bangladesh for the last 15 years! Now, we are passing through a momentous change after the successful mass uprising on 5th August 2024 that forced the autocrat to resign and flee from the country. She is now hiding in India!
"The student-people led Monsoon revolution has presented us with a historic opportunity to reimagine and rewrite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chapter. As a civil rights activist, and your friend, I'm proud to share that I have been very active during the movement and coordinated the student leaders at the forefront of this revolution. It was the best experience of my life, even though I had to go through ordeals of security crackdown and nightmarish situations!
"Before she left the country in the span of one month, the tyrant killed nearly one thousand people, thousands were severely injured and many more of the protesters are still traumatized. We are trying to collect the names, document the stories and wish to preserve this glorious history of our democratic struggle."
Having witnessed that the citizens of South Korea impeached then-President Park Geun-hye in 2016, and being familiar with the pro-democracy protests and sacrifices of the people of Gwangju in 1980, Mr. Zahir described South Korea as the role model for Bangladesh to redesign its politics and society.
"As you know in Korea C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itiating institutional mechanisms to find truths, seek accountability and instill the spirit to nurture ethos and sensibilities for the generations to come."
Mr. Zahir seems to believe that Bangladesh's monsoon revolution should learn from South Korea's experience in order to avoid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Arab Spring that took place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decade ago.
"Having this knowledge and exposure, I couldn’t think of any better place to seek advice and suggestions to undertake a formal approach for Bangladesh so that we can also begin a process to do similar work in preserving and cultivating the aspiration of the heroes who made the supreme sacrifice for democracy, freedom and justice."
To facilitate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of citizens from both countries, Mr. Zahir asked for four things
1. It would be a great help, if PSPD/May18 or other like minded organizations come forward to help us make a systematic documentation of the events.
2. Korean Civil Society members and organizations can help us to pursue the truth and accountability measures in a structured way.
3. The May18 Memorial can come forward to help us build a collaborative Museum of democratic struggle and Monsoon Revolution in Bangladesh.
4. Inviting a group of young leaders in Korea to have an immersive orientation and practical knowhow for a week to share their experience and learn from Korean civil societies to know and do the above things.
After receiving the email, Ms. Lee, Go-Eun asked for help from Peace MOMO, the Democracy Movement Memorial Association, and Muyong Shin, and Muyong Shin agreed to invite two student representatives from Bangladesh to Korea.
Muyong Shin formed a sister organization, <Solidarity for Bangladesh>, led by Ms. Lee, Go-Eun, and asked her to be in charge of inviting student representatives of the Monsoon Revolution. With Mr. Zahir's help, Solidarity for Bangladesh selected two student representatives.
Ms. Samia Akther from Dhaka University (law, graduate school) and Mr. Rahman Johan from BRAC University (anthropology, photographer) are appointed. They have been leaders of the student movement during the Monsoon Revolution and will be visiting South Korea from November 4-11 with Mr. Zahir.
While Mr. Zahir will be visiting Korea at the invitation of the Democracy Movement Memorial Project, Ms. Samia Akter and Mr. Rahman Johan's invitation was supported by Solidarity for Bangladesh.
The cost of their visit was calculated to be 4.5 million won, including airfare and lodging, and <Solidarity for Bangladesh> started a fundraising campaign. It decided that it would be most meaningful to have Korean citizens sponsor their invitation.
This is how <Solidarity for Bangladesh> was formed, declared support for the Monsoon Revolution, and started fundraising activities.
We sincerely ask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of Korea to participate in the fundraising campaign with a donation of $10 (or more) so that Ms. Samia Aktor and Mr. Rahman Johan can visit Korea and fulfill their purpose. Thank you.
Fundraising Account: Kakao Bank, 7979-77-26093 (SFB, Ms. Lee, Go-Eun)
Fundraising Period: October 11, 2024 - November 3, 2024
Fundraising goal: 4.5 million won (7 days and 8 nights for two student representatives of the Monsoon Revolution)
Greetings from Bangladesh! Hope this email finds you well.
I'm so delighted to share that finally we got rid of the despot reigning and ravaging Bangladesh for the last 15 years! Now, we are passing through a momentous change after the successful mass uprising on 5th August 2024 that forced the autocrat to resign and flee from the country. She is now hiding in India!
The student-people led Monsoon revolution has presented us with a historic opportunity to reimagine and rewrite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chapter. As a civil rights activist, and your friend, I'm proud to share that I have been very active during the movement and coordinated the student leaders at the forefront of this revolution. It was the best experience of my life, even though I had to go through ordeals of security crackdown and nightmarish situations!
Before she left the country in the span of one month, the tyrant killed nearly one thousand people, thousands were severely injured and many more of the protesters are still traumatized. We are trying to collect the names, document the stories and wish to preserve this glorious history of our democratic struggle.
As you know in Korea C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itiating institutional mechanisms to find truths, seek accountability and instill the spirit to nurture ethos and sensibilities for the generations to come. Having this knowledge and exposure, I couldn’t think of any better place to seek advice and suggestions to undertake a formal approach for Bangladesh so that we can also begin a process to do similar work in preserving and cultivating the aspiration of the heroes who made the supreme sacrifice for democracy, freedom and justice.
And, this will also be an occasion to renew people to people ties between Bangladesh and Korea.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request few things:
1. It would be a great help, if PSPD/May18 or other like minded organizations come forward to help us make a systematic documentation of the events.
2. Korean Civil Society members and organizations can help us to pursue the truth and accountability measures in a structured way.
3. The May18 Memorial can come forward to help us build a collaborative Museum of democratic struggle and Monsoon Revolution in Bangladesh.
4. Inviting a group of young leaders in Korea to have an immersive orientation and practical knowhow for a week to share their experience and learn from Korean civil societies to know and do the above things.
These are my preliminary thoughts; I can expand on, given the interest and scope to explore a partnership. Will appreciate your kind help and advice in this regard.
이 모든 일이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에서 보내온 이메일 한 통으로 시작됐습니다. 방글라데시의 민권운동가 머스테인 자히르(Mustain Zahir)씨가 한국의 사회 활동가 이고은 선생에게 보내온 이메일이었습니다.
두 사람은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의 동학입니다. 2016년 학위를 받은 방글라데시 유학생 자히르씨는 518광주 관련 프로젝트에 참가한 바 있다고 합니다. 또 방글라데시 사회운동을 전공한 이고은 선생은 졸업 후 2년간 스웨덴의 정책연구소 프로젝트를 수행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사회활동가로 일하기 시작했고, 2023년부터는 <무용신> 활동에도 열성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메일에서 자히르씨는 방글라데시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면서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영어로 보내온 이메일은 한국어 식으로 의역됐고, 원문은 이 글의 맨 끝에 전재했습니다.)
“(방글라데시의 학생과 시민들이) 15년 통치로 방글라데시를 피폐시킨 독재자를 몰아낼 수 있었다는 소식을 전해 드리게 되어 기쁩니다. 우리는 2024년 8월5일 대규모 시위를 통해 권위주의 정부를 무너뜨렸고, 하시나 전총리가 방글라데시를 떠나 인도에 망명한 후, 우리는 역사적인 변화를 이루어 가고 있습니다.
“<몬순혁명>을 이끈 학생-시민들은 정치의 새 장을 열 수 있는 역사적인 기회를 만들었습니다. 민권운동가로서, 그리고 당신의 친구로서, 나도 이 혁명에 열성적으로 참가했고, 특히 이 혁명의 선봉에 선 학생 지도자들과 협력했습니다. 비록 당국의 보안단속을 피하면서 악몽 같은 상황을 견뎌야 했지만, 이 혁명은 제 인생 최고의 경험이었습니다.
“하시나 전총리는 방글라데시를 탈출하기 전까지 약 1개월 동안 1천여명의 시민을 사살했고, 수천명에게 중상을 입혔습니다. 시위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도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상자들의 신원을 파악하고, 이들의 희생과 피해 정황을 기록함으로써, 영광의 역사로 전환되는 민주화 투쟁 과정을 밝히고 보존하려고 합니다.”
2016년 대한민국의 시민들이 당시 대통령 박근혜를 탄핵하는 과정을 목격하고, 1980년 광주시민들의 민주화 항쟁과 희생도 잘 알고 있는 자히르씨는 방글라데시의 정치와 사회를 새롭게 설계하기 위해 대한민국이 전범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시민사회는 (518광주의) 진실을 밝히고, 책임 소재를 찾아내고, 다음 세대의 상식과 감성에 호소할 수 있는 정신을 일깨웠다고 생각합니다. 이 같은 한국의 경험을 잘 알고 있기에, 저는 앞으로 방글라데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조언을 얻기에 대한민국보다 더 좋은 곳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히르씨는 방글라데시의 몬순 혁명이 10여년 전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일어났던 아랍의 봄(Arab Spring)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한국의 경험을 배워야 한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위해 그는 대한민국의 시민들이 방글라데시의 민주화 과정을 지지하고 연대함으로써 양국 시민운동이 교류하고 협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민주와 자유와 정의를 위해 최고의 희생을 바친 영웅들의 열망을 보존하고 고양하기 위해서 방글라데시와 대한민국의 시민들이 협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같은 협력은 방글라데시와 대한민국 사이에 시민 연대를 새롭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양국 시민의 교류와 협력을 위해 자히르씨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1. 참여연대나 518기념재단 등의 한국 단체들이 몬순 혁명 기록 작업에 도움을 주시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2. 한국의 시민들과 단체들이, 몬순혁명의 진실을 찾고 책임을 묻는 체계적인 방법을 자문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518기념관의 경험을 통해 <몬순혁명> 민주화투쟁 기념관이 설립되도록 도와주시면 좋겠습니다.
4. <몬순혁명>의 젊은 지도자들을 약 1주일 동안이라도 한국에 초청해 주셔서 한국의 경험을 배우고 대한민국 시민들에게 <몬순혁명>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메일을 받은 이고은 선생은 <피스모모>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무용신>에 도움을 요청했고, <무용신>은 이에 부응해 방글라데시의 학생대표 2명을 한국에 초청하기로 했습니다.
<무용신>은 이고은 선생을 대표로 한 자매단체 <방글라데시 연대>를 구성하고, 몬순혁명의 학생대표 초청을 담당해 주시도록 부탁했습니다. 자히르씨의 도움으로 <방글라데시 연대>는 2명의 학생대표를 선정했습니다.
다카 대학교의 여학생 사미아 악터(Samia Akther, 법학 대학원)씨와 브라크 대학교의 남학생 라흐만 조한(Rahman Johan, 인류학, 사진작가)씨가 그들입니다. 몬순혁명 동안 학생운동의 리더였던 이들은 자히르씨와 함께 11월4일부터 11일까지 한국을 방문하게 됩니다.
이들의 방한 경비는 항공료와 체재비를 포함 450만원으로 계산되었고, <방글라데시 연대>는 이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모금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이들의 초청비용을 대한민국 시민들의 후원으로 마련하는 것이 가장 뜻이 깊겠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상이 <방글라데시 연대>가 구성되고 몬순혁명 지지를 선언하고 모금활동을 시작하게 된 경과입니다. 부디 대한민국의 시민들께서, 사미아 악터씨와 라흐만 조한씨가 한국을 방문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1인1만원(이상)으로 모금운동에 참여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Greetings from Bangladesh! Hope this email finds you well.
I'm so delighted to share that finally we got rid of the despot reigning and ravaging Bangladesh for the last 15 years! Now, we are passing through a momentous change after the successful mass uprising on 5th August 2024 that forced the autocrat to resign and flee from the country. She is now hiding in India!
The student-people led Monsoon revolution has presented us with a historic opportunity to reimagine and rewrite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chapter. As a civil rights activist, and your friend, I'm proud to share that I have been very active during the movement and coordinated the student leaders at the forefront of this revolution. It was the best experience of my life, even though I had to go through ordeals of security crackdown and nightmarish situations!
Before she left the country in the span of one month, the tyrant killed nearly one thousand people, thousands were severely injured and many more of the protesters are still traumatized. We are trying to collect the names, document the stories and wish to preserve this glorious history of our democratic struggle.
As you know in Korea C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itiating institutional mechanisms to find truths, seek accountability and instill the spirit to nurture ethos and sensibilities for the generations to come. Having this knowledge and exposure, I couldn’t think of any better place to seek advice and suggestions to undertake a formal approach for Bangladesh so that we can also begin a process to do similar work in preserving and cultivating the aspiration of the heroes who made the supreme sacrifice for democracy, freedom and justice.
And, this will also be an occasion to renew people to people ties between Bangladesh and Korea.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request few things:
1. It would be a great help, if PSPD/May18 or other like minded organizations come forward to help us make a systematic documentation of the events.
2. Korean Civil Society members and organizations can help us to pursue the truth and accountability measures in a structured way.
3. The May18 Memorial can come forward to help us build a collaborative Museum of democratic struggle and Monsoon Revolution in Bangladesh.
4. Inviting a group of young leaders in Korea to have an immersive orientation and practical knowhow for a week to share their experience and learn from Korean civil societies to know and do the above things.
These are my preliminary thoughts; I can expand on, given the interest and scope to explore a partnership. Will appreciate your kind help and advice in this regard.
몬순혁명으로 쫓겨난 셰이크 하시나를 살피다 보니까, 방글라데시 현대사에서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이 또 있습니다.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BNP)의 칼레다 지아(Khaleda Zia)입니다.
셰이크 하시나와 칼레다 지아는 죽고 죽이는 가족사의 원한이 얽힌데다가, 이들의 정당이 정권을 다투는 주요 정당이었기 때문에, 방글라데시 현대사에서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두 여성은 1991년 이래 방글라데시의 총리를 역임했습니다. 칼레다 지아는 1991-1996년과 2001-2009년, 셰이크 하시나는 1996-2001년과 2009-2024년에 방글라데시 총리였습니다.
칼레다 지아의 남편인 지아우르 라흐만은,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해방군 사령관을 역임한 군인으로, 1975년 쿠데타를 일으켜, 셰이크 하시나의 부친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을 살해하고 대통령이 된 인물입니다. 지아우르 라흐만은 셰이크 라흐만의 아내와 형제들, 세 아들과 며느리들까지 모든 가족을 사살했고, 서독을 방문 중이던 셰이크 하시나와 그의 여동생 셰이크 레하나만 살아남았습니다.
쿠데타에 성공한 지아우르 라흐만은 1975년 계엄령 아래서 정부수반이 된 후, 1977년 대통령이 되어 방글라데시민족주의당(BNP)를 창당, 이를 정치적 기반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5년 임기를 마치지 못하고 젊은 장교들이 일으킨 쿠데타로 1981년 사살당했습니다. 쿠데타 세력이 쿠데타를 당한 것이지요.
이 쿠데타로 집권한 후세인 에르샤드(Hussain Muhammad Ershad, 1930-2019)는 1983-1990년에 대통령으로 방글라데시를 통치했고, 재임중 창당한 자티야당(Jatiya Party)를 자신의 정치기반으로 삼았습니다.
에르샤드의 쿠데타정권은 그가 죽인 지아우르 라흐만의 아내 칼레다 지아의 BNP와 지아우르 라흐만이 죽인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의 장녀 셰이크 하시나의 AL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혀, 1991년 총선에서 패배했고, 이 선거에서 승리한 BNP의 칼레다 지아가 총리가 됐습니다.
다음 총선인 1996년 선거에서 승리한 AL의 셰이크 하시나는 집권하자마자 자신의 부모와 형제들을 죽인 1975년 쿠데타 가담자들을 체포해 주모자들을 죽였는데, 주모자의 대표격인 지아우르 라흐만을 처단하지 못한 것은, 그가 이미 에르샤드에게 암살당했기 때문이었지요.
셰이크 하시나는 또 정적인 칼레다 지아도 부정부패 정치인으로 몰아 5년형을 받고 복역하게 만들었는데, 올해 셰이크 하시나가 실각한 다음날 칼레다 지아가 석방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보면, 방글라데시의 세 주요 정당인 AL과 BNP와 Jatiya가 쿠데타로 죽고 죽임을 당하면서 얽히고설킨 가운데 탄생한 셈입니다. AL이 중도좌파 정당이지만 좌파정당이 아니라 쿠데타의 잔재이자 민족주의 정당인 Jatiya와 연합하는 것도 이해하기 어렵지만, 아마도 그것은 BNP의 기반인 민족주의 지지자들을 갈라놓기 위해서인 것인지도 모릅니다.
암튼, 셰이크 하시나와 칼레다 지아는 가족의 원한이 얽힌 가운데서도 지난 30년간 방글라데시의 정치를 이끌어왔다고 볼 수 있는데, 둘 다 부친과 남편의 후광으로 정치해 왔다는 공통점을 뺀다면, 칼레다 지아는 셰이크 하시나에 비해 무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셰이크 하시나가 축출된 지금, 석방된 칼레다 지아가 다시 정치 전면에 나설지가 주목됩니다만, 80세에 가까운 칼레다 지아가 다시 총리에 도전할 수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방글라데시에는 공산당을 비롯한 좌파 정당들도 있지만, 존재감이 미미합니다. 가장 큰 좌파정당은 방글라데시 공산당(Communist Party of Bangladesh, CPB)인데, 총선 득표율이 1% 미만입니다. 이는 쿠데타 정권들이 공산당과 사회주의정당, 그리고 노동운동을 심하게 탄압해왔기 때문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CPB는 다른 좌파정당들과 연합하여 좌파민주전선(Left Democratic Front, LDF)을 결성, 꾸준히 총선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즉, 오늘날 방글라데시의 정치지형은 독립운동 세력과 쿠데타 세력이 방글라데시의 세 주요정당을 구성해 각축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군소 좌파정당들이 독자적으로나 세 주요정당과 연합해서 정치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어째 대한민국 정치 지형의 복사판을 보고 있는 것 같지 않습니까? (jc, 2024/10/4)
2024년 7-8월의 방글라데시 몬순혁명의 성공으로 셰이크 하시나 총리는 사임하고 인도로 망명했습니다. 셰이크 하시나는 어떤 이유로 학생운동과 시민운동의 표적이 되었던 것일까요?
셰이크 하시나는 제1기(1996-2001년)와 제2기(2009-2024)를 합해 20년 동안 총리로 재임했습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물론 세계에서도 최장기 여성 정부수반으로 기록됩니다.
셰이크 하시나는 방글라데시 독립운동가이자 초대 대통령과 2대 총리를 역임한 세이크 무지부르 라흐만(Sheikh Mujibur Rahman, 1920-1975)의 딸입니다. 셰이크 라흐만은 인도의 식민통치 아래서 발생했던 1757년의 벵골 독립전쟁 플래시 전투(Battle of Plassey) 이래 2백년 만에 벵골의 독립을 성취한 정치지도자로, 방글라데시의 국부로 칭송되는 인물입니다.
셰이크 라흐만은 1975년의 쿠데타로 암살됐습니다. 셰이크 하시나는 인도로 망명해 군부정권에 의해 입국 금지 당했지만, 부친 셰이크 라흐만이 설립한 방글라데시 아와미 연맹(AL)의 당수로 궐석 선출되어 1981년 귀국, 34세의 나이로 야당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습니다.
중도좌파 성격의 AL 당수로 하시나는 후샤인 에르샤드(Hussain Muhammad Ershad) 군부정권의 탄압을 받았으나, 또 다른 야당 방글라데시 민족주의정당(BNP)의 칼레다 지아(Khaleda Zia)와 함께 에르샤드 군부독재에 맞섰습니다.
1991년 군부독재를 타도하고 총선에서 승리한 BNP의 칼레다 지아가 방글라데시의 첫 여성 총리에 취임했고, 1996년 총선에서는 AL가 승리해 셰이크 하시나가 총리에 취임했습니다. 방글라데시에도 민주화가 정착되고 평화로운 정권교체가 이뤄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였습니다.
하시나는 첫 임기동안 긍정적 업적을 남겼습니다. 인도와 관계를 개선했고, 인플레이션을 5%미만으로 묶었고, 국민총생산(GDP) 연평균 성장률을 5.5%로 유지했습니다. 식량 생산이 증가했고 빈곤율이 낮아졌고, 주택마련 기회가 늘었고, 저소득층의 수입증가 기회도 생겼습니다.
외자유치에 성공해 기업 성장을 도왔고, 군부독재가 독점했던 IT산업을 민영화해 가격을 낮추고 사용자를 증가시켰습니다. 소액금융과 식량지원 등의 정책으로 소외계층의 기회를 넓혔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셰이크 하시나는 안정과 성장을 이끈 정치지도자로 인식되었지요.
성공적인 정책에도 불구하고 AL은 2001년 총선에서 BNP에 패배했고, 칼레다 지아에게 정권을 넘겨야 했습니다. 2006년 총선을 앞두고 쿠데타가 발생, 셰이크 하시나와 칼레다 지아는 군부정권에 의해 부패정치인으로 기소됐고, 하시나는 2008년 아들이 사는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2008년 12월 총선에서 AL는 군부독재의 잔재인 자티야당(Jatiya Party)을 포함한 14개 정당을 연합해 총선에서 승리, 두 번째 총리임기를 시작했으나, 이때부터 그의 행보는 권위주의적 지배의 경향을 보였습니다.
2014년, 2019년, 2024년 총선에서 연속 압승했으나 국내외에서 부정선거로 비난받았고, 소액금융으로 빈민의 재활을 돕던 무하마드 유누스와 결별했습니다. 야당과 학생운동과 언론을 탄압했고, 2018년에는 인터넷을 통제하는 디지털 보안법을 통과시켰습니다.
경제성장이 멈추고 외채가 급증한 가운데 2022년에는 상환불능 외채가 210억달러에 달해 IMF체재에 들어갔고, 그 와중에 부정축재 스캔들에도 휘말렸습니다.
2024년 청년 실업률이 40%를 넘어선 가운데,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공무원직 30%를 보장하는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공정성에 반한다는 대대적인 반발을 초래했고, 군경과 당조직까지 동원해 반정부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하다가, 적어도 650명의 사망자를 낸 유혈사태를 초래한 끝에, 셰이크 하시나는 총리직을 사임하고 인도로 망명하게 된 것이지요.
좋은 집안에, 최상급 교육을 받고, 군부독재에 맞서 투쟁하고, 빈민과 여성의 인권과 경제성장을 이끌었던 셰이크 하시나가 어째서 이렇게 추락해버렸는지 모르겠지만 그것은 방글라데시의 학자들이 분석, 해설할 일이겠고, 저는 권위주의 정부를 무너뜨린 학생운동과 시민운동에 집중해야 할 것 같군요. (jc, 2024/10/4)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의 벵갈어 최대 일간지 <프로톰 알로(Prothom Alo)>는, 하시나 정부가 시위대에 발포해 발생한 최초의 사망자 150명 중에서 94명(64%)이 18-29세의 청년들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다른 다카의 일간지 <사마칼(Samakal)>도 200명의 사망자 중에서 19-30세가 104명(50%이상)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몬순혁명 참여자 대부분이 청년이었고, 이들이 가장 큰 희생을 치렀다는 말입니다.
“XYZ세대”라는 용어는 미국 사회과학자들이 인구의 특징을 구별하는 별명이지만, 생애경험의 세계화로 한국을 포함한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Y세대의 별명으로 1981-1996년에 출생한 세대를 가리키며, Z세대는 1997년부터 2013년 출생자로 유년기부터 디지털 매체의 영향을 받은 세대입니다.
이들은 청소년기에 베를린 장벽 붕괴와 소련 해체, 탈냉전, 9.11과 미국발 경제위기, 코로나 팬데믹 등을 경험한 세대이며, IT에 능하고 sns소통에 익숙한 세대이기도 합니다.
MZ세대는 개인주의가 강하다고 평가되며, 사회나 공동체 의식보다 소규모 동료집단에의 충성심이 강하기 때문에 사회변혁의 주체로 떠오르지 못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방글라데시의 MZ세대는 그 같은 선입견을 뒤집었습니다. 이들은 하시나 정권의 야당과 언론탄압에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고, 학생운동 탄압에 맞서 굳게 단결해 투쟁했습니다. 결국 올해는 학생운동이 시민운동으로 번지면서 몬순혁명을 성공시킨 것이지요.
방글라데시의 학생운동은 적어도 1968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는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에서 분리, 독립하기 전이기 때문에, 학생운동은 파키스탄 정부의 탄압에 저항했습니다. 다카대학의 저항은 워낙 격렬했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68운동과 나란히 언급되곤 했습니다.
1969년 다카대학의 학생운동가 아사드 우즈 잠만(Asad uz Zamman)이 경찰에 의해 잔혹하게 사살되자, 다카대학에는 10만명의 시위대가 운집, 피묻은 아사드 우즈 잠만의 셔츠를 장대에 걸고 시위를 계속했고, 결국 이는 1971년 방글라데시가 파키스탄에서 분리, 독립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1982년 민주정부를 전복하고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한 후세인 무하마드 에르샤드(Hussain Muhammad Ershad)의 군부독재를 종식하는 데에도 학생운동의 기여가 컸습니다.
특히 다카대학의 학생중앙조합(Dhaka Univ. Central Students' Union)은 군부독재를 종식하기 위한 1990년 반독재운동의 선봉에 섰고, 결국 1991년의 총선을 통해 에르샤드 독재를 종식하면서, 8개정당연합의 아와미 리그(AL)가 집권할 수 있었습니다.
2022년 방글라데시 학생들은 다시 한 번 봉기했습니다. 세이크 하시나(Sheikh Hasina) 정권의 부정부패와 경제실정에 책임을 물어 총리의 사임을 요구했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학생시위는 결국 2024년 8월의 하시나 총리의 사임과 망명으로 귀결되었습니다.
다카대학을 중심으로 한 방글라데시 학생운동은 인도의 영국식민지 시기부터 인도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로 이어지는 현대사에서 민주주의와 진보운동의 산실이자 동력이었습니다.
따라서 2024년의 몬순혁명을 “MZ세대의 사회변혁운동”이라고 부르기에는 어폐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방글라데시의 학생운동은 적어도 1968년부터 반세기 이상 방글라데시의 민주화를 위한 투쟁을 계속해 온 전통 위에 서 있기 때문입니다.
전통적 학생운동의 단호함과 MZ세대의 재기발랄함이 어우러져 성취된 몬순혁명은 실로 감동적인 역사입니다. 부디 몬순혁명이 평화적으로 안착되면서 방글라데시에서 오래 염원되어온 민주화가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jc, 2024/10/2)